미래 스마트시티에서의 바이오인식 기술표준화

  • 김재성 (한국인터넷진흥원 (한림대))
  • Published : 2022.08.31

Abstract

포스트 코로나시대에는 다가올 디지털 인프라 사회에서의 스마트시티에서 안전하고 편리한 사이버 경제활동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특히 비대면 디지털 환경에서 바이오인식기술의 중요성은 증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바이오인식 관련 국제표준화기구인 ISO/IEC JTC1 SC37(Biometrics)/SC27(Security)과 ITU-T SG17 Q10(ID Management & Telebiometrics) 등 바이오인식기술 국제 표준화 동향과 아시아바이오인식협의회(Asian Biometric Consoritum) 사실 표준화 현황을 면밀히 분석하여, 모바일기기·웨어러블 디바이스 응용분야, 디지털 헬스케어분야, 자율주행 응용분야, 국제공통·국가공용 ID카드분야, 동물보호 공학분야 등 미래의 스마트시티에서 활용될 바이오인식기술에 대한 전망과 함께 관련되는 국제표준에 대한 주요내용과 적용분야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향후 디지털 사회로의 대전환 시대가 도래함에 따른 생체인식기술을 적용한 스마트시티의 발전전망을 고찰하고자 한다.

Keywords

Ⅰ. 서론

다가올 디지털 인프라 사회에서의 스마트시티 미래 상을 살펴보연 다음과 같다. 직장인 A씨는 평소 건강에 관심이 많아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수집한 다양한 생체 정보를 헬스케어 서비스 전문업체에 제공하고 그 결과를 스마트폰 앱을 통해 확인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A씨의 생체 정보 및 건강 정보는 모두 암호화되어 관리되며, 스마트폰의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인증을 통해 A 씨만 확인할 수 있다. A씨는 회사의 지원으로 건강검진을 받은 후 의심되는 증상이 있어 원격 상담을 신청하였다. 의사는 A씨가 암호화하여 전송한 개인건강기록 (PHR)과 타 병원에서 관리되고 있는 전자건강기록 (EHR), 그리고 소속 병원 데이터베이스에 암호화되어 관리되고 있는 전자의무기록(EMR)을 전달받아 검토한 후 증상에 대한 진단을 내리고 A씨에게 그 결과를 송부 하였다. 한편 A씨가 해외출장을 위해 인천국제공항으로 출발을 하기 위하여 자율주행차에 지문인식으로 차량 시동을 걸고, 음성인식을 통해 네비게이션 목적지를 설정한 후, 고속도로를 주행하고 었었다. 운행중에 안전 밸트에 심전도 생체신호 인증과 홍채인식을 통하여 전날 과음으로 인한 피로도를 자율주행차량이 인식하여 잠시 휴게소에 정차하였다. 잠시 휴식을 취하는 동안에 A씨가 기르는 반려견의 심장질환이 걱정되어 와이프에게 전화하여 비문(코지문)인식을 통한 펫보험을 통해 동물병원에서 심전도·심청진 등 생체 신호측정을 통한 건강검진 요청을 하도록 조치하고 무사히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하여 지문·얼굴인식을 통한 항공권 예약확인 및 출입국 심사절차를 마치고 항공탑승을하여 무사히 해외출장길에 오르게 되었다. 이에 따라, 미래에서는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패러다임의 전환이 예상됨에 따라 사회적·문화적·경제적으로 ICT 및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할 것으로 확신한다. 이에 따라 향후 스마트시티에서는 특히, 비대면 사이버공간에서 신원확인의 필수 수단으로서 바이오인식 기술이 모바일기기 등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적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Ⅱ. 스마트시티에 적용되는 바이오인식기술

➀ 모바일기기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응용분야

● 스마트폰·테블릿 PC·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스마트기기에서의 모바일 결제서비스

● 스마트기기에서의 온오프 잠금기능

● 심전도·심박수·뇌파·근전도 등 생체신호 측정용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헬스 모니터링서비스

➁ 자율주행 응용분야

․지문·얼굴·홍채·음성인식을이용한원격시동, 네비게이션 등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홍채인식 및 심전도·심박수 등 생체신호기반의 운 전자 졸음운전 예방 및 헬스모니터링 서비스

➂ 국제통용 및 국가공용 ID카드 응용분야

● 국제공항(전자여권)·항만(국제선원신분증)·국경(국제운전면허증) 등 접견도시에서의 출입국심사를 위한 국제통용 ID 카드 발급·운영

● 전자운전면허증·의료보험·전자주민등록증·전자여권 등 디지털 사회가 도래함에 따른 사회 정보통신 망에서 개인의 신원확인을 위한 국가공용 ID 카드 발급·운영

➃ 디지털 헬스케어 응용분야

● 원격진료 및 응급상황에서의 환자·의사·보험관계자 등의 신원확인 서비스

● 심전도·심박수·뇌파·근전도 등 생체신호를 이용한 헬스모니터링 서비스

➄ 동물보호 공학분야

● 반려견·반려묘 등 반려동물의 개체식별을 위한 생체인식 보안인증 서비스

● 바이오 인식기반의 개체식별 기술을 이용한 반려동물 보험사기 예방서비스

● 심전도·심청진 등 생체신호를 이용한 반려동물의 헬스 모니터링 서비스

Ⅲ. 관련 표준 동향분석

3.1. JTC1 SC37(Biometrics) 주요 표준화 현황분석

3.2. JTC1 SC27(Securrity) 주요 표준화 현황분석

3.3. ITU-T SG17 Q10(ID Management & Telebiometrics) 주요 표준화 현황분석

3.4. Asian Biometric Consortium(De-facto) 주요 표준화 현황분석

Ⅳ. 결론

스마트시티에서의 모바일기기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응용분야, 자율주행 응용분야, 디지털 헬스케어 응용분야, 국제통용 및 국가공용 ID카드 분야 등에서 한국이 주도적으로 개발한 ISO/IEC JTC1 SC37·ABC 사실표 준화기구의 바이오인식 표준적합성 및 성능평가 등의 시험기술과 ISO/IEC JTC1 SC27의 바이오정보 보호기술에 대한 국제표준을 적극 활용하여 스마트시티에 적용되는 바이인식기술에 대한 안전·신뢰성 확보와 생체정보가 개인 민감정보로서 보호기술을 통한 프라이버시 보호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바이오 인식 시험인증 서비스를 아시아 최초로 2006년 7월부터 시행 중에 있는 KISA 한국바이오정보시험센터(K-NBTC, Korea-National Biometric Test Center) 등을 통하여 바이오 인식제품의 상호호환성 및 정확성 보장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스마트시티에서의 모바일 기기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응용분야, 자율주행 응용분야, 디지털헬스케어 응용분야, 국제통용 및 국가공용 ID카드 분야, 동물 보호 공학분야에서 한국이 주도적으로 개발한 ITU-T SG17 생체신호기반의 텔레바이오인식기술과 개발중인 텔레바이오 인식기반의 반려동물 개체식별기술에 대한 국제표준을 적극 활용하여 미래지향형 스마트시티에 적용되는 바이오인식기술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References

  1. 김재성, "생체인식시스템 보안성 평가 및 표준적합성 시험기술,"인하대학교 공학박사 학위논문, August, 2005.
  2. 김재성, "생체인식기술 표준화 동향 및 이슈," 국가기술표준원, October , 2014.
  3. 김재성, "바이오인식기술 표준화 현황 및 발전전망", TTA 저널, 2015.06.
  4. 김재성, "모바일 생체신호 인증기술 특허현황 분석 보고서,"KISA 표준연구회 연구보고서, 2015.12.
  5. 김재성, "텔레바이오인식기반 비대면 인증기술 표준화 동향," 정보보호학회지, 제25권, 제4호, August, 2015.
  6. 박광석, "국내외 생체신호 개인식별 기술분석 및 연구용 DB 구축,"KISA 용역과제 연구보고서, January, 2016.
  7. 미래부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스마트 융합보안서비스를 위한 텔레바이오인식기술 표준개발 2017년도 종합보고서," 한국인터넷진흥원, March, 2016.
  8. S&T market Report, Vol63. 2018.10,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9. 김재성, "반려동물 등록, 칩대신 비문(코), 홍채로!" KISA 디지털 사보(2020-63호), 2020.04
  10. RRA, TTA, (정보통신분야) JTC 1 연차보고서 2020, 2020.12.15.
  11. 김재성, 춘천시 반려동물 산업육성 전략 대토론회"동물보호공학연구소 설립제안", 2021.10.29
  12. 김재성, 제3회 강원 정보보호 컨퍼런스"강원 반려동물 산업육성 추진전략", 2021.11.15.
  13. 김재성.김태헌.변창현.백영헌, TTAK.KO-12.0380, "바이오인식 기반의 반려동물 개체 식별용 DB 구축 지침", 2021.12.08.
  14. TTA, ICT 표준화전략맵(Ver.2022 종합보고서) 차세대 보안, 2021.12.
  15. Jason Kim, Recommendation of ITU-T SG17 X.tif, Integrated framework for telebiometric data protection in e-Health and worldwide telemedicine, ITU-T SG17, Aug., 2013.
  16. Jason Kim, Recommendation of ITU-T SG17 X.tam: A guideline to technical and operational countermeasures for telebiometric applications using mobile devices, March. 2017.
  17. Jason Kim, final draft of Recommendation of ITU-T SG17 X.tab : Telebiometric Authentication using Bio-signals, January. 2019.
  18. Young-Hyun Baek, "Template Extraction Algorithm using the Feature Analysis of Unique Patterns of Dog Nose Prints",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2021.04.
  19. Jason Kim, Taehoon Kim, "Entity Authentication Services for Pet Animals using Telebiometrics", ISIS2021, 2021.12
  20. Jason Kim, Taehoon Kim, 5th Draft Recommendation of ITU-T SG17 X.pet_auth : Entity Authentication Services for Pet Animals using Telebiometrics, 2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