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출마케팅 성과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4초

중소기업 수출마케팅 지원 플랫폼(Platform)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조기 수출성과 창출을 위한 마케팅 플랫폼과 활용 사례 - (A Study on The Supporting-Platform of International Marketing for SME's early export performance)

  • 신윤식
    • 통상정보연구
    • /
    • 제17권1호
    • /
    • pp.57-85
    • /
    • 2015
  • 최근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수출기여도가 점점 약화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개선책을 수출마케팅 플랫폼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보유자원과 전문 인력이 취약한 한국 중소기업들은 수출에 있어 정부 등 지원기관의 수출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의존도가 비교적 높으므로 프로그램의 운용시스템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수출지원프로그램의 운용측면에서의 개선점과 중소기업의 수출성과 창출을 위한 '수출마케팅 지원플랫폼'을 제안하였으며, 이 플랫폼을 적용하여 일선 중소기업을 1년간 지원한 사례와 성과를 소개한 연구이다. 본 플랫폼은 기업이 수출을 시작한 후 조기에 수출성과를 낼 수 있는 마케팅 방법론과 활동(activity) 그리고 프로세스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국제마케팅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는 수출지원 프로그램들의 조합(combination)과 운영방안에 주안점을 둔 개념적 모형이다. 본 모형을 활용하면 중소기업은 저비용으로 비교적 짧은 기간 내에 수출성과를 낼 수 있다. 지원기관의 입장에서도 기존의 단조로운 수출지원 시스템에서 벗어나 제품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수출지원 프로그램을 소화할 수 있는 탄력적인 지원 플랫폼을 확보함으로서 수출지원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정부를 비롯한 수출지원기관들이 중소기업의 해외마케팅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통합수출지원 플랫폼'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중소기업 마케팅능력이 시장성과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 수출마케팅의 매개효과 및 경쟁 강도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SME Marketing Capability on Market Performance : Mediating Effect of Online Export Marketing and Moderating Effect of Competitive Intensity)

  • 박동진;서영욱
    • 벤처혁신연구
    • /
    • 제6권3호
    • /
    • pp.131-148
    • /
    • 2023
  • 본 연구는 온라인 수출마케팅을 활용한 중소기업의 마케팅능력이 시장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중소기업은 시장 확대를 위해 내수시장에서 해외시장으로 시장 확대와 매출증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경쟁이 치열한 해외시장에서 성과를 낼 수 있는 요인들을 연구하였다. 총 400개의 수출 중소기업 설문을 수령하였고, 온라인 수출마케팅에 직접 참여한 설문대상자 159개사를 최종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 조사는 SMART PLS 4.0과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고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의 마케팅능력이 온라인 수출마케팅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수출마케팅의 매개역할을 통해 시장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출시장에서의 경쟁강도는 온라인 수출마케팅에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수출 중소기업의 마케팅능력(제품개발능력, 유통능력, 가격책정능력, 홍보능력)이 온라인 수출마케팅을 매개로 하여 해외 시장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할 수 있었으며, 경쟁이 심한 해외시장에서 중소기업의 온라인 수출마케팅 활용은 해외 시장개척과 성과에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중소기업 해외시장 진출과 성과를 위해 온라인 수출 마케팅의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하다.

중소수출기업의 SNS 마케팅 활용동기 및 성과에 대한 실증분석 (Empirical Analysis on Small and Medium Sized Exporting Company's Utilization Motivation and performance of SNS Marketing)

  • 김종환;남경두;이진우
    • 통상정보연구
    • /
    • 제15권3호
    • /
    • pp.111-133
    • /
    • 2013
  • 최근 중소수출기업들이 해외시장개척활동 수단으로 Blog, Linked-In, Facebook 등 SNS마케팅을 도입하기 시작하였음은 물론 이를 통해 가시적인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SNS 마케팅의 활용은 수출마케팅 분야에서 더욱 활성화 될 것으로 예측되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수출마케팅 환경이 SNS 활용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SNS 마케팅 성과를 분석하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실증분석결과 마케팅비용절감, 풍부한 수출경험, SNS 마케팅 인력의 유무의 변수들이 유의미한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기업의 내 외부환경이 SNS 마케팅 활용동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활용동기에 따른 간접성과에서 경쟁업체의 자극, 비용저렴의 두 가지 요인만이 유의미한 값을 가지며 직접성과에서는 비용저렴의 요인만이 유의미한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SNS 활용동기가 직간접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 이라는 가설이 기각되고 있다. 이는 SNS 마케팅 역시 고객과의 소통과 관계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만큼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이를 수행해야 한다는 점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연구에서는 다년간의 SNS 마케팅 활용경험을 가지고 있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함과 동시에 기업들이 겪고 있는 활용상의 제약과 문제점을 세밀하게 연구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 PDF

SNS 활용이 수출마케팅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NS Use on Export Marketing Performance)

  • 김학민;이승철
    • 통상정보연구
    • /
    • 제14권1호
    • /
    • pp.391-418
    • /
    • 2012
  • 최근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Social Network Service)는 그 사용범위와 목적이 확장하고 있다. 초기의 이메일, 리스트서브, 뉴스그룹 등 비교적 동질적 집단 간의 네트워킹 중심의 SNS로부터, 이제는 기업들에게도 게시판, 개인의 미니홈피나 블로그, Facebook, Twitter를 이용한 소셜미디어 마케팅이라는 개념이 형성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 활용과 수출마케팅 성과의 관계성을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SNS활용의 유형을 살펴보고, 이들과 수출마케팅 성과와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SNS활용은 수출마케팅 성과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제품의 온라인 적합성과 조직의 혁신수용성은 SNS활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된 반면, 마케팅역량과 국제화역량은 SNS활용을 통하여 수출마케팅성과로 이어지지 않는다고 파악되었다. 따라서 SNS의 활용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제품과 서비스의 개발과 함께, 조직 내부의 SNS활용에 대한 적극적 관심과 수용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수출 중소기업의 마케팅믹스요인이 마케팅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xport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Marketing Mix on Marketing Performance)

  • 범경기;김원겸;맹부영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5-136
    • /
    • 2011
  •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국민경제에서의 고용창출 효과와 수출기여도 측면에서의 중요도는 매우 크다. 날로 높아져가는 세계시장의 글로벌화와 환경변화 속에서 무역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 기업의 경우 제품 가격 유통 촉진 즉, 마케팅믹스 전략과 경쟁력이 수출성과 거양에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출 중소기업의 마케팅믹스요인과 마케팅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중소기업이 실행해야 할 최적의 마케팅전략을 제시하면서 수출마케팅과 중소기업정책 발전의 토대를 이루기 위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국내 338개 수출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AMOS 18.0을 이용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마케팅믹스와 마케팅성과 관계에서는 4P's Mix요인 중 유통과 촉진관련전략이 마케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제품 가격전략은 통계분석상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아 기각되었다. 따라서 향후 수출중소기업입장에서는 마케팅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내부적이고 전사적인 노력이 선행되어야 수출마케팅성과가 더욱 극대화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수출마케팅 실험과 시사점 - 트위터와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 (Experiments of Export marketing Using Social Media and Their Implications)

  • 이호영;김학민
    • 통상정보연구
    • /
    • 제13권4호
    • /
    • pp.3-21
    • /
    • 2011
  •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를 수출마케팅에서 활용할 때 어떤 결과를 얻을 수 있을 지를 발견하기 위한 탐색적인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트위터와 페이스북을 활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페이스북 수출마케팅 실험에서 여러가지 성과를 거두었다. 페이지 제휴를 중심으로 한 B2B 마케팅과 이벤트를 중심으로 한 B2C 마케팅을 병행하여 이용자들의 관심도를 높일 수 있었다. B2C 마케팅으로는 개인대상 Event, Poll event, 댓글 및 담벼락 이용, Social Commerce 등을 이용하였고, B2B 마케팅으로는 페이지 관리자 대상 이벤트, 제휴 페이지 구축, 그룹 가입 마케팅 등을 이용하였다. Facebook의 특수 기능으로는 소셜 플러그인 기능사용, Twitter 연동, Photo Tagging 등이 효과적이었다. 실험 결과를 통해 효과적인 수출기업의 소셜미디어 마케팅을 위한 모텔을 제안하였다. 첫째, 소셜미디어 채널간의 연계시스템 구축, 둘째, 기업 마케팅믹스와 부합되는 소셜미디어 사용, 소셜미디어 관리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과 관리자 역량 퉁이 핵심 성공요인으로 도출되었다.

  • PDF

수출중소기업의 시장지향성과 브랜드지향성이 기업역량 및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SMEs' Market Orientation and Brand Orientation on Firm Capabilities and Performance in Export Markets)

  • 이유림;정재은;정소원
    • 무역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75-203
    • /
    • 2017
  • 본 연구는 자원기반관점에 입각하여 국내 중소기업의 시장지향성과 브랜드지향성이 기술역량, 마케팅역량, 수출경쟁우위 및 수출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대한상공회의소의 DB를 바탕으로 수출 제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86부가 실증분석에 이용되었다. 분석 결과, 중소기업의 시장지향성은 기술역량과 마케팅역량을 제고할 뿐만 아니라 수출시장에서의 경쟁우위를 점하고 높은 재무성과를 달성하도록 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브랜드지향성은 기술역량과 마케팅역량을 통해 경쟁우위와 재무성과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기술역량과 마케팅역량 모두 중소기업이 해외시장에서 경쟁우위를 차지하게 하여 재무성과를 내게 하는 요인임이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는 시장지향성과 브랜드지향성이 국내 중소기업의 역량과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제시함으로써 이들의 해외시장에서의 경쟁력과 성과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DF

전자무역 마케팅의 수출 성과에 대한 효과성 분석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e-Trade Marketing for Export Performance)

  • 김학민
    • 통상정보연구
    • /
    • 제13권2호
    • /
    • pp.3-26
    • /
    • 2011
  • 본 논문은 전자무역의 마케팅 효과성을 높이기 위하여 그 활용실태를 분석하고, 그 개선방안을 부분적으로 제시한 논문이다. 전자무역 마케팅은 그 개선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특히, 중소기업의 전자무역 마케팅은 대기업과 비교할 때 그 효과성 측면에서 미흡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는데, 본 논문은 이를 개선하기 위한 기초연구 차원에서 수행되었다. 먼저 전자무역 마케팅에 대한 실효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연구모형을 제안하였으며, 이에 관한 연구가설을 제안하였다. 연구가설은 B2B관계 및 협력, 제품형태, 온라인적합성, 국제화단계, 전자무역 마케팅 활용, 수출성과의 6가지 요인모델을 제시하였다. 이의 검증을 위하여 전자무역 마케팅을 전개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통계분석 및 가설검정을 수행하였다. 통계분석 및 가설검정 결과, 전자무역 마케팅 활용이 수출성과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고성과 집단과 저성과 집단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무역거래 알선 사이트, 블로그, 트위터, 검색마케팅 활동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중소기업의 전자무역 마케팅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활용수단을 적극적으로 이용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수출성과에 제시된 변수들이 제한적으로 검증되고 있는 바, 향후 연구모형의 수정과 함께 수출성과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 PDF

수출성과와 수출마케팅변수의 적응화/표준화 수준에 관한 연구 - 뉴질랜드의 수출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 (Study for Export Performance and Adaptation/Standardization Level on Marketing Variables -the cases of New Zealand Exporting Companies-)

  • 황선대
    • 통상정보연구
    • /
    • 제16권4호
    • /
    • pp.103-123
    • /
    • 2014
  • 수출성과는 수출마케팅 연구의 핵심적인 주제이다. 본 연구는 기업이 해외 수출시장전략으로 선택한 적응화 전략과 표준화 전략이 실제로 마케팅 변수에 실행된 수준과 그 결과 획득된 수출성과 사이에 어떤 상관성이 있는지를 탐구함으로써 적응화와 표준화의 전략적 활용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우리나라 수출시장으로 진출하고 있는 뉴질랜드의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적응화와 표준화는 전략 실행의 정도와 수준을 의미하는 연속적인 개념으로 각각 강점과 약점을 가지고 있다. 실증분석 결과 적응화 전략의 경우 수출성과(만족과 불만족한 수출사업)의 차이는 제품 변수보다는 가격, 장소, 촉진 변수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난 반면, 표준화 전략의 경우 가격, 장소, 촉진 변수보다는 제품 변수에서 수출성과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는 기업이 해외 수출시장을 공략할 때 제품 변수는 표준화 노력을 그리고 가격, 장소, 촉진 변수는 적응화의 노력을 기울일 때 만족한 수출성과를 얻게 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시사해주고 있다.

  • PDF

중소기업의 ICT 역량, 글로벌지향성 및 수출마케팅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ICT Capability, Global Orientation and Export Marketing in Korean SMEs)

  • 이양복
    • 무역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51-276
    • /
    • 2017
  •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한 디지털 경영환경에서 중소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ICT 역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있으며 또한 FTA의 체결 확대로 글로벌 가치사슬에의 참여를 위한 마케팅 역량의 중요성도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자원기반 관점에서 중소기업의 국제화 과정에서 요구되는 ICT 활용역량, 글로벌지향성 및 수출마케팅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국내 지방소재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 결과, 첫째 ICT 활용역량은 수출마케팅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국내 중소기업들이 정보통신기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는 있지만 아직 성과와 연계되도록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둘째, ICT 활용역량은 글로벌 시장과 고객의 네트워크 관계를 구축하고자 하는 글로벌지향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글로벌지향성은 수출마케팅역량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ICT 활용역량이 직접적으로 수출마케팅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글로벌지향성을 통한 간접적 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글로벌지향성의 유의한 완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표본의 특성과 국내 중소기업들이 ICT를 사업역량의 보완적인 성격으로 인식하고 활용하는 것에도 기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연구는 국내 중소기업의 국제화 과정에서 요구되는 정보통신기술의 활용과 수출마케팅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연구로 ICT 역량의 역할과 중요성을 확인하고 글로벌지향성 및 수출마케팅역량과의 관계를 입증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중소기업들은 기술의존도가 높아지는 정보통신기술 환경에서 ICT 역량에 대한 보다 전략적인 접근으로 수출마케팅 등의 내재적인 글로벌 역량을 높이려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