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표

Search Result 256, Processing Time 0.054 seconds

Efficient Online Electronic Check System on Mobile System (무선환경을 고려한 효율적인 온라인 전자수표시스템)

  • 이여진;유성진;정일용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220-223
    • /
    • 2002
  • 최근 무선 인터넷 시장이 급속한 성장을 하고 있다. 이러한 무선 인터넷상의 실용적인 전자지불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여러 전자지불방식 중에서 전자수표시스템은 계산량이나 정보교환량 측면에서 전자동전방식보다 효율적인 지불수단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표의 액면가가 제한되어 있고, 대금지불 과정에서 발생하는 거스름의 재사용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기존의 전자수표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무선환경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전자수표시스템이다. 부분은닉서명 기법을 이용하여 수표의 액면가를 임의로 표현할 수 있으며 거스름의 형태가 처음 발행 받은 수표의 형태와 같아 이를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수표의 익명성이 보장되며, 수표를 사용하고 받은 거스름은 어떤 수표의 거스름인지를 알 수 없게 된다. 또한, 무선인터넷 환경을 고려하여 보다 효율적인 전자수표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Flood Stage Reconstruction from the Historical Documents in the Joseon Dynasty (조선시대 하천 수위 관측 자료의 복원)

  • Kim, Hyeon-Jun;Cho, Han-Bum;Noh, Seong-Jin;Jang, Cheol-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341-344
    • /
    • 2007
  • 조선시대에 도성의 개천과 한강변에서 하천 수위를 측정하였다. 세종 23년(1441년)에 측우기와 수표(水標)를 제작하여 강우량과 하천수위를 측정하기 시작한 것이다. 수표는 지금의 청계천과 한강변두 곳에 설치하였다. 와다유찌는 조선고대의 관측기록을 정리하면서 측우기 기록을 분석하였고, 수표 기록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문헌 자료에서 수표 관측 기록을 복원하여 조선의 도성인 개천(청계천)과 한강의 홍수 기록을 복원하는데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복원한 승정원일기와 기우제등록에 수록된 수표의 관측기록은 와다유찌가 조사한 기록을 상회한다. 와다유찌가 조사한 기록은 명종 1554년부터 영조 1778년까지인데, 1554년의 기록은 1회에 그치며, 인조11년(1633) 이후의 기록이 대부분이다. 이 점은 기우제등록의 경우도 유사하다. 기우제등록은 인조 11년부터 고종 26년(1889)까지의 기우제, 기청제, 기설제에 대한 기록을 정리한 것으로 전체 6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우제 기록과 함께 수표기록(중부, 남부, 한강 및 수표)이 포함되어 있다. 기우제등록에 수록된 수표기록은 총 690회에 이르지만, 1779년 6월 11일의 3척 5촌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의 기록은 찾아볼 수 없다. 숙종의 재위 기간에는 1669년부터 1791년까지 매년의 홍수상황이 기록되어 있다. 당시 한강의 수위와 도성안 개천에서 중부수표와 남부수표 2곳의 수표 기록을 있으나, 숙종 23년(1697)부터는 중부수표만 기록되어 있다. 이 지점에서의 10척을 상회하는 홍수는 20번의 기록이 있다.

  • PDF

(A New Offline Check System with Reusable Refunds) (거스름의 재사용이 가능한 새로운 오프라인 수표시스템)

  • 김상진;최이화;오희국
    • Journal of KIISE:Information Networking
    • /
    • v.30 no.3
    • /
    • pp.355-370
    • /
    • 2003
  • In offline check systems, a client does not have to pay the exact amount. Instead, a client refund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eck value and the paid amount. In most offline systems, clients can not spend the remainder. But if the refund can be made spendable, it would provide a more convenient payment method.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offline system, which allows refunds to be reused as payments. In our system, the shop issues a new check using its private key for the difference. This new check, called the refund check, can be spent in the same way as checks issued by the bank. If the refund check is deposited to, or refunded at the bank, the bank charges the issuer of the check for the amount. The form of a check in this system is much simpler than previous check systems. It also uses a more flexible and efficient denomination method. The refund check is unlinkable to the check used in the payment where the refund check was issued. This system provides coin and owner tracing mechanisms to reinforce controls on illegal use of anonymous checks and was designed with consideration to the atomicity of transactions.

모바일 환경을 고려한 효율적인 전자수표시스템

  • 이여진;유성진;정일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374-376
    • /
    • 2003
  • 무선 인터넷 시장의 급속한 성장과 함께 이에 맞는 실용적인 전자지불 방식의 요구가 커지고 있다. 많은 전자지불방식 중에서 전자수표시스템은 계산량이나 정보교환량 측면에서 전자동전방식보다 효율적인 지불수단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한되어 있는 액면가 문제나 지불과정에서 발생하는 거스름의 재사용 문제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의 한계에 따른 연산 속도를 고려하였으며, 액면가나 거스름과 같은 문제정올 해결하였다. 부분은닉서명 기법을 이용하여 수표의 액면가의 임의의 표현이 가능하며 거스름의 형태가 처음 발행 받은 수표와 같아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거스름으로 재발행 받은 수표는 익명성을 보장하여 어떤 수표의 거스름인지를 알 수 없게 된다.

  • PDF

Refunds Reusable Online Electronic Check System (거스름의 재사용이 가능한 온라인 전자수표시스템)

  • 김상진;최이화;오희국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11 no.1
    • /
    • pp.73-85
    • /
    • 2001
  • Electronic check schemes are more efficient than electronic coin scheme with respect to computational costs and the amount of information exchanged. In spite of these, difficulties in making a refund reusable and in representing the face value of a check have discouraged its development. In this paper, a new online electronic check system is presented, which solves the above problems. This system uses the partially blind signature to provide user anonymity and to represent the face value of a check. The partially blind signature enables us to make the format of refunds and initially withdrawn checks identical. Thus, it allows refunds to be reused to buy goods without any limitatiosn. Both initially withdrawn checks and refunds in our system guarantee untraceability as well as unlinkability. We also use a one-time secret key as the serial number of a check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payments. The presented check system also provides multiple offline shopping sessions to minimize the number of online messages handled by a bank. During the multiple offline shopping session, we use a one-way accumulator to provide non-repudiation service. We also analyze our new systems our new system\`s security, efficiency, and atomicity.

A New Offline Check System with Spendable Refunds (남은 금액을 재사용할 수 있는 오프라인 전자수표시스템)

  • 김상진;오희국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11 no.6
    • /
    • pp.27-40
    • /
    • 2001
  • In an offline system, the bank does not participate in payments.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make the refund spendable. Due to this, current offline systems do not provide spendable refunds. In these systems, a check consists of two parts: a spendable part and a refund part. A client uses the spendable part during the payment phase, and uses the refund part to get the refund for the remainder of the check. Therefore, a client cannot reuse the remaining and must always refund it. More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nt amount and the refund amount can be used to guess which check the client used when the client refunds the remaining. To remedy these problems, we propose a new offline system which allow clients to reuse the remaining values of the check. This system provides unlinkability of the payments made by using a single check. It also provides mechanisms to detect and identify clients who perform misconduct such as double spending and over spending. The required overall computational cost to withdraw, spend and refund a check in our system is lower than using several checks in other offline systems.

Hardware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Real Time Compression and Recognition of Check Image (수표영상의 실시간 압축 및 인식처리를 위한 하드웨어 설계 및 구현)

  • 오승환;신동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541-543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1비트 단위로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수표의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압축처리하고 또한 수표의 하단부에 기록된 인식하기 위한 알고리즘과 하드웨어 구현을 보여준다. 제안된 알고리즘에서는 실시간 처리를 위해 하드웨어에 적합한 알고리즘이 소개되며, 실제로 PLD로 설계 구현하여 그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f Reservoir Surface Area Detection Algorithm Using SAR Image (SAR 영상을 활용한 저수지 수표면적 탐지 알고리즘 비교 연구)

  • Jeong, Hagyu;Park, Jongsoo;Lee, Dalgeun;Lee, Junwoo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8 no.6_3
    • /
    • pp.1777-1788
    • /
    • 2022
  • The reservoir is a major water supply source in the domestic agricultural environment, and the monitoring of water storage of reservoirs is important for the utilization and management of agricultural water resource. Remote sensing via satellite imagery can be an effective method for regular monitoring of widely distributed objects such as reservoirs, and in this study, image classification and image segmentation algorithms are applied to Sentinel-1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imagery for water body detection in 53 reservoirs in South Korea. Six algorithms are used: Neural Network (NN), Support Vector Machine (SVM), Random Forest (RF), Otsu, Watershed (WS), and Chan-Vese (CV), and the results of water body detection are evaluated with in-situ images taken by drones.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in-situ water surface area and detected water surface area from each algorithm are NN 0.9941, SVM 0.9942, RF 0.9940, Otsu 0.9922, WS 0.9709, and CV 0.9736, and the larger the scale of reservoir, the higher the linear correlation was. WS showed low recall due to the undetected water bodies, and NN, SVM, and RF showed low precision due to over-detection. For water body detection through SAR imagery, we found that aquatic plants and artificial structures can be the error factors causing undetection of water body.

A Case Study on Water Area Monitoring Using Sentinel-1 and Landsat-8 (Sentinel-1과 Landsat-8 영상을 활용한 수표면적 분석사례)

  • Yu, Jung-Hum;Lee, Mi Hee;Lee, Dal Geun;Kim, Jin-young;Park, Young-j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63-64
    • /
    • 2017
  • 광학 위성영상의 경우 기상조건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연속적인 데이터 취득과 분석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 획득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광학 위성영상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SAR 위성영상과 광학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다양한 자연재난에 대해 효율적인 재난관리의 가능성을 북한 황강댐 수표면적 분석사례를 통해 제시하였다. 위성영상 수집기간은 2016년 1월부터 2017년 7월까지 획득된 자료로 SAR 위성영상은 Sentinel-1을, 광학 위성영상은 Landsat-8을 획득하여 분석하였다. 이때 수증기, 구름 등 기상조건에 의해 Landsat-8을 획득하지 못한 부분은 Sentinel-1으로 대체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16년 5월 19일자 관측된 황강댐의 만수위 당시 수표면적과 2017년 7월 18일에 관측된 황강댐의 수표면적이 유사하여 방류위험성이 있어 상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Sentinel-1와 Landsat-8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재난관리를 보여주는 사례를 통하여 선제적인 재난관리에 활용성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