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질 변동

Search Result 559,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Statistical Analysis of Water Quality in the Downstream of the Han River (한강하류부 수질의 통계학적 해석)

  • 백경원;정용태;한건연;송재우
    • Water for future
    • /
    • v.29 no.2
    • /
    • pp.179-190
    • /
    • 1996
  •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the downstream of the Han River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techniques. Basic characteristics, areal and temporal variations, and correlations of water quality data were investigated. Monthly water quality data have been investigated systematically by exploring data analysis, including time series plot, summary statistics, distribution test, time dependence test, seasonality test and flow relatedness test. Results show that water quality data in this river have seasonality. And applicability of stochastic models such as Thomas-Fiering model and ARMA(1,1) model was identified. From the examination of water quality data related to discharge, it was found that DO and SS are sensitive to water temperature rather than discharge, while BOD and COD are sensitive to discharge at dry seasons. Seasonal periodicities were identified in all water quality variables from the cross correlation analysis.

  • PDF

Comparison of Steady and Unsteady Water Quality Model (정상 및 비정상상태 하천수질모형의 비교)

  • Ko, Ick-Hwan;Noh, Joon-Woo;Kim, Young-D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8 no.6 s.155
    • /
    • pp.505-515
    • /
    • 2005
  • Two representative river water quality models have been compared in this paper. The steady water quality model, QUAL2E, and the unsteady model, CE-QUAL-RIV1, have been chosen for comparative simulations. Under same reaction coefficients and boundary conditions, the water quality of the Geum river below the Daechung dam has been simulated using two different models, and the water quality equations are compared each other. Since basic model algorithm is very close, the input data required for model run is very similar. Upon the simulation under steady condition, the results of two models show very good agreement especially for BOD, DO, and $NH_3-N$, while the results of specific constituent such as dissolved P is quite different. As a result, dominant water quality parameters to compute each corresponding water quality variables are summarized and tablized through the sensitivity analysis.

기다센쮸 터미널의 중수도 시스템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32
    • /
    • pp.115-120
    • /
    • 1993
  • 기다센쮸 터미널에는 한외 여과와 활성오니 반응조로 구성된 막형 바이오리액터 방식의 중수도 시스템이 가동중인데, 주방배수를 주체로 한 빌딩배수를 재생하여 이용하고 있다. 막형 바이오리액터를 이용하면 프로세스는 단순화되며 설비도 매우 소형화된다. 또한 부하변동에의 대응성, 양호한 처리수질, 경제성 등 우수한 특징을 갖고 있다. 본고에서는 막형 바이오리액터의 특성을 확실히 하고 기다센쮸 터미널에 설치한 중수도 시스템의 실시 예를 소개한다.

  • PDF

Water Quality Similarity Evaluation in Geum River Using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Data (물환경측정망 자료를 활용한 금강수계 수질 유사도 평가)

  • Kim, Jeehyun;Chae, Minhee;Yoon, Johee;Seok, Kwangseol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0 no.2
    • /
    • pp.75-88
    • /
    • 2021
  • Six locations in the automated monitoring network at the Geum River Basin were selected forthis study. The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t two of the locations in the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that were identical, or nearby, were examined, and their correlations were evaluat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water quality analysis were converted to the water quality index and expressed in grades for comparison. For the data necessary for the study, public data from four years, from 2016-2019 were used and the evaluation parameters were water temperature, pH, EC, DO, TOC, TN, and TP.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water quality concentrations measured in the automated monitoring network and the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differed in some measured values, but they tended to register variation in a specified ratio in most of the locations in the network.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s of the parameters between the two monitoring networks found that water temperature, EC, and DO showed high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monitoring networks. The TOC, TN, and TP showed high correlations, with a 0.7 or higher (correlation coefficient r), with the exception of some of the monitoring networks, although their correlation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basic parameters. The water quality index analysis showed that the water quality index values of the automated monitoring network and the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were similar. The water quality index decreased and the pollution degree increased in the downstream direction, in both networks.

Simulation of Long-term River Bed Variation on the Medium and Small Scale Reservoir (중.소규모 저류시설의 장기간 하상변동 모의)

  • Park, Young-Jin;Park, Yong-Soo;Lee, Jin-Eun;Kim, Sang-U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88-592
    • /
    • 2012
  • 저수지에서 퇴사가 저수지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저수용량의 감소로 인한 용수공급량 저하, 상류하천 수위 상승에 따른 홍수소통능력 감소로 인한 배수위 상승, 퇴적토의 용출에 의한 부영양화 촉진 및 중금속 퇴적 등의 수질변화, 퇴사로 인한 어류서식처 환경의 변화 등이 있다. 또한, 저수지로 유입되는 유사에 대한 정확한 예측은 댐의 계획 및 운영과 관련된 저수지 퇴사관계를 이해하는데 필수 요소이다. 즉, 저수지 퇴사에 관한 예측 자료는 댐 설계시에 장래 50년 및 100년 후의 저수위-저수용량 관계곡선을 결정하고, 댐의 사수위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기본자료이며, 또한 댐 건설후의 저수지내로 유입되는 유사의 공간적 퇴적분포를 예측하고, 기능별 저수지 용량배분, 본체 및 취수구 등 각종 수리구조물의 안정, 저수지 상류 퇴사로 인한 홍수위의 상승 등 저수지 제 기능의 적정 관리를 계획하는데 필요한 기본자료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 내에서의 2차원적 하상변동을 해석하기 위한 퇴사 모델링 방법으로 2차원 정상 및 동수역학적인 유사이송과 하상변동을 모의할 수 있으며, 침식과 포착 및 이송 그리고 퇴적의 각 단계에 따라 세부모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RMA2와 SMS 프로그램과 상호 연계가 자유로운 SED-2D 모형을 이용하여 댐 축조로 인한 저수지내의 퇴사거동을 모의한 후 하상변동을 분석하였다.

  • PDF

Water Quality Variations in Jinhae Bay by Dredging & Operating the Sewage Disposal Plant (마산만 준설사업 및 하수처리장 가동에 따른 진해만의 수질변동)

  • YOON SUK-JIN;LEE I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Committee for Ocean Resources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117-122
    • /
    • 2004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s among water quality parameters, which based on 6 years' data(from 1989 to 1994) measured at 16 stations on Jinhae Bay. The results of these analysis, monthly variations range between surface and bottom layer of water quality had a tendency to increase and decrease, and appeared to be at the maximum value in August. The relationships between concentration of COD ana nutrients(DIN and DIP), which obtained by correlation analysis of water quality, were shown $85\%$ and $74\%$, respectively. Using the cluster analysis to develop the division of the sea basin by the dendrogram, before and after dredging of Masan bay and operating a sewage disposal plant, the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of Jinhae Bay were discussed. Through it, we can see the serious pollution of northen sea basin of Jinhae Bay(B2) although dredging Masan bay and operating the sewage disposal plant. As the results, it doesn't appear the improvement effect of water quality in spite of carrying out the effort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 PDF

가막만 소호해역에서 태풍 전후 수질 변동특성

  • Lee, Ye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294-297
    • /
    • 2007
  • 유기유기물 증가원인의 파악과 근본적인 대책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부영양화된 연안해역에 대하여 태풍 발생 전후의 수질변동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용존산소 포화도는 수온과 염분 약층이 형성된 시기에 저층에서 54% 이하로 관측되었다. 태풍이 지나간 직후에는 표층과 저층에서 거의 비슷한 용존산소 포화도$(78{\sim}88%)$가 조사되었다. 그리고, 태풍이 지나간 3일 후 식물플랑크톤이 대량으로 증식한 표층에서 용존산소 포화도가 234%로 아주 높은 값이 관측되었고, 저층(5m)에서도 90%가 조사되어, 태풍과 식물플랑크톤의 이상 증식이 저층의 용존산소 포화도를 높이는 작용을 한 것으로 보인다. 2) 염분이 가장 낮았던 시기에 표층에서 $NA_4-N$, $NO_3-N$, $SiO_2-Si$의 농도가 각각 18.22, 38.90, 52.10uM로 아주 높게 조사되었으며, $NH4-N$, $PO_4-P$, $SiO_2-Si$는 용존산소가 낮은 저층에서도 높게 나타났다. 3) 클로로필은 최고 $311.0{\mu}g/L$가 태풍 후에 관측되었으며, 그 원인 생물은 Scrippsiella trochoidea (42,000cells/mL)였다. 조류성장잠재능력은 태풍발생 후에 아주 높게 조사되었으며, 항상 질소가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4) 화학적 산소요구량은 최고 10.55 mg/L였으며, 태풍으로 저층 퇴적물로부터 부유되는 유기 오탁 물질이 화학적 산소요구량 증가에 미치는 기여도는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화학적 산소요구량 증가의 대부분이 식물플랑크톤의 증식에 기인한 것($r^2=0.612$, p<0.0001)으로 조사되었다.

  • PDF

The structure of the plankton community and the cyanobacterial bloom during the rainy season in mesoeutrophic lake (Lake Juam), Korea

  • Kim, Baik-Ho;Hwang, Su-Ok
    •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Sanitary engineering
    • /
    • v.19 no.2
    • /
    • pp.51-59
    • /
    • 2004
  • 강우가 집중하고 남조류가 대발생하던 시기의 중영양호소인 주암호에서 박테리아, 식물플랑크톤, ANF, HNF, 섬모충플랑크톤, 동물플랑크톤과 환경요인들의 변화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기간동안 우점종은 Cyclotella meneghinana, Aulacoseira granulata, Cryptomonas tetrapyrenoidsa로서 총현존량의 67% 이상을 차지하였다. 조사기간동안 남조류 대발생의 구성원은 현존량 및 종조성에서 크게 변화 하였다. 여름철 강우에 의한 엽록소 a, 수질 (COD, TP)의 변동이 심하였으며, 특히 C. tetrapyrenoidsa는 HNF, nauplii, rotifer, 섬모충의 변동에 매우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포식자인 rotifer는 박테리아, 피코플랑크톤이나 ANF같은 소형플랑크톤의 변동과 높은 관계를 보였다.

광양만에서 적조원인생물의 생태학적 특성

  • 최만영;이충일;곽영세;김대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400-401
    • /
    • 2000
  • 국내에서 적조연구는 국립수산진흥원에서 남해를 비롯 우리나라 연안의 모니터링과 한양대학교 연구팀의 마산만에 관한 연구가 초기부터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적조 연구는 주로 적조원인 플랑크톤의 발생규모, 계절적 변동과 그 때 수질환경을 조사하였고 대체로 군집 수준에서 다루어졌다 (박과 김, 1967; 유와 이, 1976; Yoo and Lee, 1979; 박, 1982). 우리나라의 적조 연구는 주로 마산-진해만애서 이루어져 왔다. 마산만과 진해만을 비롯 행암만, 덕동만, 진동만, 칠천수로 등이 그 대상지가 되었으며 이 지역에서는 그동안 상당한 자료가 축적되어 왔다. 하지만 본 연구 대상지역인 광양만에서 적조연구에 관한 자료가 미흡하여 본 연구는 기존의 적조생물의 군집 수준의 연구와 유사하다. 개체군의 변동을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었고 광양제철소를 중심으로 하여 남해 일대에 걸쳐 모니터링을 하고 수환경의 특성과 개체군 변동을 동시에 조사함으로서 제철소 건립 후 광양만에서 적조 발생의 최근적조 양상을 분석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