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학교육의 방향

검색결과 476건 처리시간 0.024초

변화시대에서의 교사의 역할과 수학교육의 나아갈 길

  • 정창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4권
    • /
    • pp.469-475
    • /
    • 2001
  • 21세기 지식 기반 사회를 준비하기 위한 신교육의 방향은 교사 중심의 교수 교육(teaching ed.)과 학생중심의 학습 교육(learning ed.)에서 교사와 학생이 함께 주도하는 사고중심 교육(thinking ed.)으로 옮겨가고 있다. 그리고 수학은 우리의 마음에 존재하는 모든 관념적 대상을 다루는 도구로서, 인간 사회의 여러 분야에서 인간의 사고를 도우며 인간이 직면하는 어려운 문제들을 합리적으로 풀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 또 항상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학문이다. 이와 같이 창의적 사고를 필요로 하는 신교육 사조와 창조적 사고를 특정으로 하는 가장 유용하고 매력적인 수학은 본질적으로 서로 맥을 같이 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21세기 수학교육의 필요성은 더욱 중대되어 가고 있는 것이 국제적 추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교육 위기설이 나돌고 있는 우리 나라 중등교육 현장에서 수학교육의 나아갈 길은 과연 무엇인가?

  • PDF

수학(數學)의 고찰(考察)과 수학교육(數學敎育)의 개선방향(改善方向)

  • 여운방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10권1호
    • /
    • pp.133-173
    • /
    • 1988
  • 최근 과학기술(科學技術)의 영향을 받아 급변하는 국내외의 환경을 감안할 때, 과학교육(科學敎育)의 중요성은 심각히 인식되고 있으며 특히 수학교육(數學敎育)은 그 비중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수학교과과정(數學敎科課程)의 편성(編成)은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현재 문교부(文敎部)에서도 중(中) 고등학교(高等學校)의 수학교과서(數學敎科書)를 새로이 개편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국가적으로 중요한 작업이 체계적(體系的)인 연구(硏究)와 제도적(制度的)인 개선(改善)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생각 아래에서, 각급학교(各級學校)의 교과과정(敎科課程), 행정(行政) 및 제도(制度), 교과서(敎科書) 집필(執筆) 및 지도평가방법(指導評價方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問題點)을 파악하고 개선방향(改善方向)을 모색하는 데에 본고(本稿)의 목적이 있다. 수학교육(數學敎育)의 목적을 이해하는 데에는 수학(數學)의 특성(特性)을 파악함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이 특성(特性)의 근원을 산수(算數)와 기하(幾何)의 발단(發端)에서 찾아보았으며 각급학교(各級學校)의 학과내용(學科內容)을 수학(數學)의 역사적(的) 발전단계(發展段階)와 현대수학(現代數學)의 특징(特徵)에 비추어 분석하여 보았다. 그 결과 각급학교(各級學校) 교과과정(敎科課程)이 일관성있게 배열되지 않은 면이 있고 하위(下位)의 능력평가(能力評價)에 치우친 감이 많아, 다음 단계의 교육에 지장을 초래하면서도 오히려 학생들이 수학(數學)을 어렵게 생각하게끔 만드는 원인들을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장기적(長期的) 연구(硏究)를 할 수 있는 전문연구집단(專問硏究集團)과 활성화된 교사(敎師)의 재훈련제도(再訓練制度)의 필요성과 아울러 인시제도(人試制度), 지도방법(指導方法), 평가방법(評價方法)의 개선(改善)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 PDF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과 절차에 관한 제언 (A Suggestion for Direction and Process of Revision on Mathematics Curriculum)

  • 신현용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4권2호
    • /
    • pp.169-178
    • /
    • 2005
  • We briefly survey the previous researches on mathematics curriculum of Korean. Without discussing deeply on each issue, we do on some issues. At the end of this article we suggest some direction and process for future revision of mathematics curriculum.

  • PDF

자연수 연산의 학습 내용 구성 방향

  • 신준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권1호
    • /
    • pp.73-83
    • /
    • 1997
  • 옛날부터 계산을 잘하는 것이 수학적으로 우수하다고 생각해왔으며, 거의 1900년까지도 교육을 받았다는 것은 계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초등학교의 대부분의 시간은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을 배우는 데 투입되었다. 현재에도 초등학교의 교육과정은 기본 교육에 중점을 두어 3R's(reading, writing, arithmetic)을 강조하고 있으며, 많은 교사나 학부모들은 계산능력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1970년대의 '새 수학' 운동으로 계산력이 약화되었다는 비난이 쏟아지자 '기본에 충실하자(Back to basic)'는 운동으로 계산이 강화되기도 하였다.(중략)

  • PDF

제7차 교육과정을 회상하여 바람직한 수학교육 교수-학습의 고찰

  • 조용욱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3권3호
    • /
    • pp.361-370
    • /
    • 2007
  • The notion of problem-solving in mathematics education effects mathematics teachers notice and its importance in mathematics is getting better.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nsider the mathematical reasoning for improving the ability of problem solving. It is necessary that notion, enforcement method, procedure and evaluation standard of performance assessment should be explained to students. The teachers, improvements of specialty for class and evaluation as well as systematic reeducation for performance assessment are essential.

  • PDF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의 원리와 방법 탐색: 비판적 인종 이론을 중심으로 (Reconstructing Mathematics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from a Critical Race Perspective)

  • 김리나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89-30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인종 이론의 관점에서 학교 수학 교육에서 인종 문제를 다룬 연구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두 부분으로 구성 된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국내외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의 의미와 이를 주제로 한 연구들의 동향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의 의의와 방향을 도출한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비판적 인종 이론을 토대로 사회 정의를 위한 국내 수학 관련 연구를 검토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인종 이론의 기본 원리인 인종적 영속성 또는 인종 사실주의, 자유주의 비판, 교차성의 관점에서 기존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 인종 문제와 관련한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에서는 학생들 스스로 문제를 찾고 이를 수학 수업에서 논의하는 과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며, 수학 교실 안에서 학생 스스로 차별의 요소를 자각하고 이를 해결하는 접근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그동안 수학 교육 연구에서 인종 문제가 다른 차별 요소와 필연적으로 연결되어있다는 관점은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은 부분으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시사점은 향후 인종 문제와 관련한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 연구 방향을 설정하는데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초등학교 수학실의 기능 및 활용 방향 탐색 (A Study on the Configuration and Utilization of Mathematics Room in the Elementary School)

  • 고정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4권1호
    • /
    • pp.29-44
    • /
    • 2014
  •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수학교과교실의 활용에 관한 내용이 언급된 후, 중등학교에서는 2014년까지 모든 학교에서 수학교과교실제가 전면 시행될 계획이다. 본 연구는 수학교과교실의 활용이 초등학교로 확장될 것으로 보고, 초등학교에서의 수학실의 기능 및 활용 방향을 탐색하였다. 수학실에 관한 문헌연구를 통해 설문을 구성하여 현직 초등학교 교사들을 중심으로 수학실에 관한 다양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수학실의 기능과 활용에 관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실의 주요 기능으로 수학문화체험실, 수학레크리에이션실, 수학특별수업실세 가지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차후 중등학교의 수학교과교실과는 차별화되는 초등학교 수학실의 구성 및 활용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수학익힘책의 비교 분석 (A Comparative Study fo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Activity Book in Accordance with the Curriculum)

  • 서보억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3권2호
    • /
    • pp.99-111
    • /
    • 2010
  • 본 연구는 5차 교육과정에서 처음 도입된 보조교과서인 수학익힘책에 대한 연구이다. 교육과정의 변천과 함께 수학익힘책도 세 차례의 개정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익힘책의 도입 과정에 대한 문헌고찰을 기초로 하여, 수학익힘책의 도입 목적, 개발 방향, 수학익힘책의 구성 체제, 교육과정과 관련된 수학익힘책이라는 네 가지 측면에서 수학익힘책에 대한 비교 결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속성을 이용한 편입학제도의 위상수학적 고찰

  • 문권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8권
    • /
    • pp.331-341
    • /
    • 1999
  • 수학의 세계에서 진정 우리가 배워야 할 것은 생각하는 수학적 힘의 양성과 현실에서 그것을 이용하여 예측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수학적 힘을 현실세계에 적용, 분석할 수 있는 것 중 그 틀이 구조적이고 수학적 성향을 가지고 있는 제도에 관한 건은 가장 적합한 소재이다. 본 논문은 많은 제도 중 하나인 편입학제도를 수학에서 중요한 개념인 연속성을 이용하여 위상수학적으로 접근하여 살펴보고 그에 대한 문제점과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기하와 기하교육과정 변천과 21세기 기하교육의 방향 (The New Directions of Secondary Geometry Curriculum on Historical Perspectives)

  • 장경윤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05-126
    • /
    • 2008
  • 본 논문은 교양교육과 수학교육에 필수적인 교과로 여겨오던 학교기하가 20세기 초부터 한 세기 동안 학문적 경향과 사회적 변화에 따라 어떻게 변천되어 왔는가를 역사적으로 개관하고 21세기 기하교육과정의 방향을 조망하였다. 21세기 CAD 등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로봇산업 등은 직업과 전문분야에서 기하의 역할과 학교기하의 지식이나 기능도 바꾸고 있다. 응용과 모델링 측면 강화, 추론과 문제해결 영역확대, 디자인과 관련된 요소 강화로 요약되는 21세기 기하교육 방향에서 우리나라 중등학교 기하교육에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