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환경 평가

Search Result 13,127,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황복을 이용한 연안 지역 생물독성평가 기술 개발

  • 이규태;이정석;김동훈;김진형;한경남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Toocicolog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56-157
    • /
    • 2003
  •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해양과 하천, 호소 둥을 포함한 수생환경의 오염을 평가하기 위하여 COD 등 20여 가지의 일반수질항목을 조사하는 이화학적 분석 기술만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이화학적 분석 결과는 중금속이나 유기화합물 등 다양한 유해물질의 생태계에 대한 위해성을 정확하게 반영하는 데에 많은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선진국에서는 생물을 이용하여 환경내 유해물질의 위해성을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생물검정법을 개발하여 널리 이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최근 여러 종류의 생물검정법을 개발하여 오염평가에 이용하고자하는 노력이 있어왔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본 연구진은 다양한 국내산 생물을 이용하여 수생환경내 유해물질의 생물독성 평가기술을 개발하고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수역 어류인 황복의 독성평가 시험생물로서의 적합성을 평가하고 이 생물을 이용한 독성평가기술의 표준화를 위하여 다양한 유해 물질에 농도별로 실험 생물을 노출하는 일련의 급성 독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

Assessment of Environment - Friendly Degree in Road routes (국내 도로노선의 친환경도 평가 분석)

  • Kang, Ho-Geun;Kim, Sang-Tae;Kim, Heung-Rae;Park, Tae-Kweon;An, Seong-Sun;Lee, Sang-Eun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3 no.1
    • /
    • pp.129-138
    • /
    • 2011
  • This research has proposed a quantitative environmental assessment method of road routes based on the various policies and literature, and applied such proposal to the planned road routes to evaluate the environment-friendly road routes. Accordingly, the case sections per each region of Joong-bu, Gang-won, and Nam-bu were selected to execute the proposed environmental assessment method. Consequently,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distribution of environmental score of the subject region of each case section varied. In particular, for the Gang-won region, the high scores took up the most. Also, to indicate the degree of environment per each section, a route which minimizes the environmental effects per subject region was created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degree per each section. As a result, the section in the region with the highest environmental sensitivity, in other words the Gang-won region with many high scores, had the lowest environmental degree.

A study on Evaluation of streamflow station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station and Entropy (엔트로피 기법 및 측정 지점의 중요도를 고려한 관측소 평가 연구)

  • Shim, Eun Jeung;Lee, Ki Sung;Moon, Young Il;Jung, Sung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28-228
    • /
    • 2019
  • 오늘날 수자원 관리의 중요성과 관심이 매우 커지는 가운데 신뢰도 높은 수문자료의 생산은 매우 중요하다. 나아가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 등을 고려했을 때 효율적인 수문자료 확보를 위해 수문관측소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지표와 지점 중요도, 현장에서의 측정 및 하천환경 변화 등의 다양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환경부 2019년 낙동강 수계 측정지점을 대상으로 관측소의 객관적인 평가지표, 즉 관측소 설치목적에 따른 지점 중요도(하천 대표 유역, 홍수 및 갈수 예 경보, 유지유량, 갈수모니터링 등)를 고려한 관측소 평가를 실시하였다. 아울러 각 지점에 대한 측정경험과 하천환경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 자료를 바탕으로 측정 지점의 난이도와 관측소 변화 여부에 대한 평가 항목을 7가지로 분류, 평가하였다. 단순히 현장경험과 실용성에 중점을 둔 평가항목은 다소 주관적인 판단이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의사 결정 과정에서 데이터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는 엔트로피 기법을 적용하여 관측소 평가결과에 반영하였다. 그 결과 관측소 중요도가 높은 필수 지점 뿐 만 아니라 현장 여건이 고려되지 못한 지점들, 지점 특성에 따라 이설 및 관측망 조정이 필요한 지점도 다소 존재하였다. 효율적인 측정지점 선정을 위해서 관측소의 설치목적 뿐 만 아니라 설계홍수량이나 하천설계기준 수립 등의 객관적인 평가지표와 하천환경 변화 나아가 경제성 검토 등 다양한 요소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Deep Learning-Based Pedestrian Environment Assessment Factors Using Urban Street View Images (도시 스트리트뷰 영상을 이용한 딥러닝 기반 보행환경 평가 요소 분석)

  • Ji-Yeon Hwang;Cheol-Ung Choi;Kwang-Woo Nam;Chang-Woo Lee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8 no.6
    • /
    • pp.45-52
    • /
    • 2023
  • Recently, as the importance of walking in daily life has been emphasized, projects to guarantee walking rights and create a pedestrian environment are being promoted throughout the region. In previous studies, a pedestrian environment assessment was conducted using Jeonju-si road images, and an image comparison pair data set was constructed. However, data sets expressed in numbers have difficulty in generalizing the judgment criteria of pedestrian environment assessors or visually identifying the pedestrian environment preferred by pedestrian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interpret the results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assessment through data visualization by building a web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semantic segmentation result of analyzing the walking environment components that affect pedestrian environment assessors, it was confirmed that pedestrians did not prefer environments with a lot of "earth" and "grass," and preferred environments with "signboards" and "sidewalks." The proposed study is expected to identify and analyze the results randomly selected by participants in the future pedestrian environment evaluation, and believed that more improved accuracy can be obtained by pre-processing the data purification process.

암 사망 위해도 변화에 대한 지역별 지불의사금액 차이에 관한 연구 - 서울과 울산을 대상으로 -

  • 김예신;이용진;신동천;신영철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Toocicolog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64-165
    • /
    • 2003
  • 환경 중 오염물질 중에는 발암물질로 판명된 물질이 수 종 포함되어 있으며, 여러 선진국에서는 방대한 연구를 통하여 오염수준을 파악하고, 위해성 평가에 근거한 관리대책을 펴가고 있다. 하지만 여러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인체 위해성 평가결과만을 사용하여 환경 정책을 결정하기에는 그 결과가 반영하는 시야(scope)가 협소함을 느끼고, 다양한 측면(생태, 사회ㆍ경제, 삶의 질 등)을 함께 고려해야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 중 인체 위해성 평가 결과를 경제성 평가와 더불어 화폐가치화 하는 연구는 정책 결정자들과 일반인들에게 위해성 평가 결과를 쉽게 인지시키고, 비교를 더욱 편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현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PDF

An Effect Analysis between the Number of Worker Processes and Execution Time on a NOW (NOW 환경에서 작업자 프로세스의 수가 수행시간에 미치는 영향분석)

  • 조수현;김영학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a
    • /
    • pp.733-735
    • /
    • 2001
  • 최근 컴퓨터 하드웨어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고가의 슈퍼컴퓨터를 대신하여 저가의 컴퓨터들을 이용한 NOW 환경에서 복잡한 응용 문제들이 효율적으로 해결되고 있다. 일반적인 NOW 환경에서의 성능은 개개의 컴퓨터들의 계산능력과 통신시간에 좌우된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NOW 환경에서의 성능향상을 위한 여러 요소들을 살펴보고, 특히 작업자 프로세스 수가 전체 수행시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험적으로 성능평가를 통해 분석한다. 성능 평가들은 NOW 환경에서 LAM/MPI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PDF

Ecological Assessment Technique of Connectivity to Disconnected Floodplains by Levee (격리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의 생태적 연계성 평가 기술)

  • Cho, Kang-Hyun;Jin, Seung-Nam;Cho, Hyu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7-7
    • /
    • 2017
  • 범람파동 개념에 따르면 하도와 홍수터의 횡적 연결성은 하천 생태계의 생물다양성과 생산성 증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제방에 의하여 제내지 홍수터가 하도와 차단된 우리나라 하천에서 생태적 서비스를 증대하기 위해서 횡적 연결성을 복원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횡적 연결성의 복원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우선 하도와 홍수터 사이에 생태적 연결성의 현황을 파악하고 연결성을 저해하는 요인을 진단하는 평가 기술 개발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방에 의하여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에서 수리적, 생태적 횡적 연결성을 평가하고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연결성 회복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 평가는 1)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단된 하천공간을 탐색하고, 2) 탐색된 전체 재내지에서 원격평가에 의하여 간편하게 횡적 연결성 평가를 실시하고, 3) 선정된 특정 제내지 대상지에서 현장평가에 의하여 상세하게 연결성을 평가하는 순서로 수행된다. 차단된 하천공간의 획정은 홍수가 범람할 수 있는 제내지 공간을 잠재적 하천공간으로 정의하고 수치표고모델 (DEM)과 하천기본계획의 30년 빈도 홍수위 자료를 이용하여 제내지 홍수터를 탐색하였다. 제내지 홍수터의 원격 연결성평가는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수치지도와 토지피복도 등 공간자료를 이용하여 수리 및 서식처 환경성, 제방 차단성과 하도 및 육상 연결성을 평가하고 원격평가 결과를 토대로 현장평가 대상지를 선정하였다. 횡적 연결성의 현장평가를 위하여 크게 하도-홍수터 연결성과 제내지 서식처 보존성으로 평가 항목을 선정하였다. 또한 연결성 평가는 수리연결성과 생물연결성으로, 서식처 보존성 평가는 습지유지율, 습지보존성, 육역지보존성을 세부항목으로 구성하였다. 평가 항목별로 5 등급의 평가 기준에 따라서 평가 점수를 부여하고 평가 총점을 산출하여 최종 연결성 평가 등급을 5 단계로 구분하였다. 현장평가를 위한 MS Access 기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데이터 입력과 관리 및 평가 결과 산출과 비교를 편리하게 하였다. 개발된 제내지 하천환경 평가법을 청미천과 만경강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개발된 평가법을 바탕으로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에서 연결성 회복에 따른 어류와 식생의 분포를 예측하는 수리생태 결합모델을 개발하였다. 먼저 차단된 제내지에서 연결 수로를 복원하여 유속, 수심 분포를 준이차 수리수문 모델로 예측하였다. 예측된 수리 환경에 따라서 지표어종의 서식처 적합도 지수 (HSI)를 이용하여 서식 분포 확률을 모의하였다. 또한 일반화가법모델 (GAM)을 이용하여 환경구배에 의한 우점식생의 분포를 예측하였다.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의 생태적 연계성 평가 기술을 기반으로 제방제거, 제방후퇴, 제방고 하강, 수문 및 연결수로 개선, 생물이동 저해 장벽 제거 등의 다양한 복원기술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nvironmental Impact Evaluation on Landfill Treatment of Petro-Chemical Wastewater Sludge by Life Cycle Assessment (전과정평가를 이용한 석유화학 폐수처리슬러지의 매립처리에 대한 환경영향평가)

  • Kim, Hyeong-Woo;Park, Hung-Suc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8 no.11
    • /
    • pp.589-595
    • /
    • 2016
  • This study evaluated the environmental impacts for landfill treatment of the wastewater treatment sludge (WTS) from petrochemical firms by life cycle assessment (LCA) and reviewed the impact reduction by landfill gas (LFG) utilization. The functional unit was 'landfill of 1 ton of WTS', and the system boundary included the process of input and treatment for WTS in landfill site. The impacts were high at landfill process (LP) and leachate treatment process (LTP). Global warming (GWP) and photochemical oxidants creation (POCP) were high at LP, while abiotic depletion (ADP), acidification (AP), eutrophication (EP), ozone depletion (ODP) were high at LTP. The major substances of various impact categories were crude oil (ADP), $NO_X$ (AP, EP), $CH_4$ (GWP, POCP), $Cl_2$ (ODP), respectively. The major factor of ADP, AP, EP was attributed from the generation of electricity used in LTP, and the methane within uncollected LFG was main factor of GWP and POCP. Therefore, electricity consumption reduction is identified to be an impact improvement option, and the flaring system installation or enhanced LFG recovery could be an alternative to reduce impacts. Among the various categories, GWP accounted the highest impact (${\geq}90%$) followed by ADP, POCP. In the avoidance impact resulted from the utilization of LFG, to substitute B-C oil or LNG showed the impact reduction of 32.7% and 12.0%, respectively.

A Trust Evaluation Model on QoS based Services Composition for IoT Environments (IoT 환경에서 QoS 기반 서비스 조합을 위한 신뢰 평가모델)

  • Kim, Yukyong
    • Journal of Software Assessment and Valuation
    • /
    • v.15 no.2
    • /
    • pp.85-93
    • /
    • 2019
  • In an open, heterogeneous environment based on machine-to-machine (M2M) interactions, service selection is a critical issue and the concept of social trust can be applied to service selection so that IoT devices can make the best choice for interac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evaluating the trust level of the service and for estimating the QoS of the composite service using a profile created based on social trust relationship in IoT environment. As the service selection is made through quantitative evalu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a more reliable service combination can be obtained.

A Study on the Safety Assessment of Elementary School Environment in Korea (우리나라 신도시 초등학교의 통학로 안전환경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 Yoon, Yong-Gi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14 no.2
    • /
    • pp.26-36
    • /
    • 2015
  • The new town was assum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country's elementary school environment. First, given the important elements of the school safety plan in order to verify this, and we plan to set up each of these elements by safety criteria. In the second chapter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indicators to evaluate the safety of the school environment influences the safety of the school environment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In Chapter 3, the difference in safety through the new elementary school survey of metropolitan areas was given a score per item per item depending on the evaluation criteria. The fourth section is the difference between safety school environment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analytical result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new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ary school environmen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ew town. Second, school location, terrain characteristics, bike paths and pedestrian to the installation, the safety of landscape installations, installing median barriers, traffic safety facilities, speed bumps, separation of pedestrian and vehicle circulation in the front door, scores of elements of the plan such as parking scheme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new town. Third, the introduction of elements of the plan such as Traffic calming or Traffic Island installation techniques was found lac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