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출상품

Search Result 21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우리나라 기계공업 및 기계기술의 지내온 발자취

  • 성환태
    • Journal of the KSME
    • /
    • v.17 no.4
    • /
    • pp.235-256
    • /
    • 1977
  • 과거일제하에서는 그 식민정책으로 기계공업을 억제하고 경공업에 치중하였다가 1940년대 전쟁 물자 조달과 대륙침략야옥의 필요상 부분적으로 국내 생산을 하게 되었고 따라서 이에 관련된 토목기계, 광석기계, 농기구, 수송기계, 등의 기계공업이 일어나기 시작한 것이다. 그러다가 조국 이 해방된 기쁨은 안았으나 산업의 위축은 더할 나위 없이 되었고, 6,25동난을 당하여 그나마 대 부분 파괴되었던 과거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다가 1960년대 이후 우리나라 경제개발 1,2,3, 차5개년 계획을 수행하여 현재에 이른 것이다. 먼저 기계공업의 특징을 보면 기계공업은 모든 산업의 생산수단인 기계설비 생산하는 산업이며, 그 파급효과는 전 산업에 미친다. 산업구조의 고도화와 산업의 근대화는 기계공업의 발전없이 이루어질 수 없다. 기계공업은 중화학공업에 있 어서 중구적인 산업이니만큼 기계공업의 발전없는 경제성장에는 한계가 있는것이다. 선진공업 국가들은 수출상품중 기계류수출비중이 일반적으로 50%를 전후하고 있다. 기계류는 다른 상품과 달리 단위 거래규모가 크기 때문이다. 다음에 기계공업은 기술집약, 노동집약 현 산업이다. 우리 나라는 비교적 풍부한 노동력을 가지고 있을뿐아니라 이들 인력은 교육수준이 대체로 높다. 그러기 때문에 기술노동집약적인 기계공업은 고용증대를 갖어오는 반면에 높은 교육수준의 풍부 한 노동력을 통한 발전이 기대되고 있다. 특히 기계고업은 국방력강화라는 점에서 큰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그러므로 기계공업은 국방력 강화의 기초산업이다. 우리나라 현재의 여건으로서 기게공업은 방의산업으로서의 역할이 크게 요청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제는 수출의 증대를 통 해서 고도의 경제성장을 유지해야 하겠고 80년대의 자립경제 기반을 구축키 위한 공업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어서 중화학공업의 핵심산업으로서 기계공학 및 기술의 획기적인 육성과 발전은 우리나라 경제의 당면 과제인 것이다. 보고에서 필자는 여러 문헌들을 통하여 우리나라 기계공업 의 발 자취를 살피고 현향을 소개하며 아울러 대망의 80년대의 우리나라 기계공업을 전망해 보고 저 한다.

  • PDF

Tariffs on Irrelevant Industries (무관한 산업에 대한 정벌적 관세부과)

  • Rhee, Byung-Chae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13 no.4
    • /
    • pp.399-410
    • /
    • 2011
  • Traditionally, tariffs have been used to protect domestic industries. In particular, a country with more bargaining power makes a punitive threat to maintain a certain level of market share in the market of other country. In this paper, we study the effect of punitive tariffs on an irrelevant industry. In particular, when a country tries to achieve a market share or quantity target in an industry, we examine the effect of threats to impose tariffs on the major export of another industries which are irrelevant to the targeted industry. Using a simple duopoly model, we show that there is a Cournot-Nash equilibrium which supports that a country has an incentive to resolve a trade dispute voluntarily to protect its major export industry under the credible treat of punitive tariffs. This result is mainly due to the fact that the trade policy of a country concerns the aggregate benefits from trade over all its export industries. To obtain this result, this paper employs the linkage between the targeted and irrelevant industries by using the lobby of the irrelevant industry to curb the targeted industry. A lot of recent bilateral trade agreements can be applied to our results.

  • PDF

Systematic Postharvest Quality Management Technology to Improve Marketability of Fresh Ginseng for Export (수출용 수삼 수확후 품질관리기술 체계화)

  • Ji Hyun Lee;Ji-Weon Choi;Min Sun Chang;Sooyeon Lim;Haejo Yang;Il Sheob Shi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80-80
    • /
    • 2020
  • 인삼(수삼)은 장기 유통할 때 품질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이는 잘못된 저장, 세척 등의 기술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포장 기술만으로는 고품질 수삼 유통을 실현하기 어렵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토대로 수출용 인삼 수확후 품질관리 과정을 정리하여 매뉴얼화 하였다. 인삼의 수확후 생리적 특성과 품질저하 요인은 물론 수확에서 저장, 세척·건조, 상품성 향상 포장 방법, 냉장컨테이너 적재, 저온 수송 및 판매 시 주의사항 등을 기술하였다. 수삼의 유통 중 손실율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물러짐과 곰팡이 발생에 의한 부패, 뇌두부위 출아에 의한 상품가치 하락으로 나타났다. 출아는 수확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가을수확 수삼에서는 저장기간 뇌두부위 출아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고, 봄수확 수삼의 경우 수확시기가 늦으면 뇌두 출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부패 병원균은 25℃ 운송 시 Fusarium spp.가 15, 5, 1℃ 운송 시 Botrytis spp.가 주를 이루었다. 포장단위를 5kg 대포장과 500g 소포장으로 하였을 때 소포장의 물러짐 현상이 대포장보다 훨씬 높게 나타나는 반면 곰팡이 발생에 의한 부패는 대포장보다 낮게 나타났다. 수삼 저장온도에 따라 유통 중 품질이 크게 달라져 온도 -2℃ 이하에 저장한 수삼은 유통 중 손실률이 높고 특품의 비율이 낮아지는 등 품질이 저하되며 저장기간이 길수록 더욱 심화되는 반면 0℃ 저장 수삼은 저장 3개월 후에도 유통 중 품질의 변화가 적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인삼의 전통적인 수확후 관리 방법이 아니라 수출용 인삼의 품질 향상을 위해 개선된 수확후 관리 방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흐름도로 정리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Trade Structures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Industry (우리나라 환경산업의 무역구조와 국제경쟁력에 관한 연구)

  • Park, Bok-Jae;Moon, Young-Soo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15 no.2
    • /
    • pp.345-364
    • /
    • 2013
  • This paper analyzed the Trade Structure of environmental industry in Korea and some major countries in preparation for The Doha Development Agenda (DDA) Trade Liberalization Negotiation in the environmental goods. Based on 161 environmental goods list proposed by OECD, this paper examined the Trade Returns of worldwide environmental goods during the past 10 years from 2002 to 2011. The analysis showed that Korean environmental goods' International Market Share(IMS) in the world was 3.2%; trade specialization index(TSI) -0.128;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RCA) 1.002 in 2011. And Korea Export Similarity Index(ESI) to Japan was the highest rank in the world marke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it is clear that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Industry was received a relatively poor evaluation compared with Korean trade scale.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it is required that Korean government should make an effort to boost domestic environmental industry and promote systematically Trade Liberalization Negotiation including the enforcement of transient period for Korean environmental goods in the next DDA Negotiation.

  • PDF

A Study on the Strategy for Enhancing the Service Export linked with Manufacturing Sector : focused on Stage System and Special Lighting Service (제조-서비스 연계형 수출상품화 모델 개발전략 - 무대장치 및 특수조명서비스 수출산업을 중심으로 -)

  • Park, Moon-Suh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10 no.4
    • /
    • pp.457-491
    • /
    • 2008
  • As stage equipment export markets along with special lighting service lack the attraction for already globally established businesses, such markets can be viewed as an advantageous opportunity for SMEs as in general. In reality, global businesses tend to focus on large construction projects and this indicates relatively less substantial markets such as stage equipment and special lighting service export are more suitable for SME businesses. However, possible problems may be recognized as following; doubtful capabilities by such businesses to join in the vast and competitive global market and pursue manufacturing and service based export. This point is also supported by the fact that such in general SME businesses have substantially less experience in exporting products and services abroad. Realizing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Korean economy, it is unarguable that every sector and area of global market must be regarded and monitored closely. Hence, it can be argued that there is an imminent need for establishment of supportive institution to assist export process of combination of stage equipments and special lighting service.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to improve export process of stage equipments, special lighting services as well as other related products and services which have been focused in domestic market only until now. Further, it also analyzed the potential prospect of such direction reconciling current crisis our manufacturing industry is facing. Even though it maybe regarded as one of the niche market for export of Korea in the short term view, stage equipment and special lighting service industry may rapidly grow as the global cultural industries have grown along with the increase of national income earnings overall. Due to such advantageous features, it can be expected that such industries will show strong growth in the near future. After analyzing the fact that Korea's plants (eg. powerplants) export sector is at its boom, there is a need to transform stage equipment and special lighting service export market into a primary market from a secondary(niche) market for SMEs. This study is viewed from the Korean economic and export sector aspect in the aim of seeking a solution to conquest our realistic limit in our export sector by developing a suitable export model. There have been cases of very few attempts to expand abroad by SMEs who have failed miserably due to their failure to adapt to foreign culture, practice and languages as well as substantial lack in experience in export marketing. Despite this, neglecting our manufacturing industry as it is which is showing its limit and problems is out of option therefore, it is imminent that we come up with an effective measure to address this problem and service export can be suggested as one of them. This study reveals manufacturing-service export model of stage equipment and special lighting service and its related areas is recognized as a field with a very strong future and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bring synergy effects in manufacturing and services sector as well. Further, the operation strategy contains combination, composition and fusion(convergence) of manufacturing and service sectors which could derive various of export products which displays greater success probability or this export model.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come a useful source for enterprises related to such industry which are seeking a possible global expansion. Furthermore, it is also expected to become a catalyst which fastens the process of global expansion and not only that, we are firmly assured that this study will become an opportunity to improve our current policies and institutions related to this area's export market.

  • PDF

A Study on Improvement of Quality of Some Exporting Products : Regarding Utilization of Management Techniques (수출상품(輸出商品)의 품질향상(品質向上) 추진방안(推進方案)에 관한 연구(硏究) (생산관리(生産管理) 기법(技法)의 적용(適用)에 대하여))

  • Kim, Won-Jung;Sin, Yong-Baek;Kim, Gwang-Seop;Ham, Hyo-J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 /
    • v.13 no.2
    • /
    • pp.13-20
    • /
    • 1985
  • The main focus of this paper i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some of exporting products and the application of modern production management techniques in the plants. Products are classified by SITC and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annual rate of export. Introduction of production techniques, as well as product design, is directly related to high exporting rate and competitiveness.

  • PDF

A Study on How to Improve the Plan of Domestic Web Shopping Mall by Foreign User Side (외국인 사용자 측면에서 국내 웹쇼핑몰 디자인 개선방안 연구)

  • Choi, yun-hee;Jo, se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77-278
    • /
    • 2015
  • 최근 세계 각지에 불고 있는 한류 열풍으로 인해 외국인의 한국 제품에 대한 관심이 급상승 하고 있다. 한국 수출입은행 보고서에 따르면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우리나라 평균 수출 증가율은 2.2% 하락했지만 한류관련 상품의 평균수출 증가율은 14.8%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정보통신의 발달로 제품 판매 경로가 오프라인 시장에서 온라인 시장으로 확대되어 옮겨져 해외에서도 온라인을 통해 한국 제품을 직접 구매하고 싶어 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시점에 이른바 역직구라 불리는 해외 소비자가 국내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할 때에 문제가 되는 디자인적 요소들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 PDF

우리나라 독점공기업(獨占公企業)의 성장요인분석(成長要因分析) -한국전력공사(韓國電力公社)와 한국전기통신공사(韓國電氣通信公社)를 중심(中心)으로-

  • Song, Dae-Hui;Song, Myeong-Hui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0 no.4
    • /
    • pp.39-59
    • /
    • 1988
  • 우리나라 공기업부문(公企業部門)의 국민경제적(國民經濟的) 비중(比重)이 1970년대에 비하여 1980년대에 더욱 커진 요인(要因)은 정부투자기관(政府投資機關)의 급속한 확장(擴張) 및 성장(成長)에 있었다고 판단된다. 본(本) 연구(硏究)는 정부투자기관(政府投資機關)에서 차지하는 비중(比重)이 막중한 한국전력공사(韓國電力公社)와 한국전기통신공사(韓國電氣通信公社)의 성장요인(成長要因)을 가격요인(價格要因)과 생산성요인(生産性要因)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생산성요인(生産性要因)을 다시 투입요소별(投入要素別)로 분석하여 보았다. 우리나라 최대공익기간업체(最大公益基幹業體)인 이들 두 기관(機關)은 기업(企業)의 성장(成長)을 1979~82년 기간중(期間中)에서와 같이 가격적(價格的) 수단(手段)에 의하기보다는 실질적(實質的) 생산성증가(生産性增加)에 의하여야 할 것이며, 실질생산성(實質生産性) 향상(向上)을 위한 수출상품(輸出商品) 및 투입요소(投入要素)의 합리적(合理的) 재구성(再構成) 및 관련기술개발(關聯技術開發)에 보다 역점(力點)을 두는 경영(經營)을 해나가야 할 것이다.

  • PDF

무역(貿易)과 산업조직(産業組織)의 연계성(連繫性)에 관한 고찰(考察)

  • Yu, Seung-Mi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0 no.3
    • /
    • pp.65-94
    • /
    • 1988
  • 한국경제(韓國經濟)의 대외의존도(對外依存度), 시장개방(市場開放)의 정도(程度)가 높아감에 따라 상품(商品), 자본(資本), 기술(技術)의 대외거래(對外去來)와 내수시장(內需市場)의 산업조직(産業組織)이 갖는 연계성(連繫性)은 한국(韓國)의 산업조직(産業組織)에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 본고(本稿)에서는 수입(輸入) 등 해외(海外)로부터의 유입(流入)과 수출(輸出) 등 해외(海外)로의 유출(流出)이 산업조직(産業組織)의 주요변수(主要變數)들과 갖는 인과관계(因果關係)를 경험적(經驗的) 산업조직론(産業組織論)의 체계내(體系內)에서 이해하려는 시도로서, 이에 대한 제가설(諸假設)을 전개하며 실증분석(實證分析)을 시도하였다. 동시성(同時性)을 충분히 고려한 연립방정식체계(聯立方程式體系)의 추정결과(推定結果)는 동시성(同時性)을 무시한 경우보다 제가설(諸假設)의 주장에 더욱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경우 실증분석(實證分析) 결과(結果)는 가설(假說)을 지지하나 수출(輸出)의 경우에는 상반(相反)된 결과(結果)를 나타내고 있다. 본(本) 연구(硏究)의 분석결과(分析結果)에 의하면 그 동안 한국(韓國)의 수입정책(輸入政策)은 시장성과(市場成果)를 향상(向上)시키는 수단(手段)으로서의 기능보다는 단순히 수출증대(輸出增大)를 위한 수입확대(輸入擴大)의 기능을 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입(輸入)에 대한 시장개방(市場開放)에 있어서 비관세장벽(非關稅障壁)의 제감(除減)은 시장성과(市場成果)에 대하여, 관세장벽(關稅障壁)의 인하(引下)는 수입(輸入)의 내수점유율(內需占有率)에 대하여 각각 상대적으로 높은 정(正)의 효과(效果)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정책목표(政策目標)에 따른 정책수단(政策手段)의 선택(選擇)에 대하여 중요한 시사점(示唆點)을 갖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