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순환신경망 모델

Search Result 19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Measuring Sentence Similarity using Morpheme Embedding Model and GRU Encoder for Question and Answering System (질의응답 시스템에서 형태소임베딩 모델과 GRU 인코더를 이용한 문장유사도 측정)

  • Lee, DongKeon;Oh, KyoJoong;Choi, Ho-Jin;Heo, Jeong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10a
    • /
    • pp.128-133
    • /
    • 2016
  • 문장유사도 분석은 문서 평가 자동화에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기술이다. 최근 순환신경망을 이용한 인코더-디코더 언어 모델이 기계학습 분야에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형태소임베딩 모델과 GRU(Gated Recurrent Unit)기반의 인코더를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언어모델을 한국어 위키피디아 말뭉치로부터 학습하고, 한국어 질의응답 시스템에서 질문에 대한 정답을 유추 할 수 있는 증거문장을 찾을 수 있도록 문장유사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 제시된 형태소임베딩 모델과 GRU 기반의 인코딩 모델을 이용하여 문장유사도 측정에 있어서, 기존 글자임베딩 방법에 비해 개선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질의응답 시스템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Measuring Sentence Similarity using Morpheme Embedding Model and GRU Encoder for Question and Answering System (질의응답 시스템에서 형태소임베딩 모델과 GRU 인코더를 이용한 문장유사도 측정)

  • Lee, DongKeon;Oh, KyoJoong;Choi, Ho-Jin;Heo, Je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6.10a
    • /
    • pp.128-133
    • /
    • 2016
  • 문장유사도 분석은 문서 평가 자동화에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기술이다. 최근 순환신경망을 이용한 인코더-디코더 언어 모델이 기계학습 분야에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형태 소임베딩 모델과 GRU(Gated Recurrent Unit)기반의 인코더를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언어모델을 한국어 위키피디아 말뭉치로부터 학습하고, 한국어 질의응답 시스템에서 질문에 대한 정답을 유추 할 수 있는 증거문장을 찾을 수 있도록 문장유사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 제시된 형태소임베딩 모델과 GRU 기반의 인코딩 모델을 이용하여 문장유사도 측정에 있어서, 기존 글자임베딩 방법에 비해 개선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질의응답 시스템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Automatic Evaluation of Elementary School English Writing Based on Recurrent Neural Network Language Model (순환 신경망 기반 언어 모델을 활용한 초등 영어 글쓰기 자동 평가)

  • Park, Youngk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1 no.2
    • /
    • pp.161-169
    • /
    • 2017
  • We often use spellcheckers in order to correct the syntactic errors in our documents. However, these computer programs are not enough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cause their sentences are not smooth even after correcting the syntactic errors in many cases. In this paper, we introduce an automated method for evaluating the smoothness of two synonymous sentences. This method uses a recurrent neural network to solve the problem of long-term dependencies and exploits subwords to cope with the rare word problem. We trained the recurrent neural network language model based on a monolingual corpus of about two million English sentences. In our experiments, the trained model successfully selected the more smooth sentences for all of nine types of test set. We expect that our approach will help in elementary school writing after being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for smart devices.

A Comparative Study of Speech Parameters for Speech Recognition Neural Network (음성 인식 신경망을 위한 음성 파라키터들의 성능 비교)

  • Kim, Ki-Seok;Im, Eun-Jin;Hwang, Hee-Yung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1 no.3
    • /
    • pp.61-66
    • /
    • 1992
  •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that uses neural network models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but the main trend was finding the neural network models and learning rules appropriate to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However, the choice of the input speech parameter for the neural network as well as neural network model itself i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the improvement of performance of the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system using neural network. In this paper we select 6 speech parameters from surveys of the speech recognition papers which uses neural networks, and analyze the performance for the same data and the same neural network model. We use 8 sets of 9 Korean plosives and 18 sets of 8 Korean vowels. We use recurrent neural network and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6 speech parameters while the number of nodes is constant. The delta cepstrum of linear predictive coefficients showed best result and the recognition rates are 95.1% for the vowels and 100.0% for plosives.

  • PDF

Attention/LIME method to analyze decision process of RNN (Attention과 LIME기법을 활용한 순환신경망의 의사결정 요인 분석)

  • Yoon, Joo-Sung;Park, Jong-Cheol;Ha, Jong-Su;An, Jin-Hyeon;Kim, Hyeon-Cheol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7.08a
    • /
    • pp.253-256
    • /
    • 2017
  • 딥러닝으로 만들어진 모델의 내부는 black box와 같은 특성을 가져 동작 규칙을 알기 어렵다. 최근 기계학습의 발전으로 인공지능이 전보다 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나 위와 같은 이유로, 모델이 내린 판단의 근거를 알기 어렵다. 그러므로 딥러닝의 동작 규칙을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형식으로 나타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Attention과 LIME 기법을 활용하여 IMDB 데이터를 감성 분석한 순환신경망의 의사결정 요인을 분석하였다. 각 기법을 활용했을 때의 장단점과 실제 구현에 있어 등장하는 문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Application Assessment of water level prediction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in Geum river basin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금강 유역 하천 수위예측 적용성 평가)

  • Yu, Wansikl;Kim, Sunmin;Kim, Yeonsu;Hwang, Euiho;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24-424
    • /
    • 2018
  •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은 뇌에 존재하는 생물학적 신경세포와 이들의 신호처리 과정을 수학적으로 묘사하여 뇌가 나타내는 지능적 형태의 반응을 구현한 것이다. 인공신경망은 학습(training)을 통해 입력과 출력으로 구성되는 하나의 시스템을 병렬적이고 비선형적으로 구축할 수 있으며, 유연한 모델링 특성으로 인하여 시스템 예측, 패턴인식, 분류 및 공정제어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인공신경망에 대한 최초의 이론은 Muculloch and Pitts(1943)가 제안한 Perceptron에서 시작 되었으며, 기본적인 학습기법인 오차역전파 기법(back-propagation Algorithm) 이 1980년대에 들어 수학적으로 정립된 이후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도추적, 구체적으로는 상류단의 복수의 수위관측을 이용하여 하류단의 수위를 예측하기 위하여 인공신경망 모델을 구성하였다. 대상하도는 금강유역의 용담댐과 대청댐 사이의 본류이며, 상류단 입력자료로써 본류에 있는 수통, 호탄 관측소 관측수위와 지류인 송천 관측소 관측수위를 고려하였다. 출력 값으로는 하류단의 옥천 관측소 수위를 3시간 및 6시간의 선행시간으로 예측하도록 인공신경망 모형을 구성하였다. 인공신경망의 학습(testing), 시험(testing), 검증(validation)을 위해 2000년부터 2012년까지 13년간의 시수위자료를 이용하여 학습을 진행하였으며, 2013년부터 2014년의 2년간의 수위자료를 이용한 시험을 통해 최적의 모형을 선정하였다. 또한 선정된 최적의 모형을 이용하여 2015년부터 2016년까지의 수위예측을 수행하였다.

  • PDF

Hybrid Document Summarization using a TextRank Algorithm and an Attentive Recurrent Neural Networks (TextRank 알고리즘과 주의 집중 순환 신경망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문서 요약)

  • Jeong, Seok-won;Lee, Hyeon-gu;Kim, Harkso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7.10a
    • /
    • pp.47-50
    • /
    • 2017
  • 문서 요약은 입력 문서가 가진 주제를 유지하면서 크기가 축약된 새로운 문서를 생성하는 것이다. 문서 요약의 방법론은 크게 추출 요약과 추상 요약으로 구분된다. 추출 요약의 경우 결과가 문서 전체를 충분히 대표하지 못하거나 문장들 간의 호응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순환 신경망 구조의 모델을 이용한 추상 요약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입력이 길어지는 경우 정보가 누락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추출 요약으로 입력 문서의 중요한 일부 문장들을 선별하고 이를 추상 요약의 입력으로 사용했을 때의 성능 변화를 관찰한다. 추출 요약을 통해 원문 대비 30%까지 문서를 요약한 후 요약을 생성했을 때, ROUGE-1 0.2802, ROUGE-2 0.1294, ROUGE-L 0.3254의 성능을 보였다.

  • PDF

Hybrid Document Summarization using a TextRank Algorithm and an Attentive Recurrent Neural Networks (TextRank 알고리즘과 주의 집중 순환 신경망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문서 요약)

  • Jeong, Seok-won;Lee, Hyeon-gu;Kim, Harksoo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0a
    • /
    • pp.47-50
    • /
    • 2017
  • 문서 요약은 입력 문서가 가진 주제를 유지하면서 크기가 축약된 새로운 문서를 생성하는 것이다. 문서 요약의 방법론은 크게 추출 요약과 추상 요약으로 구분된다. 추출 요약의 경우 결과가 문서 전체를 충분히 대표하지 못하거나 문장들 간의 호응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순환 신경망 구조의 모델을 이용한 추상 요약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입력이 길어지는 경우 정보가 누락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추출 요약으로 입력 문서의 중요한 일부 문장들을 선별하고 이를 추상 요약의 입력으로 사용했을 때의 성능 변화를 관찰한다. 추출 요약을 통해 원문 대비 30%까지 문서를 요약한 후 요약을 생성했을 때, ROUGE-1 0.2802, ROUGE-2 0.1294, ROUGE-L 0.3254의 성능을 보였다.

  • PDF

Real-Time Visual Grounding for Natural Language Instructions with Deep Neural Network (심층 신경망을 이용한 자연어 지시의 실시간 시각적 접지)

  • Hwang, Jisu;Kim, I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05a
    • /
    • pp.487-490
    • /
    • 2019
  • 시각과 언어 기반의 이동(VLN)은 3차원 실내 환경에서 실시간 입력 영상과 자연어 지시들을 이해함으로써, 에이전트 스스로 목적지까지 이동해야 하는 인공지능 문제이다. 이 문제는 에이전트의 영상 및 자연어 이해 능력뿐만 아니라, 상황 추론과 행동 계획 능력도 함께 요구하는 복합 지능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시각과 언어 기반의 이동(VLN) 작업을 위한 새로운 심층 신경망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모델에서는 입력 영상에서 합성곱 신경망을 통해 추출하는 시각적 특징과 자연어 지시에서 순환 신경망을 통해 추출하는 언어적 특징 외에, 자연어 지시에서 언급하는 장소와 랜드마크 물체들을 영상에서 별도로 탐지해내고 이들을 추가적으로 행동 선택을 위한 특징들로 이용한다. 다양한 3차원 실내 환경들을 제공하는 Matterport3D 시뮬레이터와 Room-to-Room(R2R) 벤치마크 데이터 집합을 이용한 실험들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모델의 높은 성능과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Abnormal sonar signal detection using recurrent neural network and vector quantization (순환신경망과 벡터 양자화를 이용한 비정상 소나 신호 탐지)

  • Kibae Lee;Guhn Hyeok Ko;Chong Hyun Lee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42 no.6
    • /
    • pp.500-510
    • /
    • 2023
  • Passive sonar signals mainly contain both normal and abnormal signals. The abnormal signals mixed with normal signals are primarily detected using an AutoEncoder (AE) that learns only normal signals. However, existing AEs may perform inaccurate detection by reconstructing distorted normal signals from mixed signal.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we propose an abnormal signal detection model based on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and vector quantization. The proposed model generates a codebook representing the learned latent vectors and detects abnormal signals more accurately through the proposed search process of code vectors. In experiments using publicly available underwater acoustic data, the AE and Variational AutoEncoder (VAE) using the proposed method showed at least a 2.4 % improvement in the detection performance and at least a 9.2 % improvement in the extraction performance for abnormal signals than the existing mod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