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술어-논항 구조

Search Result 18,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Relation Extraction based on Composite Kernel using Pattern Similarity of Predicate-Argument Structure (술어-논항 구조의 패턴 유사도를 활용한 혼합 커널 기반 관계 추출)

  • Jeong, Chang-Hoo;Chun, Hong-Woo;Choi, Yun-Soo;Song, Sa-Kwang;Choi, Sung-P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c
    • /
    • pp.276-279
    • /
    • 2011
  • 문서 내에 존재하는 개체 간의 관계를 자동으로 추출할 때 다양한 형태의 문서 분석 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개발되어 비교적 높은 성능을 보여준 트리 커널의 구절 구조 유사성 정보와 두 개체 사이의 유의미한 연관관계를 표현하는 술어-논항 구조 패턴의 유사성 정보를 활용하는 혼합 커널을 제안한다. 구문적 구조를 이용하는 기존의 트리 커널 기법에 술어와 논항 간의 의미적 구조를 활용하는 술어-논항 구조 패턴 유사도 커널을 결합하여 상호보완적인 혼합 커널을 구성하였고, 실험을 통하여 개발된 커널의 성능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구절 구조 정보를 이용하는 트리 커널만을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보다 술어-논항 구조의 패턴 정보를 결합한 혼합 커널을 사용했을 때에 더 좋은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관계 인스턴스에 대한 구절 구조 정보뿐만 아니라 개체 간의 유의미한 연관관계를 표현해주는 술어-논항 구조 패턴 또한 관계 추출 작업에 매우 유용한 정보임을 입증하고 있다.

String Kernel-based Relation Extraction using Lexical Patterns of Predicate-Argument Structure (술어-논항 구조의 어휘 패턴을 이용한 스트링 커널 기반 관계 추출)

  • Jeong, Chang-Hoo;Choi, Sung-Pil;Chun, Hong-Woo;Hong, Soon-Chan;Jung, Han-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b
    • /
    • pp.327-329
    • /
    • 2012
  • 문서 내에 존재하는 중요한 개체들 간의 관계를 자동으로 추출할 때 개체와 개체 사이의 상호작용 표현에 중요하게 관여하는 핵심자질을 잘 선택할수록 빠르고 정확하게 관계 추출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체 쌍 사이에 존재하는 술어-논항 구조의 어휘 패턴 문자열을 정규화해서 스트링 커널에 적용하는 관계 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 평가를 위해서 과학기술문헌에 존재하는 중요한 개체들 간의 연관관계 추출 성능 평가를 수행하는 테스트컬렉션을 자체적으로 구축하였으며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측정하였다. 정확도 실험 결과, 스트링 커널의 입력으로 문장 전체를 사용한 경우에는 55.0693%, 개체 쌍 사이의 문자열을 사용한 경우에는 61.0331%, 그리고 술어-논항 구조의 어휘 패턴 문자열을 사용한 경우에는 69.14%로, 술어-논항 구조의 어휘 패턴 문자열을 사용했을 때 성능이 가장 좋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문장 내의 술어-논항 구조를 분석하여 정규화된 어휘 패턴을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문자열을 스트링 커널에 적용하는 방법이 관계 추출에 유용한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Relation Extraction based on Composite Kernel combining Pattern Similarity of Predicate-Argument Structure (술어-논항 구조의 패턴 유사도를 결합한 혼합 커널 기반관계 추출)

  • Jeong, Chang-Hoo;Choi, Sung-Pil;Choi, Yun-Soo;Song, Sa-Kwang;Chun, Hong-Woo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2 no.5
    • /
    • pp.73-85
    • /
    • 2011
  • Lots of valuable textual information is used to extract relations between named entities from literature. Composite kernel approach is proposed in this paper. The composite kernel approach calculates similarities based on the following information:(1) Phrase structure in convolution parse tree kernel that has shown encouraging results. (2) Predicate-argument structure patterns. In other words, the approach deals with syntactic structure as well as semantic structure using a reciprocal method. The proposed approach was evaluated using various types of test collections and it showed the better performance compared with those of previous approach using only information from syntactic structures. In addition, it showed the better performance than those of the state of the art approach.

A Design of Frame File Extension Tool for Korean PropBank (한국어 PropBank 프레임 파일 확장 도구 설계)

  • Lee, Jung-Kuk;Kim, Yu-Seop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1.10a
    • /
    • pp.126-129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PropBank의 구축을 위한 동사의 프레임 파일 확장 및 구축에 대한 연구를 논한다. 문장 단위의 의미 분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는 의미 역 결정을 위해서 필요한 언어자원중, PropBank는 동사의 술어-논항 구조를 태그해 놓은 말뭉치로써 가장 널리 쓰이는 언어자원 중 하나이다. PropBank는 크게 술어-논항 구조를 태그한 말뭉치와 개별 동사들의 논항 구조를 기술한 프레임 파일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어 PropBank 구축을 위해서는 구문 표지 부착 말뭉치에 술어-논항 구조의 표지 부착 작업 및 한국어 동사의 프레임 파일의 구축 및 확장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세종 계획에서 발표한 용언 격틀 파일을 사용하여 기존의 한국어 PropBank 프레임 파일을 확장하는 도구를 설계하였다.

  • PDF

한국어 합성 동사성 명사의 어휘구조와 다중 동사성명사 구문

  • 류병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Language and Information Conference
    • /
    • 2001.06a
    • /
    • pp.141-144
    • /
    • 2001
  • 본 논문의 목적은 ‘다중 동사성 명사 구문’(Multiple Verbal Noun Construe-tions)의 논항실현 양상을 이론 중립적으로 고찰해 보고, 이 분석을 제약기반 문법 이론인 최근의 핵 심어주도 구구조문법 (Head-driven Phrase Structure Grammar)틀 안에서, 특히 다중계승위 계를 가정하는 제약기반 어휘부를 기반으로 형식화해 논항의 실현과정을 기술하고 설명하는 것이다. 우선 일본어의 유사한 현상을 분석한 Grimshaw & Mester (1988)의 격실현 양상에 관한 일반화를 기반으로 한국어 동사성명사구문의 논항실현 양상을 ‘논항전이’ (argument transfer)라는 이론적 장치를 이용해 형식화할 수 있음을 보이고, 동사성 합성명사의 논항구조를 만들기 위해 ‘논항합성’(argument composition)이라는 이론적 장치를 제안한다. 나아가서 다중 동사성 명사구문의 논항실현 과정에서 보이는 겹격표지 현상을 ‘격 복사’(case copying)를 제안해 동사성 명사의 격표지가 합성 명사에서 분리되어 문장단위에서 실현될 때 동일한 격을 복사해 실현한다는 점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수동과 능동 등 문법기능의 변화현상에서 하위범주화된 요소들의 격변화가 자의적이 아님을 실례를 들어 보여 주고자 한다. 일본어의 경동사 (light verbs)에 관한 분석 인 Grimshaw Meste, (1988) 이래 한국어에서도 이와 유사한 구문에 대한 재조명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Ryu (1993b), 채희락 (1996), Chae (1997) 등 참조). 한국어에서 ‘하다’와 동사성명사(verbal nouns)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동사성명사구문’ (Verbal Noun Constructions)에 대한 기존의 논의는 대부분 하나의 동사성 명사가 ‘하다’나 ‘되다등 소위 문법기능을 바꾸는 ‘경동사’들과 결합하여 복합술어가 되는 문법적 현상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와 비교해서 동사성 명사의 어근이 두 개 이상 결합하여 동사성명사들끼리 합성명사(compound nouns)를 이루고 그 동사성 합성명사가 문법기능의 변화를 바꾸는 ‘경동사’와 결합하여 이루어진 복합술어에 대해서는 논의가 거의 없는 형편이다. 특히 이 지적은 핵심어주도 구절구조문법틀 내에서는 논란의 여지가 없다. 본 논문의 대상은 바로 이러한 합성 동사성명사의 논항구조와 동사성명사에 의해 하위범주화된 논항들의 문법적 실현양상이다.

  • PDF

An Autonomous Modular Account of Double Accusatives (이중대격에 대한 자율모듈적 분석)

  • Kim, Kyunghw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10
    • /
    • pp.74-82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multi-modular account of double accusative constructions in Korean in the framework of Autolexical Grammar. The grammar views syntactic, semantic, and morphological structures of sentences as modules which are generated simultaneously and independently. Unlike syntactocentric theories, this paper analyzes semantic characteristics of double accusatives through function-argument (F/A) structure along with roles structure (RS) and information structure (IS). In F/A structure of double accusatives, the first accusative becomes an argument of a predicate, unlike the possessive, which is an argument of a relational noun. Furthermore, the first accusative of double accusatives takes the role of patient in RS, which allows it to become the subject of a passive sentence.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accusative, which is originally the possessee, becomes a focal area in IS. Therefore, the purpose of double accusatives is twofold: one is to turn the possessor into an independent argument of a predicate which takes patient role, and the other is to turn the possessee into a focus. Such semantic characteristics of double accusatives can be expressed by means of multi-dimensional structures of F/A structure, RS, and IS of Autolexical Grammar, which allows an integrated account of the phenomenon.

Semantic Structure of Double Nominative Constructions (이중주격구문의 의미구조)

  • Kim, Kyunghw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5
    • /
    • pp.338-343
    • /
    • 2020
  • This paper provides a semantic account of double nominative constructions in the framework of Autolexical Grammar, which views syntax, semantics, morphology, and other language components as modules generated simultaneously and independently. Some syntactocentric models in the past analyzed double nominatives as a result of possessor raising, ECM or incorporation. This paper provides a semantic explication of double nominatives through function-argument (F/A) structure of internal possession and external possession. The possessum used in double nominatives is a relational noun which takes a possessor as its argument in F/A structure. If the possessor directly combines with the relational noun, then internal possession is generated. If the possessor is a gap in F/A structure, then the argument which is coreferential with the gap combines later with the predicate, resulting in external possession, in which the possessor is in the nominative case. Unlike internal possession, the F/A structure of external possession structurally shows that the sentence is predicated of the possessor.

Analysis of Sentential Paraphrase Patterns and Errors through Predicate-Argument Tuple-based Approximate Alignment (술어-논항 튜플 기반 근사 정렬을 이용한 문장 단위 바꿔쓰기표현 유형 및 오류 분석)

  • Choi, Sung-Pil;Song, Sa-Kwang;Myaeng, Sung-Hyon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9B no.2
    • /
    • pp.135-148
    • /
    • 2012
  • This paper proposes a model for recognizing sentential paraphrases through Predicate-Argument Tuple (PAT)-based approximate alignment between two texts. We cast the paraphrase recognition problem as a binary classification by defining and applying various alignment features which could effectively express the semantic relatedness between two sentences. Experiment confirmed the potential of our approach and error analysis revealed various paraphrase patterns not being solved by our system, which can help us devise methods for further performance improvement.

Processing Korean Relative Adnominal Clauses (한국어 관계관형절의 전산처리)

  • Hong, Jung-Ha;Lee, Ki-Y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e
    • /
    • pp.265-271
    • /
    • 1999
  • 이 논문은 한국어 관계관형절(relative adnominal clause)의 전산처리에 적합한 통사 의미 표상 모형을 제시하고, 그 결과를 전산적 구현을 통해서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다음의 두 가지 문제를 중심으로 관계관형절의 통사 의미 표상과 전산적 구현 문제를 다룬다. 첫째, 관계관형절의 수식을 받는 머리 명사(head noun)는 관계관형절과 모문(matrix sentence)에서 각각 다른 의미역할을 하는 논항이다. 즉, 하나의 논항이 두 개의 의미역을 표상한다. 이 논문의 첫째 과제는 이러한 관계관형절 구문에서 머리 명사의 이중의미역을 표상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둘째, 관계관형절이 일항술어로 구성될 때, 서술어 단독으로 머리 명사를 수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격중출 구문을 관계화하여 미리 명사를 수식할 수도 있다. 그러나 모든 일항술어가 주격중출 구문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주격중출 구문의 관계화가 가능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의 둘째 과제는 이러한 주격중출 구문의 관계화와 그 표상의 문제를 다루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단순히 기술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전산 구현을 통해 문제해결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구현 도구로 C-언어를 보강하여 개발한 문법개발 도구언어인 말라가(Malaga)를 사용하며, 분석결과를 자질구조(feature structure)로 명시하여 그 타당성을 검토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