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쉰 목소리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7초

비대칭 4 질량 성대 모델에 의한 쉰목소리 분석 (Hoarse Speech Analysis Using Dissymmetric Four-Mass Model of Vocal Cords)

  • 장강의;진혜방;최태영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94-101
    • /
    • 1995
  • 본 논문에서는 쉰 목소리 메커니즘 분석을 위한 4질량 성대 모델을 제안하였다. 쉰 목소리가 성대의 병리학적 변화에 기인한다는 것과 성문 파형이 성대의 움직임 상태를 반영한다는 사실에서, 병든 성대를 비대칭 구조이고 4질량형으로 가정하였다. 정상 목소리와 쉰 목소리에 대한 모델 변수들과 성문 파형을 분석하여 모델 변수와 병리학 사이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쉰 목소리의 음향 특징과 병리학간의 관계를 밝힐 수 있었고 후두 질병 진단과 쉰 목소리의 음질 향상에도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을 알았다.

  • PDF

우리나라 이비인후과 외래환자의 인.후두 역류증상 발병빈도 조사(One Week Survey 결과) (Prevalence of Laryngo-pharyngeal Reflux(LPR) Related Symptoms at the Out Patient Department in Korea : One Week Survey)

  • 최홍식;김형태;서장수;왕수건;조재식;최건;홍기환;김석일;이원철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87-97
    • /
    • 2000
  • 1999년 4월 일주일간 전국 101개 병의원의 이비인후과 외래를 방문한 신환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이비인후과 전문의의 진찰을 통하여 인.후두 위산역류중(LPR)의 발병빈도와 그와 관련된 사항들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이비인후과 신환 전체 진단 병명의 24%, 이비인후과 신환 환자 중 25%에서 LPR 관련 증상 또는 진찰소견이 확인되었다. 2) LPR 관련 진단명으로는 인두이물감증후군(Glo-bus syndrome)이 27%로 가장 많았으며, 역류성후두염, 만성후두염 등의 순이었다. 3) 여성에서 남성보다 많았으며, 40, 50, 60대에 흔하여 노인성 변화와의 관련이 의심되었다. 4) 비만도와는 큰 상관관계가 없었음. 5) LPR의 3대 주증상은 인두이물감, 만성적 목청소, 원인모를 쉰 목소리였음. 6) LPR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는 피곤함, 정신적 스트레스, 술, 담배, 자극성있는 음식, 커피 등이었음. 7) 목소리를 직업적으로 쓰는 사람에서 LPR 증상의 발현이 높았음. 8) 과거 병력상 위질환과 잦은 편도염이 많았음.

  • PDF

청소년 갑상선 중독증에서 발현된 가역적 오트너 증후군에 대한 드문 증례 보고 (Reversible Ortner's Syndrome as a Presenting Feature of Thyrotoxicosis in an Adolescent: A Rare Case Report)

  • 서예린;김정재;김민범;이정섭;고수연;김두리;남인출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5호
    • /
    • pp.1158-1162
    • /
    • 2023
  • 오트너 증후군은 중증 심혈관질환에 의해 대동맥궁과 폐동맥 사이에 왼쪽 되돌이후두신경이 압박되면서 마비가 발생하는 질환으로 쉰 목소리가 특징적 증상이다. 조절되지 않는 갑상선중독증은 폐동맥 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는데, 이때 확장된 폐동맥에 의하여 대동맥궁과 폐동맥 사이를 주행하는 왼쪽 되돌이후두신경이 물리적 영향을 받게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발생한 쉰 목소리는 갑상선중독증의 적절한 치료를 통해 완전히 회복될 수 있지만, 초기에 원인에 대한 이해가 없어 진단이 늦어질 경우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거나 불필요한 수술적 치료의 위험이 있어 영상의학적 판단이 중요하다. 이에 갑상선 중독증을 보인 청소년에서 발생한 오트너 증후군이 갑상선 중독증에 대한 약물 치료 후 호전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동맥궁을 침범한 침투성 동맥경화성 궤양의 파열 - 1예 보고 - (Ruptured Penetrating Atherosclerotic Ulcer Involving the Aortic Arch - A case report -)

  • 조광리;강재걸;진성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0호
    • /
    • pp.704-707
    • /
    • 2007
  • 대동맥궁을 침범하는 침투성 동맥경화성 궤양은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급성 어깨 통증과 쉰 목소리를 주소로 내원한 78세 남자 환자에서 원위부 대동맥궁부터 근위부 하행대동맥에 걸쳐있는 파열된 침투성 동맥경화성 궤양이 발견되었다. 완전순환정지하에서 인조혈관을 사용하여 원위부 대동맥궁과 근위부 하행대동맥에 대한 패치봉합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원발성 국한성 후두 기관기관지형 유전분증 1예 (A Case of Primary Localized Laryngo-tracheobronchial Amyloidosis)

  • 이석정;리원연;정순희;권우철;이선녕;이남석;김상하;신계철;용석중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5권6호
    • /
    • pp.532-536
    • /
    • 2008
  • 저자들은 가래를 동반한 기침과 쉰 목소리로 내원한 68세 남자에게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으로 우중엽 무기폐를 확인하고 기관지경 및 생검을 시행하여 후두와 기관기관지에 국한된 유전분증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특발성 종격동 섬유증 2례에 대한 보고 (Idiopathic Mediastinal Fibrosis (2 case))

  • 정재승;이성호;손호성;조성준;선경;김광택;정운용;김한겸;김형묵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2호
    • /
    • pp.113-117
    • /
    • 2003
  • 특발성 종격동 섬유증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특별한 원인 없이 종격동에 섬유화가 진행되는 질환이다. 본 증례는 요통을 주소로 내원한 41세 남자환자와 쉰 목소리를 주소로 내원한 65세 남자환자에서 종격동에 종괴가 관찰되었고 진단적 목적의 흉강경을 이용한 조직 생검을 시행하여 조직 소견상 특발성 종격동 섬유증으로 진단된 2 례를 보고하였다. 수술 소견은 2 례 모두에서 종괴가 매우 단단하였고 주위조직과 단단히 유착되어 있었으며 주위조직과 명확한 경계가 없이 섬유화가 심하였다. 현미경 소견에서 염증세포의 침윤과 함께 다량의 교원질 및 섬유 아세포를 관찰할 수 있었나. 수술 후 약물치료는 시행하지 않았고 5개월과 7개월 추적관찰 중에 합병증은 없었으며 종격동 섬유화의 진행도 보이지 않았다.

전문 음성사용자와 직업적 음성사용자의 주관적 음성증상 비교 (Comparison of subjective voice symptoms in elite vocal performers and professional voice users)

  • 김지성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5권4호
    • /
    • pp.27-34
    • /
    • 2023
  • 본 연구는 임상현장에서 직업에 따라 요구되는 음성문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전문 음성 사용자인 직업배우와 직업적 음성사용자인 언어재활사의 주관적 음성증상을 조사하여 그 빈도를 알아보고, 두 집단 간의 주관적 음성증상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은 동일하게 11개의 증상 중 '노래 시 고음발성 곤란', '말할 때 목에 힘이 들어감', '음성피로감'이 고빈도 증상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의 주관적 음성증상을 비교한 결과 직업적 음성사용자 집단은 전문 음성사용자 집단에 비해 '노래 시 저음발성 곤란(p=.049)', '쉰 목소리(p=.021)', '말할 때 힘이 듦(p=.032)', '말할 때 목에 통증이 있음(p=.009)', '음성피로감(p=.018)'의 빈도가 더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두 집단의 음성사용 환경이 다르고, 직업활동 시 요구되는 발성의 차이로 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후두각화증에 대한 임상적 고찰 (Hyperkeratosis of the Larynx)

  • 김광문;김기령;홍원표;최은창;장미숙;정우희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3-41
    • /
    • 1991
  • 1983년도부터 1990년까지 7년 동안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영동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에 내원하여 후두각화증으로 조직학적 확진을 거친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총 환자수는 26명으로서 남녀비는 22:4로 남자에서 월등히 높았으며 연령별로는 남자는 50대, 여자는 50대 및 60대에서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침윤성 암 1례를 포함해서 이형성 후두각화증을 보인 예는 총 10례였는데 역시 남자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다. 3) 조직학적으로 크게 3가지로 분류하였는데 단순성 각화증이 16례(61.5%), 국소적 이형성이 있는 각화증이 7례(26.9%)이었고 상피내암(Carcinoma in situ)은 2례, 침윤성 암(Carcinoma) 1례로 확인되었다. 4) 주 증상으로는 쉰 목소리를 전례에서 호소하였으며 증상이 나타나면서 내원하기까지의 지속시간이 24개월 이하가 19례(73.1%)로 조사되었다. 5) 흡연 경력은 17례(65.4%)이며 10-20년이 10례(38.8)로 많은 빈도수를 보였다. 6) 재발은 모두 9례로서 1례가 침윤성 암으로 재발하였다.

  • PDF

소아 간이식에서 Posttansplant Lymphoproliferative Disorder (PTLD): 삼성서울병원의 경험 (Posttransplant Lymphoproliferative Disorder in Pediatric Liver Transplantation: Samsung Medical Center Experience)

  • 최연호;이석구;서정민;조재원;김성주;이광웅;박제훈;고영혜;권기영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6권1호
    • /
    • pp.39-46
    • /
    • 2003
  • 목 적: EBV의 초감염과 면역억제의 강도는 소아 간이식에서 PTLD 발생의 주요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삼성서울병원에서 6년간 경험한 PTLD 5례의 임상양상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대 상: 1996년부터 2002년 6월까지 41례의 소아간이식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이중 7명이 사망하였고, PTLD로 사망한 1명을 포함한 35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방 법: 공여자의 EBV 항체가 양성이고 수혜자가 음성일 경우 고위험군으로, 그 외의 경우를 저위험군으로 정의하였다. 위험군 분류, 면역억제제 종류, 간이식이 행하여진 나이, 수술 후 PTLD 진단까지의 기간, 수술 후 EBV 항체의 양전 시기, 거부반응에 대한 치료 여부, PTLD의 증상들인 발열, 설사, 빈혈, 장출혈 식욕부진 저알부민혈증 등의 발현 여부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1) PTLD는 전체 소아 간이식 환아 41명 중 5명에서 발생하였다(12.2%). 고위험군은 16명으로 이 중 5명(31.3%)에서 PTLD가 발생하였고 저위험군 19명중에서는 한 명도 발생하지 않았다. 2) 사망례를 제외한 4명은 tacrolimus로 면역억제 치료를 받았으며 수술 당시 나이는 평균 10.8개월이었고 수술 후 PTLD 진단까지 평균 9.8개월이 걸렸 다. EBV 양전 시기는 수술 후 평균 6개월이었다. 3) 사망례를 포함한 5명 중 3명에서 PTLD 진단 이전에 간이식 거부반응이 있었고 스테로이드 pulse 치료 등 면역억제를 증가시키는 치료를 행하였었다. 4) 한 명에서 쉰 목소리 증상이 발견되어 조직검사 상 후두 PTLD와 장 PTLD로 진단하였고 나머지 네 명은 모두 혈변이 있었으며 대장 조직검사 상 장 PTLD로 진단하였다. 5) 빈혈과 저알부민 혈증은 모든 환아에서 나타나고 있었고 발열, 설사, 장출혈이 5명 중 4명에서 보였으며 식욕부진은 5명 중 3명에서 나타났다. 결 론: 10%가 넘는 발병률을 보이는 PTLD는 소아 간이식 후 매우 중요한 합병증으로서 특히 EBV의 고위험군에서 31%에 이르는 발병률을 가지고 있는 바 이들에 대하여 EBV 상태와 면역억제 유지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빈혈, 저알부민혈증, 발열, 설사, 장출혈 등이 동반할 때에는 PTLD를 의심해 볼 수 있다. PTLD의 공통적인 발병양상으로는 첫째, 공여자가 EBV 양성이고 수혜자가 음성이면서, 둘째, EBV가 수술 후 6개월 경 양전되며, 셋째, 1세 전후에 수술을 시행하고 넷째, 간이식 거부반응을 겪으면서 면역억제의 강도가 높아졌을 경우 등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