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순이론

Search Result 53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n the Hospital Name based on brand name spectrum theory (병원 브랜드 명칭의 특성 분석: 브랜드 네임 스펙트럼 이론의 적용)

  • Lee, kwang-soo;Hong, sang-gi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89-190
    • /
    • 2011
  • 이 연구는 브랜드 네임 스펙트럼 이론을 이용하여 병원 명칭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지역에 위치하는 모든 병원을 대상으로 하였고, 명칭은 의미있는 단위로 분류한 후 스펙트럼 이론에 따라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임의적 명칭의 빈도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암시적, 서술적, 그리고 조어적 명칭의 순이었다. 단일 스펙트럼 구성된 명칭이 가장 많았으며, 스펙트럼이 2개와 3개로 구분된 명칭의 순이었다.

  • PDF

A Research on Citation Order of Classification Scheme and Its' Application (분류체계 인용순 및 적용에 대한 연구)

  • Kim, Sung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0 no.2
    • /
    • pp.101-118
    • /
    • 2016
  • For the effective classification of complex subjects, a library classification scheme should adopt multiple division principles (or facets). Each of the multiple principles adopted for the division of complex subjects is sequentially applied at each stage of division. The order of application of these multiple principles during the process of division of complex subjects is called citation order. In order for a classification scheme to be consistent and logical, the citation order of division principles applied to classify complex subjects should be concrete and consistent. Especially, in case of enumerative classification system, decisions on citation order to represent complex subjects significantly affect the structure and organization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There are basic principles and theoretical canons of the classification theory on the citation order and its application, but they cannot be applied solidly in the process of classification system development for practical reasons. Therefore, this paper first reviews previous works on classification theories regarding citation order, then explores the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for the application of citation order.

부호이론의 개념 선형부호편

  • 이만영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11 no.1
    • /
    • pp.11-18
    • /
    • 1984
  • 부호이론(coding theory)은 그 내용이 매우 광범위할 뿐 아니라 군론, 환론, 본론 등 축예대수학과 확율론 및 수리통계학을 배경으로 발전된 학문이기 때문에 일반 속자를 상대로 논술하기에는 적지 않은 난점이 있다. 그렇다고 단순히 용어나열에만 그칠 수도 없고, 이론에 치중한 논문식으로 쓸수도 없으므로 대학 4년생을 위한 강의수준으로 소개하겠으며 3회에 걸쳐 선형부호(linear code), 순회부호(cyclic code), 길쌈부호(convolutional code)의 순으로 연재하기로 하겠다.

  • PDF

A Theoretical Study of Natural Convection in the Anmuli between Two Horizontal Elliptic Cylinders with Uniform Gap (간격이 균일한 수평타원 환상공간에서의 자연대류에 관한 이론적 연구)

  • 이재순;서정일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8 no.4
    • /
    • pp.351-359
    • /
    • 1984
  • 본 연구에서는 열전달계수의 이와같은 변수의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론적 연구가 수행되지 않는 기하학적 형태에 대한 열전달 계수의 Rayleigh수 와 간격비 및 Prandtl수에 관한 간단한 상관관계식을 제시하였다.

A Study on Discriminant.Classification Model of Impact Factors about Understanding of Traffic Accident Causes and Acknowledgement to Decrease Traffic Accidents (교통사고 발생원인 인식과 감소대책 인지 영향요인 판별.분류에 관한 연구)

  • 고상선;배기목;이원규;정헌영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7
    • /
    • pp.143-153
    • /
    • 2002
  • 본 연구는 교통사고의 발생원인에 대한 인식유형과 감소대책에 대한 인지 유형별 영향요인의 정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량화이론 II류와 CHAID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류모델과 판별모델을 구축하였다. 수량화이론 II류에 의한 교통사고 발생원인에 대한 인식 유형별 영향요인 판별모델은 전체 적중률이 78.4%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편상관계수는 설명변수의 항목 중 학력, 성별, 운전경력 년 수, 소유 차종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외적 변수인 교통사고 발생원인에 대한 유형에서는 기여 정도가 교통단속 부재 > 교통체계 미비 > 승용차 과다 사용 >잘못된 의식 때문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통사고 감소 대책에 대한 인지유형별 영향요인 판별모델은 전체 적중률이 59.9%로 높게 나타났으며, 편상관 계수는 학력, 성별, 운전경력 연수, 연령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고, 외적 변수인 교통사고 감소 대책에 대한 유형에서는 기여 정도가 교통단속 강화 > 대중교통수단 이용 유도 > 교통체계 개선 > 의식 개혁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CHAID 분석법에 의한 교통사고 발생원인에 대한 인식 유형별 영향요인 분류모델에 있어서는 예측변수로 학력, 연령, 성별, 통행수단의 네 가지 변수가, 교통사고의 감소 대책에 대한인지 유형별 영향요인 분류모델에 있어서는 학력, 운전경력 연수, 성별 그리고 통행수단의 네 가지 변수가 카이제곱 통계량 이 5%의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교통사고 발생원인 인식과 감소 대책의 인지 유형에 대한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은 의식과 관련한 유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판별.분류모델에서는 교통단속과 관련한 유형이 기여 정도가 높고 의식 관련 유형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는 등 반대양상을 보이고 있어 심리적으로 내재되어 있고 표면에 잘 드러나지 않았던 의식 수준의 낮음이 분류모델을 통해서 명확하게 드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