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표

Search Result 25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Estimation of Water Surface and Available Water for Agricultural Reservoirs using Sentinel-2 Satellite Imagery (Sentinel-2 위성영상을 활용한 농업용 저수지 수표면 및 가용수량 추정)

  • Lee, Hee-Jin;Nam, Won-Ho;Yoon, Dong-Hyun;Jang, Min-Won;Kim, Dae-E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63-163
    • /
    • 2020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온난화 현상으로 인하여 농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기상 및 환경요인의 변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다. 2017년에는 전국의 봄철 강수량이 평년 대비 60% 수준으로 물 부족 현상을 야기하여 극심한 가뭄이 발생하였다. 최근 지역적인 강수량 부족으로 인한 국소적인 가뭄 발생 및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농업가뭄은 농업용수의 주요한 용수공급시설인 농업용 저수지 및 용수공급시설의 지역적 편중 등으로 농업용수 부족 상황이 발생할 위험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시기별 저수지의 가용용수능력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러한 판단을 위하여 위성영상을 이용한 저수지 수표면적 및 용수능력판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시기의 저수지 수표면적 및 용수능력판단을 위하여 Sentinel-2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충청남도 서산 지역의 농업용 저수지를 대상으로 정규수분지수(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NDWI)을 산정하였다. NDWI는 위성영상의 파장 정보를 활용하여 지표면의 수분함유량과 관계를 나타내며, 하천, 호수, 습지 등 수분을 다량으로 함유한 지형지물을 탐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NDWI와 수위-내용적 자료와의 관계로부터 저수지 수표면적을 산출하였으며, 이에 따른 상관성 분석을 통하여 위성영상을 활용한 농업용 저수지의 가용수량 추정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Refunds Reusable Electronic Check Payment System Using an EC-KCDSA Partially Blind Signature (EC-KCDSA 부분 은닉서명을 이용한 거스름 재사용 가능한 전자수표지불 시스템)

  • 이상곤;윤태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13 no.1
    • /
    • pp.3-10
    • /
    • 2003
  • In this paper, a partially blind signature schemes baled on EC-KCDSA is proposed and we applied it to design an electronic check payment system. Because the proposed partially blind signature scheme uses elliptic curve cryptosystem, it has better performance than any existing schems using RSA cryptosystem. When issuing a refund check, one-time pad secret key is used between the bank and the customer to set up secure channel. So the symmetric key management is not required.

Discharge and Ozone Generation Characteristics by Permittivity of Dielectric Material installed in Water Surface Discharge (수표면 방전에 투입된 유전체의 유전율에 따른 방전 및 오존발생특성)

  • 박승록;김진규;김형표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7 no.3
    • /
    • pp.56-63
    • /
    • 2003
  • A silent type ozone generator using water surface has been studied and improved its ozone generation characteristics by installing dielectric heads in the just under the surface of the wale- At this time, different permittivitis of dielectric beads were used to change the discharge condition of water surface. The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of ozone generation quantity of the test system were investigated and discharge photos of glass beads were observed The height of Taylor cone may be the cause of the discharge bridge to decrease the ozone generation on the discharge spacing. In this study, the hight of Taylor cone could be controlled greatly by installing dielectric beads just under the water surface. Therefore a higher ozone generation also could be obtained. As the permittivity of dielectric material increased. discharge starting voltage was advanced and maximum 110 ppmy of ozone was generated by using the ferroelectric ball.

Temporal Analysis of Agricultural Reservoir Water Surface Area using Remote Sensing and CNN (위성영상 및 CNN을 활용한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의 수표면적 시계열 분석)

  • Yang, Mi-Hye;Nam, Won-Ho;Lee, Hee-Jin;Kim, Taeg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18-118
    • /
    • 2021
  • 최근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인한 기후변화로 이상기후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장기적으로 폭염의 빈도 및 강도 상승에 따른 가뭄 피해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농업 가뭄은 강수량 부족, 토양 수분 부족, 저수량 부족 등 농업분야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과 관련되어 있어 농작물 생육 및 수확량 감소를 야기한다. 우리나라는 논농사가 주를 이루고 있어 국내 농업 가뭄은 주수원공인 농업용 저수지의 가용저수용량으로 판단 가능하다. 따라서 안정적인 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수리시설물의 모니터링, 공급량 등의 분석이 이루어져야 하며, 농업 가뭄에 대비하기 위해 농업용 저수지의 가용저수용량 파악이 필요하다. 수자원 분야에서 지점자료의 시·공간적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인공위성 자료를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 자료 및 딥러닝 기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농업용 저수지 수표면 탐지 및 시계열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위성영상 자료는 5일 주기 및 10 m 공간해상도를 가진 Sentinel-2 위성영상 자료를 활용하고자 하였으며, 딥러닝에 적용하기 위하여 100장 이상의 영상 이미지를 구축하였다. 딥러닝 기반 알고리즘으로는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을 활용하였으며, CNN은 주로 이미지 분류나 객체 검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모델로 최근 픽셀 단위로 분류가 가능한 알고리즘이 개발되어 높은 정확도의 수표면 탐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NN 기반 수표면 탐지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Sentinel-2 영상 기준 경기도 안성시를 대상으로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의 수표면적에 대한 시계열 데이터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Magnetic Ink Character Recognition using Dynamic Time Warping (Dynamic Time Warping을 이용한 자기파형 인식)

  • 배윤지;김황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640-642
    • /
    • 2003
  • 본 논문은 수표 하단에 인쇄된 자기 데이터를 읽어 들여 수표를 인식할 때 오독률을 최소화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수정된 Dynamic Time Warping 기법으로 왜곡되거나 손상된 파형의 인식률을 높이고, class-selective rejection방법을 통해 오독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Water Surface Detection Algorithm using Sentinel-1 Satellite Imagery (Sentinel-1 위성영상을 이용한 수표면 면적 추정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Lee, Dalgeun;Cheon, Eun Ji;Yun, Hyewon;Lee, Mi Hee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5 no.5_2
    • /
    • pp.809-818
    • /
    • 2019
  • The Republic of Korea is very vulnerable to damage from storm and flood due to the rainfall phenomenon in summer and the topography of the narrow peninsula. The damage is recently getting worse because of the concentration rainfall. The accurate damage information production and analysis is required to prepare for future disaste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water surface area changes of Byeokjeong, Sajeom, Subu and Boryeong using Sentinel-1 satellite imagery. The surface area of the Sentinel-1 satellite, taken from May 2015 to August 2019, was preprocessed using RTC and image binarization using Otsu. The water surface area of reservoir was compared with the storage capacity from WAMIS and RIMS. As a result, Subu and Boryeong showed strong correlations of 0.850 and 0.941, respectively, and Byeokjeong and Sajeom showed the normal correlation of 0.651 and 0.657. Thus, SAR satellite imagery can be used to objective data as disaster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Water Surface Discharge due to Water Conductivity (수증 전도도 변화에 따른 수표면 방전의 특성)

  • 박승록;김진규;김형표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8 no.2
    • /
    • pp.44-48
    • /
    • 2004
  • A silent type ozone generator using water surface electrode was proposed. And it was investigated experimentally that a variation of water conductivity affected to water surface discharg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o water surface discharge are ions in discharge space and ions and polarized molecules in water and so on. In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change the characteristics of discharge by controlling the number of ions in water. The number of ions in water could be controlled by changing the water conductivity. Water conductivity was controlled by quantity of inserted NaCl to distilled water. At this time,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of ozone generation quantity were investigated in each case. As a result, when NaCl was inserted in distilled water, more stable discharge was generated. As the quantity of NaCl was increased, discharge starting voltage could be lowered.

A Segmentation-Based HMM and MLP Hybrid Classifier for English Legal Word Recognition (분할기반 은닉 마르코프 모델과 다층 퍼셉트론 결합 영문수표필기단어 인식시스템)

  • 김계경;김진호;박희주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1 no.3
    • /
    • pp.200-207
    • /
    • 2001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HMM(Hidden Markov modeJ)-MLP(Multi-layer perceptron) hybrid model for recognizing legal words on the English bank check. We adopt an explicit segmentation-based word level architecture to implement an HMM engine with nonscaled and non-normalized symbol vectors. We also introduce an MLP for implicit segmentation-based word recognition. The final recognition model consists of a hybrid combination of the HMM and MLP with a new hybrid probability measure. The main contributions of this model are a novel design of the segmentation-based variable length HMMs and an efficient method of combining two heterogeneous recognition engines. ExperimenLs have been conducted using the legal word database of CENPARMI with encouraging results.

  • PDF

Applicability of Surface Image Velocimetry Using Far Infarared Cameras (원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표면영상유속계의 적용성 검토)

  • Kim, Sanghyuk;Yu, Kwonkyu;Bae, Inhyuk;An, Myeong-Hui;Yoon, By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71-71
    • /
    • 2015
  • 표면영상유속계(Surface Image Velocimety, SIV)는 하천 표면의 영상을 분석하여 유속을 산정하는 매우 실용적이며 간편한 유속측정 방법이다. 그러나 표면영상유속계는 수표면의 움직임을 계산하여 표면유속을 산정하기 때문에 빛이 없는 야간의 경우 수표면의 움직임을 촬영하기 어려워 밤에 발생하는 홍수 유량 측정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표면에 야광 입자를 흘려 촬영하는 방법이 있었으나 대하천의 경우 야광물질의 크기가 작아 영상 내에서 식별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고, 높은 밝기의 조명을 사용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 또한 수행되었으나 빛이 수표면에 반사되어 하천 전체를 촬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 후 근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야간 측정의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하였으나 촬영범위가 최대 50 m 정도로 조사 거리의 한계를 나타내었다. 최근 Fujita(2013)는 원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하천 유량 측정을 실시하였는데 이는 기존 야간촬영 시 시도되었던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원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표면영상유속계의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실험수로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시 주간 및 야간의 상황을 설정하여 원적외선 카메라, 근적외선 카메라 그리고 일반 캠코더를 이용하여 흐름을 촬영하였다. 또한 프로펠러유속계를 이용하여 흐름의 표면유속을 측정하였다. 원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상호상관법을 이용하여 표면유속을 측정하였고, 이를 프로펠러유속계 측정결과와 비교하여 정확도를 검토하였다. 또한 일반 캠코더와 근적외선카메라의 영상 분석 결과와도 비교하여 개선점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