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순환기

Search Result 1,66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Concurrent Downflow Circulating Fluidized Reactor (Downflow 순환유동층에서의 열전달 특성)

  • 김용전;방진환;김상돈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8.05a
    • /
    • pp.27-30
    • /
    • 1998
  • 지난 수십 년간 순환유동층과 riser 반응기에 관한 연구는 상당한 진전을 이뤄왔다. 비록, 순환유동층(riser)반응기가 전형적인 유동층에 비해 여러 가지 장점 -높은 기-고의 접촉효율, 높은 기체와 고체의 처리량, 기상과 고상의 낮은 축방향 분산, 높은 turndown ratio, 점결성 입자의 처리-을 가지고 있으나, 불균일한 기-고의 흐름에 의한 고체의 역혼합(back-mixing)으로, 기체와 고체의 반경방향의 분리를 일으켜 두상간의 접촉을 감소시켜 생성물의 균일성과 선택도를 감소시킨다. 이러한 riser 반응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기-고의 하향흐름을 갖는 downer(downflow) 반응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중략)

  • PDF

Evaluation the Impact of Installing a Isolation Valve on Condensate System of Nuclear Power Plan (원자력발전소 복수기 수실 차단밸브 설치 영향 평가)

  • Lee, Sun-Ki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18 no.4
    • /
    • pp.15-21
    • /
    • 2020
  • Because there are no isolation valves in condensate system of nuclear power plants, circulating water pump was shutdown for the condenser repair. When circulating water pump was shutdown, power plant output decreased about 45%. These output decreasing can minimize by establishing isolation valves. In this paper, evaluated effect to flow conditions change of condensate system, structural integrity of system, condenser pressure of in case of establish isolation valves to condensate system. Results of the evaluation, the flow rate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isolation valve decreased 0.3% when the valve was fully opened and 4.5% when fully clos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vacuum degree of the condenser decreased with decreasing flow rate, but the integrity of the system was maintained.

Development of water use flow estimation method according to temporal flow variation for securing available water (가용수량 확보를 위한 이수유량의 기간별 산정 방법 개발)

  • Lee, Eul Rae;Choi, Hyun Gu;Kim, Han Na;Lim, Ji Sang;Lee, S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52-252
    • /
    • 2017
  • 지금까지 이수유량의 산정은 공급의 안정성을 보장하고자 보수적인 관리체계를 유지해왔다. 시공간적 하천유량의 변동에도 최대 용수수요를 만족할 수 있게끔 기준갈수량을 기준으로 이수유량을 산정하였다. 이는 공급의 안정성은 보장되나 연중 동일 기준을 적용하여 홍수기와 같이 물량이 많은 경우에 있어서 추가적인 유량사용이 불가능하였다. 이에 따라 기존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고 시 공간적인 하천유량의 변화를 고려하여 가용수량을 확보하며 물사용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이에 선행 연구인 시 공간적 유량변화를 반영한 탄력적인 하천수 사용허가 기준유량 설정방법에서는 홍수기/이수기, 관개기/비관개기를 고려하여 4개의 기간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수기/홍수기 구분을 제외하고 시기별 변화가 큰 농업용수 사용 시기를 기준으로 관개기/비관개기만을 고려하여 이수 유량의 산정방안을 검토하였으며, 이를 통해 각 기간별로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한 기준유량 산정방법을 제시하여 기존의 방법을 개선하고자 한다. 위방법론을 적용한 결과, 기간별 탄력적인 기준유량의 산정으로 수량확보시설을 설치하지 않고 관리기준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금호강 유역에서는 약 56.6백만$m^3$/년, 내성천 유역에서는 약 43.4백만$m^3$/년의 유량을 확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추가적인 인프라를 구축하지 않고 관리기준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가용유량의 추가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탄력적 이수유량 산정 방법을 통해 확보된 수량은 신규 수원 확보 사업의 추진 및 이를 위한 예산 확보 등의 정책적인 어려움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될 수 있으며, 또한 용수공급 안정도를 유지하면서 하천수의 효율적인 활용에도 기여할 수 있다.

  • PDF

Analysis of Residence Time Distribution in Extrusion Process Including the Effect of 3-D Circulatory Flow (3차원 순환 유동효과를 고려한 압출공정에서의 체류시간 분포해석)

  • 권태헌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3 no.2
    • /
    • pp.135-147
    • /
    • 1991
  • 압출공정 중에 화학반응이 수반되는 경우에 화확반응은 온도와 체류시간분포 (Residence Time Distribution (RTD))에 의해 결정되므로 압출기의 설계 및 공정조건의 확 립에 있어서 RTD를 정확히 측정하거나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RTD를 예측하기 위 해 제안된 종래의 방법은 압출기내에서의 유동을 2차원으로 단순화하여 RTD와 체류시간분 포함수 f(T)와 누적 체류시간 분포함수 F(T)를 해석적으로 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RTD에 관한 해석방법은 실제압출기 내부에서 일어나는 3차원적 순환유동(Circulatory Flow)을 정확하게 고려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논문에서는 RTD를 정확하게 예 측하기 위하여 3차원 순환유동을 고려한 RTD를 구하는 방식을 제시하고 f(T)에 관한 새로 운 공식을 유도하였다. 새로운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서 유사 3차원(Quasi-3-Dimensional) 유한요소 해석법을 이용하여 속도분포를 구한 후에 순환유동을 고려한 RTD 및 f(T), F(T) 를 계산하였다. 순환유동이 고려안된 종래의 방법에 따른 계산 결과와 비교한 결과로서 종 래의 방식은 순환유동이 고려안되었기 때문에 RTD를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수 있 었다.

  • PDF

Separation and Collection of Carbon Dioxide using Circulatory Hollow Fiber Membrane Contactor (순환식 중공사막 접촉기를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분리 및 기술)

  • 이용희;이용택;박유인;이규호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10a
    • /
    • pp.50-52
    • /
    • 1998
  • 1. 서론 : 오래전부터 기체를 액상에 분산시킴으로써 물질 전달 속도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기-액간의 접촉면적을 넓히려는 연구 즉, 기-액간의 접촉 경계면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기체흡수에 관한 연구가 다각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기존의 흡수장치에서는 기-액간의 접촉면적을 정확히 계산할 수 없고, 기체에 의한 액체의 범람이나 편류현상등이 발생하여 액체나 기체의 유속에 제한을 주는 등 기술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존 흡수공정들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 제안된 것이 막을 이용하여 기체와 흡수제인 액체의 접촉을 인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중공사막 접촉기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용성 흡수제가 흡수모듈과 탈착모듈을 순환하는 순환식 중공사막 접촉기를 이용하여 혼합기체(N$_2$/CO$_2$ = 80/20)로부터 이산화탄소를 선택적으로 분리.회수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흡수제의 농도, 유속변화, 그리고 진공식 탈착모듈에서 압력변화에 따른 기체투과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운전조건의 최적화와 그 응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Solid Circulation Characteristics in a 3 kW Chemical-looping Combustor (3 kW급 매체순환식 가스연소기의 고체순환특성)

  • Ryu, Ho-Jung;Park, Jaehyeon;Kim, Hong-Ki;Park, Moon-Hee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6 no.6
    • /
    • pp.1057-1062
    • /
    • 2008
  • To overcome disadvantages of conventional two interconnected fluidized beds system, a novel two-interconnected fluidized bed process has been adopted to 3kW chemical-looping combustor. This system has two bubbling beds, solid injection nozzles, solid conveying lines, and downcomers. In this study, effects of operating variables such as gas velocity through the solid injection nozzle, fluidizing velocity, solid height, geometry of solid intake hole, bed temperature on solid circulation rate have been investigated in a 3kW chemical-looping combustor. The solid circulation rate increased as the solid height and the opening area of solid intake holes increased. The effect of the fluidizing velocity and the bed temperature were negligible. Moreover, long-term operation of continuous solid circulation up to 50 hours has been performed to check feasibility of stable operation. The pressure drop profiles in the bubbling beds and the downcomers were maintained steadily and solid circulation was smooth and stable.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High-Power Low-Loss Waveguide Circulator for Ka-band Millimeter-Wave Seeker (밀리미터파대역(Ka-대역)탐색기용 고 전력 저 손실 도파관 순환기 개발에 관한 연구)

  • Jung, Chae-Hyun;Han, Sung-Min;Baek, Jong-Gyun;Lee, Kook-Joo;Park, Chang-Hyun;Kwon, Jun-Beom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7 no.6
    • /
    • pp.83-88
    • /
    • 2017
  • In this paper, a 3-port waveguide circulator of Ka-band millimeter-wave for isolation between transmit channel and receive channel at high power transmit mode is designed and fabricated for the seeker of the guided missile and circulator performance is verified through the S-parameter, high power and operation temperature test. At the configuration design, interface design between a seeker antenna and the circulator is considered and half-height of standard waveguide is applied for minimum and light weight body. The shape of permanent magnet and ferrite is optimized by simulation and tuning dielectrics at each port are placed for the best performance. In Fc(center frequency)${\pm}1000MHz$, designed waveguide circulator has below -20 dB return loss, below 0.5 dB insertion loss and below -23 dB isolation. It is found that circulator characteristics is similar to design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