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순 사망률

Search Result 98,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건강도우미

  • The Diabetic Association of Korea
    • The Monthly Diabetes
    • /
    • s.203
    • /
    • pp.22-43
    • /
    • 2006
  • 지난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05년 사망원인통계결과에 의하면 2005년에 각종 암으로 사망한 사람은 총65만명으로 사망원인 중 1위를 차지했다.(전체 사망자의 26.7%), 그 다음으로는 뇌혈관 질환,심장질환,자살,당뇨병 순으로 통계 됐다. 2005년에 가장 많이 사망한 암은 폐암으로 전체 사망자의 28.4%인 13,805명이였으며, 다음으로는 위암(22.6%), 간암(22.5%), 데장암(12.5%), 췌장암(7%)의 순으로 나타났다. 사망률이 가장 많이 증가한 암은 2004년과 같이 폐암이며, 그 다음으로는 대장암,췌장암,전립선암이다. 반면 사망률이 가장 많이 감소한 암은 위암이고, 그 다음이 자궁암이다. 이렇듯 암은 한국인에게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질병 중에 하나이며,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사망하고 있다. 10월호에서는 과연 암이란 어떤 질병이고, 어떻게 우리의 생명을 위협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PDF

Visualization of Regional Mortality Ratios by Major Causes of Death (주요 사망원인에 대한 지역별 사망비율 가시화)

  • Ryu, Woo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8.05a
    • /
    • pp.149-151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visualize and to analyze differences of regional mortality rates by major causes of death. We use causes of death statistics from KOSIS and compare regional mortality rates divided by national mortality rates by three causes of death. To do this, we define regional mortality ratio and regional age-standardized mortality ratio, and visualized by choropleth map using R. As a result, In case of neoplas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region. In case of circulatory system, Ulsan, Daegu, Busan and Gyungnam showed relatively high regional age-standardized mortality ratio. In case of respiratory system, the ratios were in order of Gangwon, Sejong, and Chungbuk.

  • PDF

Impact assesment of zooplankton by turbine of tidal power plant in Uldolmok waterway, Korea (울돌목 해역에서 조류발전 시설 터빈 가동에 따른 동물플랑크톤의 피해 영향)

  • Yoo Jeong-kyu;Nam Eun-jung;Myung Chul-so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6a
    • /
    • pp.507-511
    • /
    • 2005
  • 울돌목은 조류발전의 세계적인 최적지로 꼽히고 있으며 서해와 남해의 점이 지대로서 조류에 의해 해양 생물 군집의 대량 이동이 빈번한 곳이라 할 수 있다. 조류 발전 시설인 터빈의 가동은 물리적인 충격에 의해 해양 생물의 생태-생리 반응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네트를 이용한 1차 조사에서 터빈 가동에 의한 동물플랑크톤의 순 사망률은 $44.3\%$로 나타났다. 1차 조사 이 후 다이아프램 펌프를 이용한 조사 결과 중 출현 개체수가 높았던 조사에서 전체 동물플랑크톤의 순 사망률은 각각 $7.3\%,\;5.8\%$를 나타내었고, 요각류는 각각 $4.4\%,\;5.2\%$를 나타냈다. 물리적인 충격을 인위적으로 가한 실험에서 스트레스를 받은 요각류 Acartia hongi의 알 생산은 스트레스를 받지 않은 것보다 $1.8\~2.3$배 낮은 경향을 보였다. 본 조사에서 동물플랑크톤이 낮은 사망률을 보골 이유는 작은 크기의 생물이 우점하였기 때문이며 조사 결과에서 몸체가 비교적 단단하고 크기가 작은 요각류는 상대적으로 약한 부유유생보다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울돌목 조사 해역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은 크기가 작아 터빈의 물리적인 충격에 의한 사망률은 낮을 수 있으나 순간적으로 강한 스트레스를 받는다면 재생산을 포함한 생리활동이 저하될 수 있음을 보였다. 네트 및 펌프를 이용한 조사 결과에서 네트에 의한 채집은 터빈의 영향뿐만 아니라 빠른 유속으로 인하여 네트가 받는 압력에 의해 생물체가 손상되는 양상이 높아 사망률이 높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다이아프램 펌프는 생물 채집 시 오류를 최소화하는 장점은 있으나 채집의 장시간에 비해 매우 적은 생물량이 채집되는 단점을 보였다TEX>$96.5\%$에 미달하는 문제는 식물성 원료유로 제조한 고순도 바이오디젤과 혼합 사용하거나 감압 증류 공정을 통해 고농도의 폐식용유 바이오디젤을 제조하여 해결 가능하다. 대전시 신성동 소재의 음식점에서 수거한 폐식용유를 원료로 하여 생산한 바이오디젤의 차량 배출가스 실증 테스트 결과 경유 차량의 주 오염물질인 PM과 Soot 및 기타 오염물질의 배출량은 감소하였으나 NOx의 배출량은 약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구와 이해를 바탕으로 보존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되었다. 이런 모든 시편들을 각 탈염방법에 따라 탈염처리한 후 XRD와 SEM-EDS으로 분석한 결과 인철광과 침철광은 어떠한 변화도 보이지 않았고, 다만 적금광으로 동정된 시편만이 잔존하지 않았다. 철기 제작별 $Cl^-$ 이온 추출량과 탈염효과에 대한 비교 실험은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결과와 마찬가지로 단조 철제유물이 주조 철제보다 $Cl^-$ 이온을 많이 가지고 있었으며, 탈염 처리 후에는 $Cl^-$ 이온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K_2CO_3$와 Sodium 용액은 탈염처리에서 가장 적합한 탈염처리 용액으로 알수가 있었으며 특히 어떠한 탈염 용액으로 유물을 처리한다 해도 철제유물에 생성된 부식물은 제거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보존처리자는 유물 표면의 부식 상태만을 보고 처리하기 보다는 철기제작물로 고려하여 처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금속에 부식을 야기시키는 $Cl^-$ 이온과 부식물을 완전하게 제거하여 탈염처리를 하는 것이 유물 부식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TEX>$88\%$)였다.(P=0.063). 결론: 본

  • PDF

Estimation of Cancer Mortality among Koreans with Reference to $Ky{\breve{o}}ngsangnam-do$ Area (한국인 암사망률의 추정에 관한 연구 - 경상남도지역을 중심으로 -)

  • Lee, Moo-Song;Park, Tae-Soo;Ahn, Yoon-Ok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v.25 no.2 s.38
    • /
    • pp.115-126
    • /
    • 1992
  • To estimate the cancer mortality rates among Koreans, a mortality survey was carried out in the province of $Ky{\breve{o}}ngsangnam-do$. The study population are the beneficiaries of Korea Medical Insurance Corporation(KMIC), $Ky{\breve{o}}ngsangnam-do$ area, among which the 3,867 deaths occurred from January, 1989 to December, 1990, were reviewed to confirm the cancer deaths. These were based upon the death certificates and medical utilization records before dying which were available through the computerized databases on medical care utility of KMIC. The survey was conducted along three steps. At first, the death certificates were examined, as a second step medical utilization records were reviewed, and finally direct contacts to the family members of the deceased were done. As a result, 990 deaths were found due to cancer. Using them, age and sex specific cancer(all sites and several sites) mortality rates were estimated. Overall cancer mortality rate in the area was estimated 138.7 per 100,000 person-years in males, and 65.7 in females, respectively. And the orders of site-specific cancer mortality rates were the cancers of stomach, liver, lung, esophagus, and cancers of the hematopoietic system among males, In females, followed by gastric cancer, cancers of lung and liver are the 2nd and 3rd in rank, respectively and cancers of breast and uterine cervix are the 4th and the 5th in rank.

  • PDF

Consideration of the Cancer Claims in 1996 ('96년 '암'진단보험금 지급발생건에 대한 고찰)

  • Lee, Shin-Whi;Song, Hye-K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n life insurance medical association
    • /
    • v.18
    • /
    • pp.117-125
    • /
    • 1999
  • 암에 의한 보험금 지급의 증가와 관련하여 1996년, 1년 동안 당사에서 암진단보험금 수혜자에 대한 고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96년 암진단보험금 지급은 2,720건 발생하였고, 남자 777명(28.6%), 여자 1,943명(71.4%)였다. 2. 남녀별로 40대, 30대, 50대 순으로 암진단보험금이 지급되었으며, 남자에서는 각각 38.6%, 28.8%, 24.2%였고, 여자에서는 각각 31.8%, 30.3%, 26.6%였다. 3. 남자의 경우 위장계통 암이 323명(41.6%), 여자의 경우 생식기계통 암(유방암 포함)이 968명(52.4%)으로 가장 많았다. 4. 장기별 발생률은 남자는 위(27.5%), 간(22.0%), 폐(8.1%), 여자는 유방(21.2%), 위(14.9%), 자궁경부(13.2%)순으로 나타났다. 5. 경과기간별 암진단보험금 지급 양상은 가입 후 1년 이내 25.1%, 1년에서 2년 이하 18.9%, 1년 후 55.9% 발생하였다. 6. 6개월 이내 암진단보험금은 폐암(15.0%), 갑상선암(14.5%), 자궁경암(13.6%), 유방암(13.1%) 순으로 지급되었다. 7. '96년 암진단보험금 수혜자 중 사망은 '98년 10월 현재 805건(29.6%) 발생하였고, 암종류별 사망률은 간암(76.9%), 폐암(74.0%), 위암(36.3%) 순으로 높았다.

  • PDF

An Analysis on Korean Mortality Structure (한국인의 사망력 구조분석)

  • 이상식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13 no.1
    • /
    • pp.51-80
    • /
    • 1990
  • 한국의 사망력은 높은 수준의 성별 사망력 차이와 중년 남성의 급격한 사망력 상승을 그 구조적 특성으로 하고 있는데, 이러한 한국인 사망력 구조의 특이성은 직접적으로는 사망원인의 성별, 년령별 차별적 역활에 기인하며 간접적으로는 이들 원인의 차별성을 초래하는것으로 추정되는 경제개발기간동안의 사회, 경제 및 공공정책상의 변화 및 생활습관의 차이에서 기인된다고 보아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차이를 결과짓는 여러 요인들을 중심으로 한국인의 사망력 구조상에서 나타난 년령별 및 성별특성을 분석하는데 그 주요점을 두었다. 1985년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과에 의해 집계된 사망원인통계자료는를 활용하여 한국인의 사망력 구조의 특성을 사망원인과 관련시켜 연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종합될수 있다. 첫째, 40대 이후 남성의 높은 사망력에 의거한 요인들은 뇌혈관질환, 고혈압성질환, 암질환 및 기지 심질환 및 간의 악성신생물 순으로 중요하게 나타났다. 둘째, 0세에서의 남녀간의 기득개념의 차이는 차이는 초년 또는 청년층에서의 남녀간의 사망력 차이에서 보다는 40대 이상의 중장년층에서의 남녀간의 사망력 차이에서 비롯되었으며, 뇌혈관 질환, 악성간질환 및 고혈압성 질환, 간의 악성 신생물,및 기타 심질환 및 간의 악성 신생물 질환들이 중장년층에서의 남녀간의 사망력 차이를 결정하는데 주역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째, 위의 년령간의 및 남녀간의 사망력 수준의 차이를 결정짓는 주요한 사회적 간접요인들로는 첫째, 사회.경제개발과 함께 이어 병행되어온 보건정책들이 즈로 어린이 또는 여성에 편향된 결과 였으며, 둘째,환경적 요소로서 중년 남성들의 Social stress, 운동부족과 관련된 질병들과 공해, 먼지, 유해화학물 가스 등 산업재회와 관련된 질병들에 의한 사망률이 높으며, 세째, 행위적 요소로서 음주와 흡연과 관련된 질병들에 의한 중년 남성의 사망률이 높은것들로 요약될수 있다. 중년 남성의 높은 사망률은 기술적,사회적 경험이 축적된 노동력의 상실로서 국가적 손실이 크며, 고 년령층 인구의 구조적 측면에서도 성의 불균등을 초래하여 미혼 여성의 증가등 사회적인 기반문제의 주요한 요인이 되므로서 그 중요성은 지대하다고 할수 있겠다. 그러므로 이 문제는 국가적 사회적 차원에서 해결이 시급하며 그 해결책으로는 지금 까지 도외시 되어 왔던 중년 남성의 건강을 위한 프로젝트의 실지와 함께 이들에게 노출되어 왔던 운동 부족, 사회적 스트레스 및 산업재회의 해소 내지 제거에 대한 방안들이 연구 되어야 하겠다. 한편 음주 및 흡연등의 개인행위적 습관의 개선을 위한 사회 계몽활동의 추진 및 건전한 스트레스 해결책의 개발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 PDF

Death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신생아 중환자실의 사망에 관한 연구)

  • Koo, So-Eun;Kim, Hee-Young;Park, Kyoung-A;Lim, Gin-A;Park, Hye-Won;Lee, Byoung-Sop;Kim, Ellen Ai-Rhan;Kim, Ki-Soo;Pi, Soo-Young
    • Neonatal Medicine
    • /
    • v.16 no.2
    • /
    • pp.154-162
    • /
    • 2009
  • Purpose: Death is an important problem for physicians and parent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This study was intended to evaluate the mortality rate, causes of death, and the change of mortality rate by year for infants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Methods: We retrospectively surveyed the medical records of the infants who were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t Asan Medical Center and who died before discharge between 1998 and 2007. Gestational age, birth weight, gender, time to death and the underlying diseases related to the causes of infant deaths and obtained from the medical records and analyzed according to year. Results: A total of 6,289 infants were admitted and 264 infants died during the study period. The overall mortality rate was 4.2%. For very low and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the mortality rate was 10.6% and 21.4%,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mortality rate during the study period. Prematurity related complications and congenital anomalies were the conditions most frequently associated with death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f the infant deaths 37.1% occurred within the first week of life. Conclusion: Even though a remarkable improvement in neonatal intensive care has been achieved in recent years, the overall mortality rate has not changed. To reduce the mortality rate, it is important to control sepsis and prevent premature births. The first postnatal week is a critical period for death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Retrospective Analysis of Equine General Anesthesia Performed at Korea Racing Authority (한국마사회에서 실시한 말의 전신마취에 대한 후향 분석)

  • Kim, Ahrham;Yang, Youngjin;Song, Daeyoung;Kim, Jinkap;Kim, Hagi;Kwon, Cheoljae;Seo, Eugene;Jeong, Hyohoon;Lee, Inhyung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v.31 no.2
    • /
    • pp.102-107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sults of inhalation anesthesia performed at the equine hospital of Korea Racing Authority (KRA) and to find out the influencing factors on mortality during and/or after inhalation anesthesia. Among 585 cases of anesthesia, orthopedic surgery (410) was performed the most frequently, followed by colic surgery (85) and upper airway surgery (45). Twenty out of 585 horses were either euthanized or died during and/or after anesthesia. Among those twenty horses, fourteen horses received colic surgery, three received orthopedic surgery, and three others received upper airway surgery. The major causes of mortality were rupture of intestine in colic surgery and airway obstruction during recovery in upper airway surgery. Myopathy, refracture, laminitis were the causes of mortality in orthopedic surgery. Consequently, the horses that received colic and upper airway surgeries showed significantly high mortality rate rather than horses that received orthopedic surgery (p < 0.01). According to the results, horses that received colic surgery showed the highest mortality rate from euthanasia due to poor and grave prognosis. To reduce the perioperative mortality of horses, it is recommended to perform perioperative intensive care for colic surgery and careful monitoring for upper airway surgery during recovery.

Clinical Features of Brain Abscesses in Neonates and Children: A Single Center Experience from 1997 to 2006 (단일기관에서 조사한 소아 뇌농양의 임상양상(1997-2006))

  • Lee, Teak Jin;Chu, Jin-Kyong;Kim, Ki Hwan;Kim, Khi Joo;Kim, Dong Soo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v.15 no.1
    • /
    • pp.30-35
    • /
    • 2008
  • Purpose : We evaluated clinical presentations of brain abscesses, including predisposing factors, causative organisms, and mortality rate in neonates and children.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charts of neonates and children with brain abscesses treated at Severance Hospital from January 1997 through December 2006. Results : Among 27 neonates and children with brain abscesses, overall mortality was 22 % and 38% of survivors developed neurologic sequelae. The mortality rate was 38% in 8 infants with brain abscesses. The most common location of brain abscesses were frontal and parietal lobes, followed by temporal lobe. There were 7 cases with multiple brain abscesses. Streptococci (33%), Staphylococci (27%), and Gram-negative enterics (20%) were commonly isolated. The common predisposing conditions were neurosurgical procedure (30 %), cyanotic congenital heart disease (15%), and sinusitis/otitis (7%). Fever (74%), headache (37%), nausea/vomiting (33%), and altered mental status (33%) occurred commonly. Compared with children older than 1 year of age, infants were associated with multiple brain abscesses (63%, P=0.011) and high rates of death or neurologic sequelae (88%, P= 0.033). Conclusion : We should have a high index of suspicion in order to recognize the condition as early as possible, especially in infancy with brain abscesses who presents vague or nonspecific symptoms and signs.

  • PDF

A Clinical Study of the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 Children (소아에서의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에 대한 임상적 고찰)

  • Lee, Taek Jin;Kim, Dong Soo;Shin, Dong Hwa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46 no.1
    • /
    • pp.42-50
    • /
    • 2003
  • Purpose : The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ARDS), an acute form of severe alveolar-capillary injury evolving after a direct or indirect lung insult is thought to be a common cause of respiratory failure though not many clinical studies on the subject have been made yet. Methods : Between January 1992 and December 2001,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on 33 children who fulfilled the definition of the ARDS recommended by the American-European Consensus Conference in 1994. Results : A total of 33 patients(20 boys and 13 girls) were selected. Their age ranged from 4 months to 12 years with seven children younger than 1 year. The overall mortality rate was 78.8%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based on age or sex. Concerning seasonal variation, incidence of the ARDS increased in spring, especially in May(21.2%). Pneumonia(66.7%) was found to be the most common risk factor of the ARDS followed by sepsis(24.2%) and aspiration(3.0%). In immune compromised children(six cases), including a recipient of bone marrow transplantation, the mortality rate was 100%. Compared with children with multiple organ failure recording a 83.3% mortality rate, those with isolated respiratory failure, showed a lower mortality rate of 33.3%, although stastistically insignificant. Between survivor and non-survivor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hematocrit, $PaO_2$, $PaCO_2$, PEEP, and $PaO_2/FiO_2$ on the seventh day after the onset of the ARDS. Conclusion : According to our study, respiratory failure proved to have a great effect on mortality rate in the ARDS. More aggressive intervention and further studies on this subject should be done to improve the survival 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