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숙면유도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1초

슬리핑팩의 숙면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und sleep effects of a sleeping pack)

  • 박세진;전병배;정은희;구준모;홍연주;안성연;안순애;최지영;권미정;서형제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45-148
    • /
    • 2009
  • 심신의 편안함과 안정이 숙면에 미치는 영향은 널리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하여 보고되고 있다. 그리고 향에 대한 심리생리적 효과 또한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숙면 유도 향과 천연 추출물을 포함한 슬리핑팩의 효과에 대한 생리적 반응과 설문지를 통한 숙면의 정도를 조사하였다. 생리적 반응은 수면다원검사를 실시하여 수면지연시간, 3-4 단계의 비율을 비교 하였다. 실험결과 슬리핑팩 A와 B는 일반적 및 아무것도 바르지 않은 상태에 비해서 입면지연시간이 짧았고, 3-4 단계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설문지 결과 또한 슬리핑팩을 사용하고 수면을 취했을 때 숙면을 취한 것으로 피실험자들이 느꼈다.

  • PDF

키토산 유도체의 제조 및 면직물에의 응용

  • 김재영;정용식;김진우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137-140
    • /
    • 1998
  • 최근 면직물에 항균성을 부여하기 위해 생체친화성이 높은 키토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키토산이 갖고 있는 아미노기는 생체친화성과 항균성을 부여하며 미성숙면의 염색성향상, 의료용고분자 등에 응용되고 있다[1, 2]. 한편, 일반적으로 면직물에 키토산을 처리하면 섬유와 키토산은 화학결합이 아닌 반데르발스 결합 등의 약한 결합을 형성하기 때문에 내세탁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3, 4]. (중략)

  • PDF

MyBed : IoT 기반 수면 도우미 (MyBed : IoT Based Sleep Helper)

  • 유성민;김태준;김태한;김성일;허경용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23-424
    • /
    • 2021
  • 이 논문에서는 수면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면 환경을 최적으로 조절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수면 환경 분석은 로드셀을 통한 뒤척임 감지에 의한 수면 단계 판단을 기본으로 하고 온도, 습도, 조도 등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온열 장치, 가습기, 블라인드 등을 제어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수면 상태에 따른 수면 환경 제어는 기상하기 쉬운 수면 상태를 유도함으로써 기상 시에 피로감을 줄일 수 있다.

  • PDF

항로표지 기술적용 현황 및 향후 발전 방향

  • 백영선;김기원;강행근;정성수;김해근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2-14
    • /
    • 2022
  • 통신과 소재, 센서의 발전은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제품 개발을 유도하였다. 항로표지 또한 이러한 기술적인 변화의 흐름에 부합하기 위해 다양하게 진화 하고 있는 중이다. 기존에 기술적 측면에서 고려되어 앞으로 상용화 될 것이라 예측했던 각종 장비 및 기술들이 현실에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드론의 경우 택배, 농업, 소방, 해양안전등 다양한 방면에서 개발이 진행되어 상용화 되고 있으며, 자율주행 차량의 경우도 실제로 제품이 출시되어 운전자가 운전대를 조작하지 않고 숙면을 취하는 내용을 언론매체를 통해 종종 접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 및 장비가 과연 얼마나 항로표지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고 향후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한다.

  • PDF

고지방식이와 streptozotocin으로 유도된 당뇨 생쥐에서 β-glucan이 첨가된 보리숙면의 혈당조절과 면역력증진 효과 (Blood Glucose Control and Increase Immunity Effects of β-glucan added Cooked Barley Noodle in High-Fat Diet and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 박충무;윤현서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9-98
    • /
    • 2018
  • Purpos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blood glucose control and increase immunity effects of ${\beta}-glucan$ added cooked barley noodl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mice with a high-fat diet. Method : Forty-eight male ICR mice (6-week-old) were fed AIN-93 diet for 4 weeks. Mice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normal, diabetic, cooked barley noodle, ${\beta}-glucan$ (5 %) control and two experimental groups (${\beta}-glucan$ 2.5 % and 5 %, cooked barley noodle contained diet with ${\beta}-glucan$ 2.5 % and 5 % w/w). Diabetes mellitus was induc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streptozotocin (150 mg/kg). Result : Blood glucose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groups consuming cooked barley noodle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exhibited in diabetic and ${\beta}-glucan$ control group. These results were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 of oral glucose tolerance test. Blood interfereon $(IFN)-{\gamma}$ was measured in order to identify increase immunity effect of ${\beta}-glucan$ in diabetic mice. Inhibited $IFN-{\gamma}$ concentration was recovered in cooked barley noodle and ${\beta}-glucan$ control group. Moreover, $IFN-{\gamma}$ concentration was dramatically elevated in ${\beta}-glucan$ contained cooked barley noodle groups in a dose dependent manner. Streptozotocin induced AST and ALT activities were decreased in ${\beta}-glucan$ contained cooked barley noodle groups with a strong lipid lowering effect. Conclusion : Although addition of ${\beta}-glucan$n did not give any significant synergistic effect on cooked barley noodle in blood glucose regulation, suppressed $IFN-{\gamma}$ production by STZ was dramatically enhanced by ${\beta}-glucan$ supplementation in a dose dependent manner. Liver function and blood lipid profile were also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immunity effect of ${\beta}-glucan$. Consequently, ${\beta}-glucan$ added cooked barley noodle can be consumed as good diets for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with reduced immunity.

9시 등교정책이 중학생의 아침식사, 수면 및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chool Attendance Policy on Breakfast Eating, Sleep, and Physical Activity in Middle School Students)

  • 김하나;김성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1호
    • /
    • pp.1397-1407
    • /
    • 2017
  • 경기도 안산지역에 위치한 중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과 3학년 426명을 대상으로 9시 등교정책 실시에 따른 아침식사 섭취 빈도의 증가와 더불어 아침식사 관련인자, 간식, 수면 및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향 및 이들의 인식도에 대해 조사한 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자의 성별은 남학생이 222명(52.1%), 여학생이 204명(47.9%)이었으며 학년은 2학년 228명(53.5%), 3학년 198명(46.5%)이었다. 9시 등교정책 전 남학생의 약 39%가 '매일 식사를 했다'고 응답한 반면, 9시 등교정책 후에는 44.6%가 매일 아침식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여학생 또한 9시 등교정책 후 정책 전의 32.4%에서 35.8%로 약간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아침결식의 주된 이유는 9시 등교정책의 실시와 성별에 관계없이 '아침식사 시간의 부족', '입맛이 없어서'와 '늦게 일어나서'라는 응답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식 섭취 빈도는 9시 등교정책과 성별에 관계없이 '1~2회'가 가장 많았으나 9시 등교정책 전(P<0.05)과 후(P<0.05) 모두 '3~4회'와 '5회 이상'은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의 간식 섭취 빈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식 섭취의 주된 이유는 9시 등교정책과 성별에 관계없이 '배가 고파서'라는 이유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시간은 9시 등교정책 전과 후 모두 성별에 관계없이 '7~8시간'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9시 등교정책 후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8~9시간'의 응답 비율은 증가한 반면에 '7시간 미만'이라는 응답 비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남학생(P<0.05)과 여학생(P<0.01) 모두 9시 등교정책의 실시로 인해 수면시간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9시 등교정책 전(P<0.001)과 후(P<0.01) 모두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의 수면시간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주일에 30분 이상의 운동을 하는 빈도를 조사한 결과 9시 등교정책 전 남학생은 '3~4회'가 27.5%로 가장 많은 반면, 여학생은 '0회'가 44.1%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9시 등교정책 이후에도 남학생의 주당 운동 빈도는 여전히 '3~4회'가 28.4%로 가장 많은 반면, 여학생은 '1~2회'가 36.3%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9시 등교정책 후에도 여전히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의 운동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9시 등교정책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9시 등교정책이 아침식사 섭취 빈도를 증가시킨 것으로 인식한 남학생은 56.8%, 여학생은 53.9%였다. 숙면을 취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고 인식한 남학생은 39.2%, 여학생은 47.1%였으며 신체적인 피로도의 감소(남학생 40.1%, 여학생 38.2%) 및 신체적인 건강의 향상(남학생 36.5%, 여학생 32.8%)에도 기여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안산지역 중학생들은 9시 등교정책이 아침식사 섭취 빈도의 증가, 숙면 및 신체적인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9시 등교정책이 중학생들의 규칙적인 아침식사를 통한 깊은 수면의 유도 및 바람직한 신체활동을 통한 건강한 학교생활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학교와의 지속적인 협력 및 연계를 통한 국가차원의 정책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착유 시간 및 유처리 공정이 우유 내 멜라토닌 함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ilking Time and Dairy Processes on Melatonin Contents in Milk)

  • 강신호;백승천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1호
    • /
    • pp.1-4
    • /
    • 2008
  • 본 연구는 숙면 유도 호르몬으로 알려진 멜라토닌의 원유 및 유제품 내 함량을 방사면역측정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착유 시간에 따른 멜라토닌 함량은 새벽 4시에 착유한 원유 샘플의 멜라토닌 함량이 평균 $6.90{\pm}3.55pg/mL$로 나타났으며, 저녁 7시 및 낮 12시 착유 원유 샘플은 각각 $2.01{\pm}1.47pg/mL$$0.16{\pm}0.04pg/mL$로 나타나 새벽 착유 원유 내 멜라토닌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로봇 착유기를 사용하는 농가에서도 심야 및 새벽 착유 원유에서 멜라토닌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나 2개 목장 모두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2. 일반 우유 제품과 나이트 밀크 제품 간 멜라토닌 함량비교 시, 나이트 밀크의 멜라토닌 함량이 약 5배 정도 높은 결과를 보였다. 3. 일반 우유를 대상으로 원유, 균질 및 살균 등의 공정이 멜라토닌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수준은 매우 낮은 농도로 존재하였다.

  • PDF

Polyvinylidene Fluoride 진동센서를 이용한 코골이 검출 (Snoring Detection using Polyvinylidene Fluoride Vibration Sensors)

  • 지덕근;위연;김희선;임재중
    • 감성과학
    • /
    • 제14권3호
    • /
    • pp.459-466
    • /
    • 2011
  •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 등의 수면 질환은 정신적, 육체적 피로감을 유발하고 정상적인 활동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코골이는 공기가 좁아진 기도를 통과할 때 진동에 의해서 일어나는 호흡잡음이고, 수면 무호흡은 기도 주변의 조직이 이완됨에 따라 기도가 일시적으로 막히게 될 때 일어나는 현상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면 중 코골이를 검출하고 이를 경감하려는 많은 시도가 이루어져왔다. 본 연구에서는 수면 중 코골이 신호의 검출에 있어서 오류가 발생되는 원인인 주변 잡음이나 기타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새로운 센싱 시스템과 분석 알고리즘의 개발을 수행하였다. 센싱 시스템은 베개 내부에 내장되는 두 개의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진동 센서를 포함하고 있으며 검출되는 신호를 수집, 저장하는 하드웨어부와 코골이 신호를 판단하는 신호처리부로 이루어졌다. 베개에 내장되는 PVDF 센서 중 제 1센서는 코골이 신호를 검출하고 제 2센서는 코골이 신호 및 주변의 잡음을 검출한다. 본 실험에는 10명의 피험자가 참여하였으며 수면 중 잡음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 조건 하에서 신호를 검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잡음환경 하에서 코골이 신호가 코골이가 아닌 잡음에 비해 약 70% 이상의 에너지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잡음으로부터 코골이 신호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면 중 발생하는 코골이의 경감을 위한 베개의 개발과 정량적인 수면상태 평가를 통해 건강한 수면 환경을 제시할 수 있는 숙면 유도 시스템의 개발에도 활용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