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마트비행단

Search Result 1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틸트로터 설계특성 및 주요 사이징 변수에 대한 요구

  • Ahn, Oh-Sung;Kim, Jai-Moo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 no.1
    • /
    • pp.277-286
    • /
    • 2004
  • In this study, summary of past tilt-rotor concept development presented, and based on that, major pros and cons of tilt-rotor technology compared to other air-vehicle concept was presented. Also presented were major design features, considerations and sizing constraints of tilt-rotor configuration implemented to the development of Smart UAV. It is hoped that this paper be served to understand the tilt-rotor air-vehicle design and development.

  • PDF

틸트로터 비행체 개발추세와 고속 VTOL기 개발경쟁

  • An, Oh-Sung
    •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 /
    • v.5 no.1
    • /
    • pp.75-92
    • /
    • 2007
  • 2002년 프론티어사업의 일환으로서, 10년간 1200억의 예산으로 미래형 신개념비행체 기술개발사업을 시작한 스마트무인기사업은, $2002{\sim}2003$년 수행한 개념연구를 통해 미래형 신개념 고속 수직이착륙 항공기 개념으로서 틸트로터 개념을 선정하고 이의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사업단에서는 우선, 항공 선진국에서 지난 반세기 동안 시행한 다양한 비행체 개념연구결과에 대해 자체적인 비교 분석 및 국제공동 연구를 근간으로하여, 당시 틸트로터에 필적하는 가능성을 보였던 스탑트로터(보잉사), 복합자이로콥터(카터콥터사) 개념이 아닌, 틸트로터 비행체의 기술개발을 결정하게 되었다. 각각의 비행체 개념이 갖는 위험성과 도전성, 그리고 소요기술, 설계특성, 개발 위험도 등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기초로 한 사업단의 체계적 의사결정은 주효했다. 스탑트로터개념은 비행시험의 잇단 실패와 지연/잠정 중단사태가 이어졌고, 복합자이로콥터 또한 잇단 비행사고로 2002년 기록한 148kts를 능가하는 고속성능 시현에 지금까지 실패함으로써, 실용화 가능한 고속수직이착륙기로서의 검증을 위해서는 해결해야할 기술적 과제가 많이 남아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틸트로터 개념의 경우 V-22의 설계 수정형에 대한 성공적인 비행시험완료 및 인증획득으로 전면양산승인이 2005년 결정되어 458대가 (미해병대(360), 해군(48), 공군(50)) 납품될 예정이고, 2010년 인증획득을 목표로 민수용으로 개발중인 BA609의 순조로운 비행시험진행, 무인기로 개발된 Eagle Eye 기술시현기의 비행 시험성공과 2003년 미 해양경찰청으로부터 Deep Water 프로그램의 장거리 순찰임무 주력기종 선정과 같이 군용, 상용, 무인용 고속 수직이착륙 시장의 전 방위적 진입이 현실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항공업계의 반응은 2가지 방향으로 나뉘고 있다. 하나는 유럽의 ERICA 프로그램과 같이 틸트로터 기술 개발을 서두르자고 주장하는 방향이고, 다른 하나는 시콜스키의 X2 프로그램과 같이 틸트로터와는 차별화된 독자적인 고속 수 직이착륙 비행체 개념 개발을 시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으로 국내 독자적인 기술력으로 지난해까지 일구어낸 성공적인 스마트무인기 상세설계 종료 및 축소형 비행체 전환비행성공은 그 의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틸트로터 개발사를 통해, 신개념 비행체 개발의 어려움과 교훈을 알아보고, 세계에서 2번째로 틸트로터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스마트무인기 사업의 현황과 기술적 특징 및 의의의 정리, 그리고 틸트로터의 대안으로 진행중인 새로운 고속 VTOL 비행체 연구현황에 대한 소개 와 간단한 기술적 평가를 포함시켰다.

  • PDF

고속 수직이착륙기 개발동향과 스마트무인기 개발사업

  • An, O-Seong
    •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 /
    • v.4 no.1
    • /
    • pp.55-60
    • /
    • 2006
  • 헬리콥터와 같은 전통적인 수직이착륙항공기는 이착륙시 활주로가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고 속비행 및 고고도 성능에 있어서는 고정익기에 뒤떨어진다. 고효율의 엔진개발에 따라 고정익 항공기가 최 대속도 및 성능이 비약적으로 발전한대 비해, 헬리콥터의 최대속도는 160 ~170 kts (300~315 km/h) 수 준으로 제한되어왔고 장거리 운항에서 필수적인 고고도 운항능력에 있어서도 4km 이상의 고도에서 효율 적인 비행을 수행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지난 반세기 동안 다양한 신개념 비행체 연 구가 수행되었다. 스마트무인기기술개발사업단에서는 항공선진국의 이러한 연구개발동향 및 그 결과를 종 합하여 미래적 신개념 비행체 대안을 모색하였고, 그 결과 틸트로터 개념을 선정하여 상세설계를 종료한 상태이다. 이러한 경과에 대한 요약과 현재 활발히 진행중인 항공선진국의 미래형 수직이착륙 항공기 개발 기종의 현황, 성능비교를 통해 고속, 고고도 수직이착륙 항공기 개발에 관한 세계적 추세와 본 사업의 연관 성을 고찰해 보았다.

  • PDF

Development of Data Processing Ground Test System for Telemetry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무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측정 자료처리 지상 점검 시스템 개발)

  • Ro, Yun-hee;Bae, Hwi-jong;Kim, Dong-young;Yun, Seong-jin;Lee, Nam-sik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26 no.1
    • /
    • pp.1-8
    • /
    • 2022
  • Telemetry system is a system that measures and transmits status information in the aircraft to the ground. The data received from the ground is information for monitoring the state of the aircraft, and can be checked and analyzed in real time through the test program. Data processing test system for telemetry currently in operation is built to transmit data using wired communication and perform test. As smart devices become popular due to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re becoming important, and technologies for improving performance are steadily being developed. In this paper, we suggests and builds data processing ground test system for telemetry using wireless communication(Wi-Fi) that can be checked through smart devices such as tablets, in order to break away from the existing method and apply future-oriented technology. Finally, the suggested test system performance was proved by testing in various environments by linking test equipment and test program.

Aerodynamic Design of the SUAV Proprotor (스마트무인기 프롭로터 공력설계)

  • Choi, Seong-Wook;Kim, Yu-Shin;Park, Young-Min;Kim, Jai-M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3 no.9
    • /
    • pp.16-26
    • /
    • 2005
  • The aerodynamic design of a proprotor for the Smart UAV adopting tiltrotor aircraft concept is conducted in this study. Since proprotor of tiltrotor aircraft is operated at both rotary and fixed wing mode with single configuration rotor, the proprotor has to be designed to meet performance requirements for both flight modes. The aerodynamic design of proprotor is accomplished by combining three sources of data - the proprotor performance data, the aerodynamic data of vehicle, and the performance data of engine. The performance analysis code for proprotor is based on the combined momentum and blade element theory and validated by comparison with the TRAM data. In order to design configuration for a proprotor satisfying requirements for both rotary and fixed wing mode, various kind of performance maps are constructed for many performance and configuration parameters. From the analysis the twist angle of 38 degrees and the solidity of 0.118 are decided to be the optimal geometric parameters for both operating conditions.

A Study on Fault Detection of Off-design Performance for Smart UAV Propulsion System (스마트 무인기용 가스터빈 엔진의 탈설계 영역 구성품 손상 진단에 관한 연구)

  • Kong, Chang-Duk;Kho, Seong-Hee;Choi, In-Soo;Lee, Seung-Heon;Lee, Ch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7.04a
    • /
    • pp.245-249
    • /
    • 2007
  • In this study a model-based diagnostic method using the Neural Network was proposed for PW206C turbo shaft engine and performance model was developed by SIMULINK. Fault and test database to build the NN was obtained at various off-design operating range such as flight altitude, flight Mach number and gas generator rotational speed variation. According to the fault detection analysis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fault detection method could find well the fault of compressor, compressor turbine and power turbine at on-design point as well as off-design point conditions.

  • PDF

A Study on fault Detection of Off-design Performance for Smart UAV Propulsion System (스마트 무인기용 가스터빈 엔진의 탈설계 영역 구성품 손상 진단에 관한 연구)

  • Kong, Chang-Duk;Kho, Seong-Hee;Ki, Ja-Young;Lee, Chang-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1 no.3
    • /
    • pp.29-34
    • /
    • 2007
  • In this study a model-based diagnostic method using the Neural Network was proposed for PW206C turbo shaft engine and performance model was developed by SIMULINK. Fault and test database to build the NN was obtained at various off-design operating range such as flight altitude, flight Mach number and gas generator rotational speed variation. According to the fault detection analysis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fault detection method could find well the fault of compressor, compressor turbine and power turbine at on-design point as well as off-design point conditions.

Automated Plan Of Harmful Birds At Air Force Runways Using CNN (CNN을 활용한 공군 활주로 유해조류 퇴치 자동화 방안)

  • Bok-Yeong Kang;Hyeon-Jun Ko;Kyu-Hui Kim;Jae-In Min;Mi-Suk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1051-1052
    • /
    • 2023
  • 조류충돌(Bird Strike)은 경제적 손실, 인명적 피해를 야기하여 공군의 항공작전을 제한하는 위협요소이다. 현 공군에서는 조수퇴치조(Bird Alert Team)의 경보 발령에 의존하거나 조류의 행동을 연구하는 등 인적 역량에 의존하는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CNN을 이용하여 활주로의 유해조류를 인식 및 분류하는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제안이다. 웹캠을 활용한 실시간 유해조류를 인식하는 연구를 통해 향후 운항관제대와의 연계, 지향성 조류퇴치 장비와의 연동 방안을 제시하여 공군의 조수퇴치조(Bird Alert Team)에 대한 자동화를 실현하고 공군에서 추진중인 스마트 비행단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Design of Morphing Airfoil Using Shape Memory Alloy Actuator (형상기억합금 작동기를 이용한 모핑 에어포일 설계)

  • Noh, Mi-Rae;Koo, Kyo-Na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4 no.7
    • /
    • pp.562-567
    • /
    • 2016
  • Morphing wing which has a configuration optimized to flight speed and condition is faced to a lot of barriers to be overcome such as actuator technique, structural mechanization technique, flexible skin material, control law, and so on. As the first step for developing a morphing wing with rapid response, we designed and fabricated the morphing airfoil using a SMA(shape memory alloy) wire actuator and torsional bias springs. The design concept of the morphing airfoil was verified through operation test. The measured results show that the flap deflects smoothly and fast.

Cybersecurity of The Defense Information System network connected IoT Sensors (IoT Sensor가 연결된 국방정보통신망의 사이버보안 연구)

  • Han, Hyun-Jin;Park, Dea-W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4 no.6
    • /
    • pp.802-808
    • /
    • 2020
  • The IoT(Internet of Things) i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sensor technology and high-spee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the number of IoT connected to the network is increasing more than the number of people, and the increase is also very fast. In the field of defense, IoT is being deployed in various fields such as operations, military, base defense, and informatization, and the need is also increasing. Unlike the existing PC/server information protection system, cyber threats are also increasing as IoT sensors, which are vulnerable to information protection, are increasing in the network, so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latform to protect the defens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we investigated the case of connecting wired and wireless IoT to the defense network, and presented an efficient interlocking design method of the IoT integrated independent network with enhanced security by minimizing the contact point with the defense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