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질안전

검색결과 366건 처리시간 0.032초

해외리포트 - 물의 안전과 광기술

  • 한국광학기기협회
    • 광학세계
    • /
    • 통권138호
    • /
    • pp.44-49
    • /
    • 2012
  • 화학적 순도와 음용(飮用) 적부(適否)의 평가방법은 기술적으로 확립되어 있지만, 지구규모의 광역의 물 안전성을 문제로 할 때, 생물환경에서 본 안전성 평가를 빠트릴 수 없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에 육박할 수 있는 수질평가법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특히 광의 첨단기술은 이와 같은 분야에까지 침투하고, 그것을 가능으로 한다. 즉 "지금 광기술은 물의 안전평가에 어떻게 공헌할 수 있는지"라는 관점에서 논하고 있다. 본고는 홋카이도공업대학 창생공학부 정보 Frontier공학과 광파이버응용기술연구실 사사키 이세이 교수가 월간 광기술컨텍트 2011년 11월호에 기고한 그린광학의 유정훈 팀장이 번역에 도움을 주었다.

  • PDF

한국의 상황과 비교한 네팔의 수질 관련 현재의 문제 및 향후 과제 (Current Issues and Challenges Related to Water Quality of Nepal in Comparison with Korean Situation)

  • 프러티바 반다리;김동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8
    • /
    • 2011
  • 네팔의 천연 수자원은 풍부한 편이나 모든 인구가 안전하고 깨끗한 식수를 공급받고 있지는 못한 상황이다. 또한, 폐수 처리에 대한 상황 역시 매우 열악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최근, 도시로의 인구 유입이 증가함에 따라 안전한 물의 공급 및 공중 위생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나, 수인성 질환의 발병률은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네팔의 수질 오염, 식수에서의 비소 오염, 폐수 처리, 그리고 대중의 건강에 대한 수질 오염의 영향 등에 대해 검토하였다. 또한, 폐수 처리와 연관된 규제와 관련하여 한국의 상황과 비교하여 양국의 상황을 비교 고찰하였다. 이러한 내용들에 의거하여 대중의 건강 증진을 위한 현존 문제점들의 해결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담수유입으로 인한 아산만 해양수질의 계절적인 변동 (Seasonal Variations in Seawater Quality Due to Freshwater Discharge in Asan Bay)

  • 정용훈;조민균;이동기;두선민;최현수;양재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54-467
    • /
    • 2016
  • 아산만의 해양수질의 계절적인 변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2011년 12월부터 2013년 2월까지 4계절 동안 수질을 관찰하고, 담수유입으로 인한 해양수질 변화 관계를 통계적인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아산만의 해양수질 자료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는 해양수질 변화를 주도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담수유입(37.7 %)이며, 그 다음으로는 외해수의 영향(24.4 %)으로 나타났다. 아산만에서 담수의 주요 공급원은 만의 가장 안쪽에 위치한 아산호와 삽교호이며, 이들의 방류로 인해 아산만의 전체적인 수질의 공간 분포가 결정되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담수 방류가 적은 겨울철에는 저층 재부유에 기인한 영향이 상대적으로 중요해진다. 전체적으로 담수 방류량의 계절적인 변화가 아산만 전체의 환경변화를 주도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DIP가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을 제한하는 요소로 나타났다.

팔당댐 유역의 데이터 기반 수질 예측 모형 구성을 위한 사전 불확실성 분석 (Preliminary Uncertainty Analysis to Build a Data-Driven Prediction Model for Water Quality in Paldang Dam)

  • 이은정;금호준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9권1호
    • /
    • pp.24-35
    • /
    • 2022
  • 수질분야에서 물재해 안정성 강화를 위해 과거와 현재의 수질을 분석하여 예측하는 기술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하는 것이 필요하며 데이터 기반의 예측 모형이 하나의 대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데이터 기반 모형은 복잡하고 광범위한 자료의 양을 기반으로 구축되기 때문에 보다 신뢰도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입력자료의 조합을 위한 상관관계 분석방법의 적용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데이터 기반의 수질 예측 모형을 구성하기 위한 선행단계로 Gamma Test를 적용하였다. 먼저 팔당댐의 다양한 수문조건에 따른 해당 유역의 복잡성과 정밀성이 재현된 과거와 현재의 일단위 수질을 최대한 확보하고자 물리적 기반 모형 (HSPF, EFDC)을 구동하였다. 팔당댐 수질예측지점과 팔당댐으로 유입되는 주요 하천의 수질을 대상으로 Gamma Test를 수행한 후 해석결과 (Gamma, Gradient, Standar Error, V-Ratio)를 통해 최적의 자료조합을 선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데이터 기반 모형 구축 시 반복적인 수행과정을 생략하여 시간을 단축하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최적의 입력자료를 선정할 수 있는 정량적인 기준을 보여준다.

한국형 부영양화지수에 의한 영산강의 부영양화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Eutrophication of Yeongsan River by using the Korea Trophic State Index(TSIKO))

  • 박성천;오창열;김종오;이우범;박수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533-537
    • /
    • 2017
  • 우리나라는 2012년에 4대강 사업을 통하여 수자원확보를 통한 가뭄대응전략으로 16개의 대형보가 건설되었고 영산강에는 승촌보와 죽산보 2개의 보가 건설되었다. 보의 건설로 흐름은 급격히 감소하여 정체구역의 수역이 확장되면서 여름에서 초가을까지 녹조현상은 매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 국민들은 안전한 농산물의 안정적인 생산에 요구가 점증함에 따라 농업용수질 오염문제가 범국가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그 중요도 및 심각성이 점차 커져가고 있다(한강유역환경청, 2007). 많은 량의 물을 농업용수로 사용하고 있는 영산강의 녹조현상 및 수질개선이 절실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의 승촌보와 죽산보의 건설과 수질오염총량관리제의 시행에 따른 부영양화특성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2006)에서 개발한 한국형 부영양화지수(TSIko) 평가법을 이용하여 영산강유역의 12개 주요지점에 대하여 수집한 자료를 봄(3월~5월), 여름(6월~8월), 가을(9월~11월), 겨울(12월~2월)로 분리하고, 다시 4대강 사업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2013년을 전후하여 분리하였으며, 계절별 수질인자 COD, T-P, Chl-a 값을 이용하여 계절별 $TSI_{Ko}$를 산정하여 영양상태를 4개의 등급으로 구분하여 부영양화특성을 파악하였다.

  • PDF

LSTM을 이용한 상수관망 내 실시간 유량 및 수질 데이터 예측 (Estimation of real-time data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using LSTM)

  • 조은영;최선홍;장동우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463-463
    • /
    • 2023
  • 국내 수도관 보급률이 증가하면서 기존 노후화된 수도관들과 추가로 노후화된 수도관들이 증가하고 있다. 경과년수가 오래된 시설이 증가하는 것은 잠재적인 사고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 실제 노후화된 상수도 시설물로 인해 단수, 누수, 수질오염, 지반함몰 발생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현상들은 시민들의 생활과 안전, 경제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AI를 기반으로 상수도관의 노후도 및 위험도를 예측하는 모델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대상지역을 인천광역시 서구로 선정하여 유량과 수질의 실시간 계측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딥러닝 기법 중 하나인 LSTM(Long Short-Term Memory)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예측하였고, 결정계수(R2)와 RMSE(Root Mean Square Error)로 학습데이터와 검증데이터의 비율을 정하여 예측도를 평가하였다. 유량과 수질 데이터 중 80%는 학습데이터로 20%는 검증 데이터로 분리하였고, LSTM의 셀과레이어 수를 해석에 적합한 범위로 설정한 결과, 실제값과 예측값이 높은 상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측된 유량 및 수질의 결과는 상수도 관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사고 위험도 평가와 관 노후화에 따른 대응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업체탐방 - 정수 10년의 노하우, 광원수기로 축산물 생산성 향상에 도전한다! - 깐깐한 물, 닭도 마실 권리 제공 -

  • 장성영
    • 월간양계
    • /
    • 제41권10호
    • /
    • pp.130-133
    • /
    • 2009
  • 양계를 하는 사람에게 질병 없는 안전한 축산물 생산을 위한 필수요건을 꼽으라면 수질을 빼놓지 않을 것이다. 적절한 양과 좋은 수질은 사료섭취량 증가로 인해 증체율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양계 음수관리는 곧 생산성과 직결되는 부분이다. 최근 축산농장에서 정수 연수기계를 설치해 깨끗한 음수 공급으로 생산성 향상에 도전하면서 정수업체들도 과학적인 정수 시스템 개발에 나서고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정수기능을 넘어서 3단계 처리방식시스템으로 1일 최대 정수량 50~70톤의 기능수를 대량 생산하는 축산 전용 정수시스템 '청무원(주)'를 찾아 제품의 특징과 함께 이 제품을 설비한 농장을 방문해 그 효과에 대해 직접 들어보았다.

  • PDF

수질계측센서의 성능분석 및 센서 융합기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analysis and merging techniques of sensors in water quality measurement)

  • 양근호;유병국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43-148
    • /
    • 2006
  • 정수장에서 생산한 수돗물이 수용가까지 안전하게 공급하기 위해서는 관내 및 배수지 등의 공급과정에서 철저한 수질관 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배수지의 수질관리 및 모니터링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최근 정부는 먹는 물에 대한 수질관리기준을 강화하고 있으나, 먹는 물에 대한 수질측정 기반기술은 미국, 일본, 독일 등에 비하여 매우 빈약하다. 특히 수질 검사 및 분석기기의 핵심은 센서이나 이들 센서에 대한 기술이 매우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먹는 물 수질관리에 대한 관계 법령 및 규정을 분석하고, 먹는 물 수질측정 기준에 적합한 pH, 전도도, 잔류염소, 탁도 및 수온에 대한 센서 및 측정기기의 최적 성능기준을 제안하고, 대표적인 전극센서인 pH, 전도도 및 잔류염소 센서의 상호간섭 및 영향을 분석한다.

  • PDF

AI기반 스마트 수질환경관리 서비스 플랫폼 개발 (AI-based smart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service platform development)

  • 김남호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1권9호
    • /
    • pp.56-63
    • /
    • 2022
  • 최근 기후변화에 의한 수온상승, 과다한 영양염류의 유입 및 하천환경의 변화로 인한 주요하천 및 호소에 대한 조류발생 빈도 및 범위가 증가하고 있다. 이상조류에는 녹조와 적조가 있다. 녹조현상은 물속의 클로로필(Chl-a) 등의 남조류가 과다 성장하여 물의 색이 짙은 녹색으로 변하는 현상으로, 미량의 냄새물질과 독소를 생성하여 수질악화와 식수안전에 대한 우려가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생활주변 환경의 생태하천과 호소에서 측정된 수질정보를 원격지에서 1:1 실시간모니터링 및 제어하기 위하여 디지털트윈의 3D 가상세계를 구축하고, 사물인터넷(IOT) 센서기반의 수질정보 센서측정기를 개발하며, AI의 머신러닝 기반 수집데이터 분석을 토대로 녹조 등 수질오염의 발생원인과 확산패턴을 예측하여 조류경보와 수질예보를 할 수 있는 스마트 수질환경 서비스 플랫폼 구축을 제안하고자 한다.

낙동강 하류 지역간 물갈등 해결을 위한 인공습지 개발 연구 (Study on development of constructed wetland for resolve water dispute the region in downstream of Nakdong river)

  • 오준오;전상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469-469
    • /
    • 2021
  • 낙동강을 취수원으로 사용하고 있는 국민들은 과거부터 꾸준히 발생해온 수질사고로 인하여 낙동강 수질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 이에 낙동강 본류를 취수원으로 이용하고 있는 중·하류 지방자치단체들은 낙동강 유역 내 댐이나 상류로의 취수원 이전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들은 지역·지방간의 갈등이 유발되었으며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부산광역시의 취수원 이전 문제이다. 부산광역시는 낙동강 본류 수질 악화와 녹조발생으로 인한 원수에 대한 시민들의 불신, 수질 악화로 인한 정수비용 증가 등의 문제를 제기하였고 이를 해결하고자 남강 상류 또는 낙동강 지류로 취수원 이전하여 시민들에게 상수 공급하기를 원하고 있다. 하지만 타 지방자치단체와의 이해, 경제성 등의 문제로 마찰을 빚고 있다. 지역간의 갈등을 최소화하면서 적정 수량 확보가 가능한 대체 수자원 확보를 위해 강변여과수, 지하수저류지, 인공함양, 인공습지, 해수담수화 같은 방법들이 논의 되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중·하류에 인공습지 적용이 가능한 지점들을 선정하고 목표 유량 및 수질 확보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기 연구된 경남, 부산권 광역상수도 사업 타당성 조사(2011, 국토교통부)에 의하면 낙동강 하류지역에 안전한 상수원 확보를 위한 원수 대체 필요량은 전체 약 1,330,000 m3/day 이다. 이를 확보하기 위해 강정고령보 상류 ~ 창녕함안보 하류구간 내 21개의 인공습지 후보지를 선정하고 유량확보 가능량, 수질, 오염부하량, 조류, 공간확보 항목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21개 후보지에 대해 유량확보, 수질, 조류 항목에 대한 평가 결과 큰 차이가 없었지만 오염부하량과 공간확보 항목에 대한 평가 결과가 인공습지 후보지 선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향후 낙동강 중·하류에 인공습지를 활용한 취수원 개발을 위해서는 낙동강 본류와 지류에 대한 정확한 수질 조사와 인공습지 후보지에 대한 면적조사, 경제성 평가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