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숙종(肅宗)

Search Result 105,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태조본 석각 천상열차분야지도 정밀 측정 분석

  • Yang, Hong-Jin;Choe, Go-Eun;An, Yeong-Suk;Min, Byeong-Hui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5 no.2
    • /
    • pp.85.2-85.2
    • /
    • 2010
  • 우리나라에는 조선 태조와 숙종대에 돌에 새겨 만든 두 개의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가 남아 전하고 있다. 숙종본 천문도는 태조본을 다시 복각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천문도의 구성은 태조본의 뒷면과 같은 모습이다. 국보 228호로 지정된 태조본 천문도는 오랜 시간의 흐름에 따른 표면 마모로 명문이나 별자리 확인이 쉽지 않다. 특히, 태조본 뒷면은 심한 훼손으로 별의 크기 뿐 아니라 대부분의 별자리 확인도 어려운 상황이다. 지금까지 천문도 표면의 훼손으로 인해 태조본의 앞 뒷면과 숙종본에 새겨진 별의 위치와 크기를 정량적으로 비교하기가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숙종본 천문도의 별자리와 함께 태조본의 앞뒷면 천문도의 별의 위치 및 크기를 정량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2008년과 2009년에 걸쳐 태조본 석각 천문도를 3차원 정밀 측정하였다. 천문도 측정은 삼각측량과 간섭효과를 활용한 3차원 스캐너인 Breukmann을 사용하였으며 0.1mm 이내의 측정 정밀도로 측정하였다. 3차원 정밀 측정 자료는 유물 훼손을 대비한 복원 자료구축, 복제품 제작을 위한 기초자료 그리고 별자리 연구를 위한 천문자료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우리는 3차원 측정을 통해 석각 천문도의 전체 형태뿐 아니라 모든 별의 위치와 크기의 측정 자료를 DB화 하였으며, 이를 이용해 태조본의 앞 뒷면과 숙종본에 새겨진 별의 위치와 크기를 비교하고 각각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천문도에 새겨진 별의 크기와 실제 별의 밝기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 PDF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의 성전환

  • 황성일;김진도;변순규;이영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171-172
    • /
    • 2000
  • 성전환 연구는 놀래기류의 성전환과 산란 행동에 관한 연구(Robertson and Coat, 1974)와 국내에서 자성선숙종의 놀래기류(Lee et al., 1992),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 (Lee et al., 1996), 붉바리, Epinephelus akaara (Hwang et al., 1998) 등이 있으며 웅성선숙종의 성전환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중략)

  • PDF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Nondestructive Deterioration Assessment for the Celestial Chart Stone, Korea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의 재질특성과 비파괴 훼손도 평가)

  • Yoo, Ji Hyun;Lee, Myeong Seong;Choie, Myoungju;Ahn, Yu Bin;Kim, Yuri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7 no.4
    • /
    • pp.207-222
    • /
    • 2018
  • Celestial Chart Stones (original and reproduction)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are representative scientific cultural heritage of Korea. Material analysis and nondestructive deterioration assessment were conducted for long-term preservation of these stones. Materi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original was composed of slate and the reproduction was made of dolostone. The original consists of quartz, mica, dolomite minerals, while the reproduction was made up of dolomite, calcite and forsterite. Major deterioration factors of the original stone were cracks and breakouts. In case of the reproduction, scratches and artificial materials were mainly observed. The green and black surface contaminants present at the sides and back of the two celestial chart stones were interpreted as resin-based paint materials. The physical property evaluation using ultrasonic velocity showed a low velocity in the upper left side of the original, while the front right side of the reproduction showed a weak property. Meanwhile, the To-Tc method using ultrasonic velocity was applied to major cracks that impede stability of the original. As a result, it has been calculated that the beginning and the center of the crack are the deep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