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순환미분말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24초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사용한 저탄소형 시멘트의 조직 및 상분석 (Image and Phase Analysis of Low Carbon Type Recycled Cement Using Waste Concrete Powder)

  • 송훈;신현욱;이종규;추용식;박동천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2권4호
    • /
    • pp.314-320
    • /
    • 2014
  • 시멘트산업은 건설산업에의 기초소재를 공급하는 중추이지만 시멘트 제조시 고온의 소성이 필요하고 소성시의 원료 및 연료로부터 발생하는 $CO_2$와 구조물 해체시 발생하는 건설폐기물은 새로운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폐콘크리트 미분말의 리사이클을 통해 시멘트로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기존의 불활성 충전재로서의 활용에서 벗어나 화학적 특성을 기반으로 배합조건을 조절하여 클링커 및 시멘트를 제조하고 미세조직 및 상분석을 실시하여 저탄소형 시멘트 개발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활용한 저탄소형 시멘트 제조가 가능하며 유효활용을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유무기 복합 자전거 도로 포장재의 기초적 특성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Organic-Inorganic Hybrid Packaging Materials for Bike Paths using Industrial By-products)

  • 오동욱;이건철;김영근;조정기;김나영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94-10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산업부산물로서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이용하는 유무기 복합 자전거 도로 포장재의 개발을 목적으로 바인더 대비 아크릴 수지의 최적 배합 및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최적 치환량 검토에 대한 기초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아크릴 수지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응결시간은 지연되어 플로는 증가하고 재료분리가 발생하며, 강도는 감소하고, 길이변화율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아크릴 수지의 최적 배합은 작업성을 유지하면서 높은 강도를 발현한 아크릴 수지가 40%인 배합이 최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치환량이 증가할수록 응결시간이 지연됨에 따라 재료분리가 일어나 아크릴 수지와 바인더가 분리되고, 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고로 슬래그 미분말의 치환량이 40% 이하에서 목표 물성을 만족하였다.

  • PDF

플라이애시와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혼합 사용한 지오폴리머 모르타르의 강도발현 및 내구성 (Strength Development and Durability of Geopolymer Mortar Using the Combined Fly ash and Blast-Furnace Slag)

  • 류금성;고경택;이장화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35-41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시멘트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지오폴리머 콘크리트를 개발할 목적으로 시멘트 대신에 결합재로 고로슬래그 미분말 또는 고로슬래그 미분말과 플라이애시를 혼합 사용한 지오폴리머 모르타르의 강도발현과 탄산화 및 동결융해 저항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리고 비교를 위해 보통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한 일반 모르타르에 대해서도 동일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지오폴리머 모르타르는 일반 시멘트 모르타르에 비해 강도발현, 동결융해 저항성 측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로슬래그와 플라이애시를 혼합사용한 지오폴리머 모르타르는 압축강도 60MPa 이상 달성이 가능하고, 일반 시멘트 모르타르에 비하여 동결융해 저항성은 20% 정도 향상되나, 탄산화 속도는 2.2~3.5배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라이애시 및 석회석 미분말을 사용한 고유동 노출 콘크리트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Exposed High Fluidity Concrete using Fly Ash and Limestone Powder)

  • 최연왕;오성록;김지훈;김경환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67-75
    • /
    • 2013
  • 최근 노출 콘크리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노출 콘크리트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구조물은 점차 복합한 단면 및 조밀한 철근으로 인하여 기존의 노출 콘크리트용 일반 콘크리트를 적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노출 콘크리트에 고유동 콘크리트를 적용하기 위하여 플라이애시 및 석회석 미분말을 사용한 고유동 노출 콘크리트를 제조하였으며, 콘크리트의 품질특성(유동특성, 역학특성 및 표면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배합은 OPC 및 LSP10을 기준배합으로 하였으며, FA 혼합률(0, 10, 15 및 20)에 따라 콘크리트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고유동 노출 콘크리트의 유동특성, 역학특성 및 표면특성은 소요 요구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플라이애시 및 석회석 미분말의 혼합에 따라 유동성 및 표면마감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노출 콘크리트용 고유동 콘크리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자료로써 활용하고자 한다.

순환골재 용출수를 활용한 고로슬래그 미분말 혼입 모르터의 강도특성 (A Study on the Hydration Property of Mortar with Balst Furnace Slag using Water Eluted from Recycled Coarse Aggregates)

  • 신상엽;정의창;김영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2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81-8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hydration properties of motar using Blast-Furnace Slag(BFS) with water elured from recycled coarse aggregat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 that the water eluted from recycled coarse aggregate mixed with blast furnace slag has comparatively higher hydration activity than the mortar not mixed with one in early-age mortar causing the calcium hydroxide in the recycled coarse aggregate to work on as a stimulus to the hydration of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BFS mixed with the eluting water the hydration reaction was a promotion.

  • PDF

순환골재 및 소각장 애시를 자극제로 사용한 고로슬래그 미분말 다량치환 콘크리트의 Mock-up 성능평가 (Mockup Test of the High Volume Blast Furnace Slag Concrete Using Recycled Aggregates and Incinerator Ash)

  • 김영희;곽용진;김준호;이향재;한민철;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2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9-21
    • /
    • 2012
  •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cinerator ash on engineering properties of the high volume blast furnace slag concrete through Mock-up test. Test results revealed that the use of recycled aggregates resulted in increase of slump compared with the OPC concrete. But, the use of recycled aggregates did not affect the results of air contents and chloride contents. The use of recycled aggregates showed shortening of setting time of high volume blast furnace slag concrete. When the recycled aggregate was used, delay in strength development at early age happened with high volume blast furnace slag concrete compared with that of OPC concrete.

  • PDF

석고종류 및 소각장애시 치환율 변화에 따른 고로슬래그 미분말 활용 무시멘트 모르타르의 공학적 특성 (Engineering Properties of Zero-Cement Mortar with Variation Replacement Ratio of Incineration Waste Ash and Gypsum)

  • 박준희;황금광;김준호;조만기;한민철;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4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22-223
    • /
    • 2014
  • In this study, industrial by-products including blast furnace slag, incineration ash and waste gypsum were used with recycled fine aggregates to manufacture the zero-cement mortar.The replacement ratio of dihydrate gypsum and anhydrite gypsum was fixed as 0 and 10%, the replacement ratio fo WA1 was fixed as 0.5% and 1.0%, respectively. It could be identified that when the replacement of gypsum was 10% and WA1 of 1.0%, the strength could be in the range of normal strength.

  • PDF

순환잔골재 치환율 변화에 따른 고로슬래그 미분말 모르터의 기초적 특성 (Fundamental Properties of Blast Furnace Slag-Based Mortar Made with Recycled Fine Aggregate)

  • 김영희;한상윤;손호정;이향재;한민철;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1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13-214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bast furnace-based mortar made with recycled fine aggregate. Results showed that increasing recycled fine aggregate accelerated setting time, proportionally increased the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 of mortar specimens. However, it is concluded that for quality and cost effectiveness, the optimum content of this recycled fine aggregate in mortar was found to be 80%.

  • PDF

고로슬래그 미분말 모르터에 시멘트 및 순환잔골재 치환율 변화에 따른 품질특성 (Effect of Partial Replacement with Cement and Recycled Fine Aggregate on Properties of Blast Furance Slag-Based Mortar)

  • 김영희;펑해동;손호정;이향재;한민철;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1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15-216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partial replacement with cement on the properties of blast furnace slag-based mortar. Recycled fine aggregate with various contents was used to activate the hydration of blast furnace slag in the mortar and compared its effect on strength development. Results showed that increasing cement and recycled fine aggregate increased the strength of mortar specimens. However, this study found that the mortar made with partial replacement of river sand with recycled fine aggregate of 20% developed a similar strength to the strength that cement with 10% can achiev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