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치고도모형

Search Result 15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pplication of Satellite Image Using RFM (다항식비례모형을 이용한 위성영상의 활용에 관한 연구)

  • Sohn, Hong-Gyoo;Yoo, Hyung-Uk;Park, Choung-Hwan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11a
    • /
    • pp.73-80
    • /
    • 2002
  • RFM is believed to be universally applicable to any type of the sensor. Most of researches carried out lately are concentrated on terrain-independent method, but the researches about approvement of accuracy by way of terrain-dependent method are required to increase a practical use of satellite imagery in nonprofessional groups. This research focused on a means to improve RFM solution, a matching technique, and a generation of DEM through a correlation analysis, with terrain-dependent solution. The result shows that accuracy problem which is caused by over-parameterization on RFCs was remov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it was possible to generate a accurate DEM with terrain-dependent solution. And also, the application of RFM with different satellite images show sensor independent characteristics of RFM

  • PDF

A Two-Dimensional Pollutant Transport Model Using SOWMAC Scheme (SOWMAC법을 이용한 2차원 오염물질 전송모형)

  • 이동수;박원경;윤병만;편종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8.09a
    • /
    • pp.24-30
    • /
    • 1998
  • 고도의 산업발달은 인간환경과 밀접한 하구와 해안의 오염을 심화시켜 최근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오염물질의 이동을 예측하고 제어하려는 노력이 꾸준이 진행되어 왔다. 이 같은 노력은 수치모형을 이용한 수질관리 연구에도 많은 진전을 가지고 왔으며, 오일러적 모형, 라그랑쥐적 모형, 오일러-라그랑쥐 적 모형이 대표적이다. 오일러-라그랑쥐적 모형은 이류에 대해 라그랑쥐적 방법, 확산에 대해 오일러적 방법으로 해석함으로서 각 방법들의 장점을 취하여 수치적 진동, 수치적 확산이 적고 효율성이 뛰어나 최근 많이 연구되고 있다. (중략)

  • PDF

Application of RFM for DEM Generation (위성영상의 수치고도모형의 생성을 위한 RFM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 손홍규;박정환;유형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2.10a
    • /
    • pp.169-174
    • /
    • 2002
  •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수치표고모형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영상정합이 가장 중요한 필수 과정이다. 하지만 위성영상은 항공사진과 달리 off-nadir 현상으로 인해 동일 영상내의 공칭 해상도가 달라질 수 있고 관측각에 따라 보다 심한 기하학적 왜곡이 발생할 수 있기 영상정합이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다항식비례모형을 이용한 대상공간영상정합기법을 적용하여 위성영상에 대한 영상정합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수치표고모형을 제작, 그 정확도를 평가하고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Study on the Method of the Setting up Depth Grid by Editing Digital Terrain Model (수치지형모형(DTM) 수정을 통한 침수범위설정 방법 연구)

  • Lee, Jeong-U;Park, Nam-Hee;Kim,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66-170
    • /
    • 2011
  • HEC-GeoRAS는 HEC-RAS의 모의값을 토대로 지형공간자료로 나타내기 위한 ArcView GIS의 확장모형이다. 이모형은 홍수 범람도 작성 및 침수피해 위험도 평가 등에 이용되고 있으며, 이때 홍수 범람도 작성이나 침수범위 설정에 이용되는 지형자료가 수치지형모형(DTM)이다. 수치지형모형에서 표고는 수치지도와 횡단자료를 중첩시켜 만든 TIN(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과 같은 자료 구조 규칙을 사용하여 저장된다. HEC-GeoRAS에서 여러 가지 RAS Themes을 만드는데 이 중에서 지형속성 Themes을 생성할 때 문제점이 발생하는데 사용자가 HEC-GeoRAS 사용하여 직접 드로잉하기 때문에 잘못된 위치에 지형속성자료를 입력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TIN생성 시 하천 고수호안이 수직 옹벽형태로 되어 있으면 벽체에 여러 개의 고도자료가 존재하는데 한 개의 고도값만 입력할 수 있어 횡단면이 왜곡된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ArcView GIS에서 RAS Themes을 구축할 때 Auto CAD를 사용하여 지형속성자료를 드로잉 하였고, 수직 옹벽형태의 측점을 수정하여 고도값을 추가 입력하였다. 연구 대상지역은 광주천으로 고수호안이 수직 옹벽형태로 되어 있어 벽체에 여러 개의 고도값이 존재하므로 TIN 구축 시 횡단면이 왜곡되는 하천이다. 연구결과 횡단자료가 갖고 있는 좌표를 Auto CAD에서 입력할 수 있어 정확한 위치에 지형속성자료를 생성할 수 있었다. 또한 수직 옹벽형태의 측점을 수정하여 고도값을 추가 입력함으로써 횡단면 왜곡을 보완할 수 있었다. 홍수량에 따른 최대 침수심과 침수면적을 분석한 결과 횡단자료 수정 전 후 2배정도 차이가 생김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면 보다 정확한 침수범위를 설정할 수 있고, 저빈도 홍수위 분석도 용이할 것이다.

  • PDF

A Study for the DEM Generation from the SPOT Imagery Using Alternative Sensor Model Based on DLT (DLT 기반의 대안적 모형화(Alternative Sensor Model) 방법을 이용한 SPOT 위성영상의 DEM 생성에 관한 연구)

  • Yang, In-Tae;Lee, In-Yeub;Oh, Myung-J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2 no.2 s.29
    • /
    • pp.67-71
    • /
    • 2004
  • Increasing number and acquisition rate of satellite imagery promoted researches related with DEM generation based on satellite imagery. SPOT image gave us advantage to generate DEM which covers wide area of $60km{\times}60km$. In the case of rigorous sensor model of SPOT imagery, ephemeris data and several ground control points are need and requires arduous computational costs to produce DEM. In this study, using alternative sensor model based on Direct Linear Transform, we generated DEM using small number of ground control points.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acquire the DEM with suitable accuracy.

  • PDF

Evaluation of DEM Accuracy from ASTER Data (ASTER 데이터에 의해 추출한 DEM 의 정확도 평가)

  • Na, Sang-Il;Park, Jong-Hwa;Shin, Hyoung-Sub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028-2032
    • /
    • 2008
  • DEM은 도시계획, 도로건설 계획, 수해지역 예측 등의 많은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특히 홍수와 같은 하천재해를 분석, 관리하기 위한 유출모형 적용 때 중요한 입력 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DEM 제작방법은 과정이 복잡하고 자료 전환이 불가피하며 적용범위에 있어서도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기존에 사용되던 방법들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정확한 DEM 생성 방법으로 위성영상을 이용하는 연구 및 기술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DEM 생성 알고리즘을 ASTER 위성 영상에 적용하여 추출한 DEM의 정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정확도 평가는 USGS DEM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 정사보정의 RMSE는 6개의 GCP에서 2 화소에 수렴하였고, 구름영역에서 고도값이 실제 지형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금강 유역의 북동쪽으로 발달된 능선의 고도값은 ASTER DEM이 USGS DEM에 비해 과소평가 되었지만 영상 왼쪽에 위치한 분지는 평활한 지역으로 ASTER DEM과 USGS EM과의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림 지역 등 능선의 고도값은 ASTER DEM이 USGS DEM에 비해 과소평가 되었지만, 분지 등 평탄 지역의 DEM은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imulation of Nitrogen Movement in the Rainfall Event at an Upland Agricultural Watershed (임야지에서 강우사상시 질소거동 모의에 관한 연구)

  • Kim, Sang-Hyeon;Kim, Geon-Mo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4 no.5
    • /
    • pp.521-532
    • /
    • 2001
  • The propagation patterns of nitrogen during rainfall events are unsteady and heterogeneou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and transport mechanisms. A simulation of non point source pollution was performed using GRASS-AGNPS to examine efficient management methods for diffusive pollution. Digital Elevation Model(DEM) was prepared to estimate the impact of topography on the transport pattern of diffusive pollutant Hanjaechon watershed on the Kyungbook province was selected as a study ares. Water quality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 calibration of the model. A heuristic approach was employed to improve the model performance. The model could successfully produce spatial distributions of nitrogen. The constructed map-layers may help to decision makers to determine the best management practices.

  • PDF

Deriving Channel Width-discharge Relationship from Remote Sensing Imagery and Digital Elevation Models (원격영상자료와 수치고도모형으로부터 하폭-유량 관계식 도출)

  • Kim, Jong Chun;Paik, Kyungroc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8 no.8
    • /
    • pp.685-693
    • /
    • 2015
  • We propose a method for deri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nel width and discharge from remote sensing products. Stream widths at points distributed along a river network can be measured from high-resolution remote imagery. Further, corresponding drainage area for these points can be calculated using digital elevation models, making it possible to construct width-drainage area relation.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low discharge and the drainage area is obtained from historical data measured at ground stations. By coupling these two relationships, we can finally derive the width-discharge relationship which comprises an important component of downstream hydraulic geometry. The proposed method was tested for the Nakdong River and the Seomjin River, successfully capturing power-law exponents in the width-discharge relationships reported in earlier studies. The proposed approach can serve as an alternative for obtaining the hydraulic geometry relationship under the limits of ground data.

Development of Optimized Flow Apportioning Algorithm Using Natural Stream Morphology (자연하천 형상을 이용한 최적 흐름분배 알고리즘의 개발)

  • Kim, Sang-Hyun;Lee, Hak-Su;Kang, Chang-Yong;Kim, Nam-W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5 no.4 s.129
    • /
    • pp.345-358
    • /
    • 2002
  • The flow apportioning algorithms with digital elevation models have been developed to reflect reasonable flow divergence properties but they showed several defects related to the connectivity of channel cells, various divergence features along to local topography and channel cells' size etc. Topographic data used by existing flow apportioning algorithms are flow accumulation area and local slope. However, the size and location of channel cells which play the dominant role in the flow pathway were not properly considered. Therefore, a new flow apportioning algorithm considering various flow divergence characteristics in the complicate terrain is proposed. The GA optimization scheme is used to represent the location and scale of the channel pixel. Improved result can be obtained by using both a new flow apportioning algorithm and optim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