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질 센서

Search Result 15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Development of Multipurpose Platform for Acquisition of Subsurface Spatial Information (수중공간정보 획득을 위한 다목적용 플랫폼 개발 연구)

  • Choi, Byoung-Gil;Cho, Kw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414-416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중의 다양한 공간정보를 무인으로 획득할 수 있는 다목적용 플랫폼을 개발하는데 있다. 다목적용 플랫폼은 GPS, 음향측심기, 사이드스캔소나, 지층탐사기 등을 탑재하고 자동제어에 의한 방법으로 내수면 및 연안의 수중공간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무인 원격 수중 공간정보 획득장비를 개발함으로써, 기존의 측량선을 이용하기가 어려운 저수지, 댐 등의 지역 및 오염으로 인해 사람이 접근하기 불가능한 지역의 각종 수중정보 취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하나의 플랫폼에 다중 에코사운더, 영상센서, 수질측정 센서 등 사용목적에 맞는 센서의 장착하여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내수면과 관련된 정보의 획득을 필요로 하는 거의 모든 산업분야에서의 경제적인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Implement of Geosensor Stream Data Management System based on Smart City in Saemangum (새만금 Smart City 기반 Geosensor 스트림 데이터 관리 시스템 구현)

  • Mun, Young-Chae;Baek, Jeong-Ho;Gang, Pung-Seong;Lee, Hong-R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1399-1401
    • /
    • 2010
  • 본 연구는 새만금과 새만금 주변에서 Geosensor 스트림 데이터 측정을 위해 대기관련 센서들로 3개의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수질관련 센서들로 하나의 클러스터를 구성하여 Geosensor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각 클러스터로부터 5분 단위로 수집된 센서 스트림 데이터를 시스템에 전송하고, 시스템에서는 수신된 스트림 데이터를 분석 및 처리하여 DB에 저장한다. 본 연구에서는 Geosensor 데이터 가공 처리 및 저장, Geosensor 관리, 상황정보 관리, Geosensor 스트림 데이터와 GIS 연동 기능을 포함한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Development of Automatic Water Sampler with Sensor for Practical Measurement (현장측정용 센서부착 자동채수기 개발)

  • Kim, Jin-Hyok;Han, Seong-Kuk;Lee, Jin-Pill;Kim, Jae-Yong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1 no.6
    • /
    • pp.632-637
    • /
    • 2010
  • Considering the water quality regulation of total emission system which is enforced with hydro TMS and so on operating currently, automatic water sampler must be necessary in the viewpoint of national interest for conservation of water resources. This study aimed to develope automatic water sampler for the purpose of decreasing spends on foreign currency which is relied on import from abroad and upgrading the functional efficiency simultaneously. We have made an effort for developing results as follows with some cases. First, flow meter with a sensor equiped into automatic water sampler for field measurement which can perform linkage operation was developed. Second, remote-D/L system was developed which was able to monitor and store some transmitted data from practical measurement sensor. Also, automatic water sampler was developed in this research that operates in a sewage treatment plant, and finally, we confirmed that our system is able to apply to the field well.

Research Regard to Necessity of Smart Water Management Based on IoT Technology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물관리 필요성에 관한 연구)

  • Choi, Young Hwan;Kim, Yeong Real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2 no.4
    • /
    • pp.11-18
    • /
    • 201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a Smart Water Management(SWM) Technology. The SWM Technology can Reduce the Production Cost using Internet of Thing(IoT) Technology that Utilizes Remote Metering of Consumer's Water usage and Reduce the Leakage of Supply Facilities. The SWM Demonstration Model Installed a Remote Water Leakage Sensor, Smart Metering and Micro Multi Sensor in Water Supply Facility, and Provided Real-Time Monitoring of the Operation Status. Consumers can be Provided the usage of Tap Water and the Water Puality through a Smart Phone Application. At this Time, we Surveyed Whether Consumers save the Tap Water or Drinking Directly using the Tap Water usage Information. Also,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Water Supply Rates and Drinking Water Rate, and to Decrease Consumer's Complaints, Operating Costs, and Water Consumption by the SWM Technology. It is also Established a SWM Model Combined with the IoT Sensor at Supply Facilities, operator monitoring system and explored recovery solution detected events. It means the upbringing of the domestic water industry by developing the related technologies and spreading the SWM to advanced levels.

Statistical Analysis of Water Quality in a Land-based Fish Farm (육상 수조식 양식장 수질 환경의 통계적 분석)

  • Kim, Hae-Ran;Ceong, Hee-Taek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5 no.6
    • /
    • pp.637-64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factor scientifically and develop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predicting dissolved oxygen to save periodic replacement costs for dissolved oxygen sensor. Correlation analysis using the environmental data obtained from 2 different land-based fish farms of the Geogeum-do, Geheung-gun coastal area during the periods from November 2008 to January 2009 shows that water temperatur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issolved oxygen and pH butpH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alinity and dissolved oxygen. The information of Keumho fish farm in 2009 is presented by the tables which are monthly statistics of water quality factors and seasonable difference by the Duncan's post-test. Also we developed multiple regression model predicting dissolved oxygen, the usefulness of which was verified by the comparison graph between estimates and actual observations. The developed regression model shows that sea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give negative affect to dissolved oxygen while pH gives positive affect to it. Lastly the seawater temperature has much higher explanatory power than pH factor.

Analysis of digital monitoring of TOC using a spectrometer in river (하천에서의 분광측정기를 이용한 TOC 디지털 모니터링 분석 연구)

  • Soo Bin Yoon;Chang Hyun Lee;Ho Soo Lee;Ye Lim Park;Young D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95-195
    • /
    • 2023
  • 유기물오염은 호수와 하천에서 가장 흔히 나타나는 오염의 형태이다. 개발도상국에서는 하수처리시설이나 생활용수처리시설에서 유기물이 처리되지 않아 수중의 유기물함량이 증가하여 피해가 나타난다. 물환경보전법에 따라 유기물질을 측정하는 지표에는 BOD, COD, TOC가 있다. 그 중 BOD, COD 측정은 절차가 복잡하고 오래 걸리며, 생물분해가 불가능하거나 유독물질이 존재하는 유기물질인 경우에는 낮은 결과 또는 측정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환경부에서는 TOC중심관리로 전환되고 있다. 대부분의 수질항목 측정의 경우 현장시료를 채취하여 실험실에서 분석하는 수분석을 이용한다. 하지만 수분석의 경우 인력이 많이 투입되고 분석수가 한정적이며, 정교한 과학 장치를 갖춘 전문 실험실을 필요로 한다. 반면에 TOC는 짧은 시간 내에 측정이 가능하고, 안정적인 산화로 유기물질 총량을 정확하게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위해성 물질을 발생시키지 않는 친환경적 방법이라 환경오염 감시에 많이 활용된다. 본 연구에서 분광측정기 중 하나인 S-CAN을 통해 하천의 TOC분석을 진행하였다. 대상지는 안동에 위치한 하천실험센터와 금호강 진천천으로 S-CAN측정과 채취한 시료의 수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TOC측정 및 기기에 대한 정확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S-CAN을 활용한 TOC중심의 수질모니터링하여 수질의 특성을 탐구하고, TOC기초연구를 통한 유기물오염도 지표로서 해석할 수 있다. 수분석 자료를 활용한 정확도 비교를 통해 하천 TOC센서 측정 적용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과 측정기기의 현장적용성을 판단 할 수 있다. TOC측정 및 분석을 통해 유기물질량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측정하게 되면 수질관리 효율성이 높아지고, 하천에 유입되는 유기물질량과 농도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실효성 있는 정책 수립 및 효율적인 수질관리를 할 수 있다.

  • PDF

A development of submerged type multiprobe water-quality measuring instrument and remote monitoring system (침지형 다항목 수질계측기 및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Yang, Keun-H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10 no.3
    • /
    • pp.207-213
    • /
    • 2009
  • The quality of tap water on the whole water-supply system, from a large filtration plant to a private faucet, has to be guaranteed the standards of drinking water. At this point in time, however, the supply process of the tap water has not been monitored and managed scientifically. The piped water, especially the most small-scale reservoirs(underground or overhead type) are always exposed to various contaminations and impurities. Recently monitoring systems of water-quality were spread on some large filtration plants or distributing reservoirs. In particular, the water quality monitoring method using the internet is adopted into some local government whose inhabitants can check up the water quality anytime and anywhere. The construction of this system that has to apply a large scale needs, and has a limitation on the small water-supply system, such as apartments, public facilities and small-scale underground or overhead reservoirs. In this work, we suggest the integration system of individual water-quality sensor modules that have a low price. By using the developed integration system and online monitoring program operated on the internet, the system managers of reservoirs can monitor and manage water-quality characteristic values of drinking water in online. Since the proposed system was modularized, the system can be applied easily into various reservoirs with a low cost and regardless of its scale, small or large.

  • PDF

Airborne Hyperspectral Imagery availability to estimate inland water quality parameter (수질 매개변수 추정에 있어서 항공 초분광영상의 가용성 고찰)

  • Kim, Tae-Woo;Shin, Han-Sup;Suh, Yong-Cheol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0 no.1
    • /
    • pp.61-73
    • /
    • 2014
  • This study reviewed an application of water quality estimation using an Airborne Hyperspectral Imagery (A-HSI) and tested a part of Han River water quality (especially suspended solid) estimation with available in-situ data. The estimation of water quality was processed two methods. One is using observation data as downwelling radiance to water surface and as scattering and reflectance into water body. Other is linear regression analysis with water quality in-situ measurement and upwelling data as at-sensor radiance (or reflectance). Both methods drive meaningful results of RS estimation. However it has more effects on the auxiliary dataset as water quality in-situ measurement and water body scattering measurement. The test processed a part of Han River located Paldang-dam downstream. We applie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ith AISA eagle hyperspectral sensor data and water quality measurement in-situ data. The result of linear regression for a meaningful band combination shows $-24.847+0.013L_{560}$ as 560 nm in radiance (L) with 0.985 R-square. To comparison with Multispectral Imagery (MSI) case, we make simulated Landsat TM by spectral resampling. The regression using MSI shows -55.932 + 33.881 (TM1/TM3) as radiance with 0.968 R-square. Suspended Solid (SS) concentration was about 3.75 mg/l at in-situ data and estimated SS concentration by A-HIS was about 3.65 mg/l, and about 5.85mg/l with MSI with same location. It shows overestimation trends case of estimating using MSI. In order to upgrade value for practical use and to estimate more precisely, it needs that minimizing sun glint effect into whole image, constructing elaborate flight plan considering solar altitude angle, and making good pre-processing and calibration system. We found some limitations and restrictions such as precise atmospheric correction, sample count of water quality measurement, retrieve spectral bands into A-HSI, adequate linear regression model selection, and quantitative calibration/validation metho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test adopted general method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waterfront activity index through complex monitoring in waterfront (하천 친수공간 복합모니터링을 통한 친수활동 종합지수 개발 연구)

  • Jung, Woo Suk;Gwon, Si Yun;Lee, Su Jeong;Kwon, Jae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90-490
    • /
    • 2022
  • 국내 대하천 및 중·소규모 하천의 홍수터 공간을 활용하여 체육시설 및 공원 등과 같은 친수 시설물을 조성하여 친수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시민들의 친수활동 빈도는 증가추세에 있다. 특히 하천 내에서 수상 레크레이션 활동 등과 같은 다양한 친수활동이 증가하고 있으며, 하천친수에 관한 정보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체계적인 공급은 미흡한 수준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친수공간 조성 및 유지관리에 대한 측면과 친수공간에서의 쾌적한 친수활동을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하천 친수공간에서의 복합모니터링을 이용한 친수활동 종합지수를 산정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센서 기반의 시계열 데이터 구축을 위해 하천 수질, 수리인자의 복합모니터링을 진행하였다. 수리인자(수위, 유속, 수면폭 등)와 수질인자(탁도, Chl-a, pH 등), 기상학적 인자(자외선 지수, 미세먼지 등) 등급에 따른 허용기준을 설정하여 각 등급 별로 수리인자의 값을 0~1 사이 값인 소속도로 변환하여 소속도의 합성 및 친수활동 등급을 결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수리, 수질, 기상 인자별 소속도 함수 산정을 통한 퍼지합성 이론 기반의 친수활동 종합지수를 산정하였다. 그리고 친수활동 종합지수를 예보하기 위한 모델 적용을 위한 방향성을 정립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 Remote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for Sewage and Waste Water (원격 오\ulcorner폐수 처리 감시 장치 및 통합 환경 관리 시스템 개발)

  • 김우완;장상동;박정환;장은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c
    • /
    • pp.397-399
    • /
    • 2004
  • 환경에 대한 관심이 매년 증가하는 가운데, 수질 관리를 필요로 하는 소규모 사업장에서는 보다 현실적인 환경감시 시스템을 필요로 하고 있다. 그래서 감시 시스템에 대한 새로운 모델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기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보다 간단하면서 유연성이 뛰어난 통신 프로토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구현한 통합 환경 관리 소프트웨어는 일반 PC를 기반으로 하고, 윈도우 GUI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센서 시스템과 실시간 데이터 통신을 통해, 특정 지역에 대한 수질 오염 여부 및 진행 상황을 보다 신속하게 제공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