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질모델링

Search Result 29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ssessment of Socio-hydrological Impact of the Instream Flow Judgment Criteria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하천유지유량 결정기준에 따른 사회-수문학적 영향평가)

  • Yoo, Jiyoung;Kim, Ta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3
    • /
    • 2020
  • 사회-수문시스템의 인과관계에 대한 보다 상세한 통찰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사회-수문시스템의 기능을 이해하고 미래의 사회-수문시스템의 변화 궤적을 예상할 수 있는 모형이 필요하다. 사회-수문학적 관점에서는 수문순환 현상과 더불어 인간 활동과 관련된 인구, 토지이용, 경제성, 환경변화로 연계되는 사회-수문시스템 내 복잡한 관계해석 과정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유지유량 결정기준에 따른 사회-수문시스템의 변화과정을 이해하고 가능한 영향궤적을 평가하기 위해 사회수문학적 관점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하천유량고시지점 114개 중 각 항목별 고시지점의 비율은 수질(33%), 평균갈수량(33%), 생태(29%), 경관(4%), 수질 및 염해(1%)로 나타났다(2019년 고시 현황). 따라서 사회-수문시스템 내에서 하천유지유량 결정기준 차이에 따라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측면으로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모델링 한 후, 모형 내 잠재요인(기상, 수문, 환경, 사회·경제)의 상호연관성을 파악하였다. 기상학적 요소로는 기온, 강수량을 선정하였으며, 인간의 활동이 개입된 수문학적 요소는 유량, 하천수이용량으로 선정하였다. 환경적 요소는 BOD, COD, SS를 선정하였으며, 사회·경제적 요소는 인구, 지가변동률을 고려하였다. 이와 같은 사회-수문시스템 내 잠재요인별 요소를 바탕으로 사회-수문학적 영향평가를 위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통계 프로그램 AMOS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모델링하였다. 향후 사회-수문학 관점에서의 복잡한 영향관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의 합의를 도출하는 데 있어서 효율적인 의사결정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Development of Qual2E Interface System Coupled with HyGIS (HyGIS와 Qual2E의 연계 시스템 개발)

  • Park, In-Hyeok;Kim, Kyung-Tak;Ha, Seong-Ry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4 no.2
    • /
    • pp.96-108
    • /
    • 2011
  • Going abreast of high public concerns on the environment, the need of environmental modeling has been increased to assess the impact of space exploitation of environment. GIS offers potential solutions to the many problems encountered during water-quality modeling. But there are also many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modeling. The preparation of necessary parameters for the modeling can be complicated. Also, the results from one model can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even the same area is analyzed. This paper aims to develop the data processing system to couple the Qual2E and HyGIS in which Qual2E input and output data files can be created, modified and processed using HyGIS and assess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A structural analysis and standardization of modeling are conducted to identify data flow and processing of Qual2E. Algorithms of the defined processors are designed and developed as component modules. The data model of HyGIS-Qual2E is designed, and GUI(Graphical User Interface) is developed using Visual Basic 6.0 and GDK.

Ident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Quantity and Water Quality (Salinity)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섬진강하구 수치 모델링을 이용한 수량·수질(염분) 관계 규명)

  • Jung, Chung Gil;Kwon, Min Seong;Park, Sung Sik;Bang, Jae Won;Choi, Kyu Hyun;Kim, Kyu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78-478
    • /
    • 2022
  • 섬진강은 하굿둑이 없는 열린 하구로서 하구로부터 약 21km까지 조석의 영향을 받아 강물의 염도가 시간에 따라 변하는 환경이다. 오랫동안 섬진강 하구는 다양한 원인으로부터 바다화로 대표되는 염하구 문제가 지역 현안 사항으로 제기되어 왔다. 상류에서의 용수사용 증가로 인한 하천 유하량 감소 또한 그 원인들 중 하나로 판단됨에 따라 실제 하구까지 내려오는 하천유량과 바다로부터 유입되는 해수를 구분하여 정량화하는 연구가 필요한 사안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섬진강 수계 하구에서의 다양한 생태환경을 보전하기 위한 적정 염분유지가 요구됨에 따라 섬진강하구 염분계측기(섬진강대교)를 설치하여 염분농도를 관측하고 하천유량, 하천취수 및 해양조위에 따른 염분농도 변화를 모의하여 하천유량과 염분과의 관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EFDC(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수치모델을 이용하여 상류로는 구례군(송정리) 수위관측소부터 하류로는 여수해만 및 문의리까지의 구역을 설정하고 광양조위, 하동수위 및 고정식 염분 계측기 관측염분농도 자료를 이용하여 수치모델링의 재현성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결정계수(R2)는 0.87(하동수위), 0.93(광양조위), 0.56(섬진강대교 염도)를 나타냈다. 모델 검보정 후 하천유량에 따른 염분변화 실험을 실시하여 염분농도 거동을 분석하였다. 모델 결과, 섬진강하구에서의 염분거동은 소조기때 염분체류 현상으로 인해 대조기 거동과는 큰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모델링 결과를 이용한 유량-염분 조견표는 각각 대조기와 소조기로 구분하여 산정하였다. 대조기때는 송정유량이 10톤/초의 평균갈수량이 흐를 경우 다압에서의 취수량이 2.52톤/초 ~ 4.63/초로 증가할수록 18.8psu ~ 19.9psu로 증가하였다. 소조기의 경우는 25.5psu ~ 25.7psu로 대조기와 비교하여 크게 증가됨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객관적인 생태환경 보전을 위한 적정염분농도 범위가 도출된다면 이를 유지하기 위한 필요유량과 필요유량을 확보하기 위한 장단기적인 대책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cosystem Modelling for Improvement Summer Water Quality of Jinhae Bay in 2003 (2003년 하계 진해만 수질 개선을 위한 생태계 모델링)

  • Hong, Sok-Jin;Lee, Won-Chan;Jung, Rea-Hong;Oh, Hyun-Tek;Jang, Ju-Hyung;Goo, Jun-Ho;Kim, Dong-M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3 no.2 s.29
    • /
    • pp.103-110
    • /
    • 2007
  • This study estirmted the appropriate pollutant load reduction from point sources in Jinhae Bay, Korea, using an eco system model. The results of COD values in the inner part of the bay obtained through the simulation by ecosystem model were greater than 3.0mg/L, and exceeded the limits of Korean Coastal Water Quality Grade III. Engineering countermeasures to reduce the $70\sim90%$ of all land based pollution load or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 loads from point sources by more than 50% were required to keep the COD levels below 2 mg/L. The reduction loads is 5,632kg/day of COD, 481kg/day of DIP and 7,991 kg/day of DIN in case of the reduction of both the organic and nutrients. The estimated environmental currying capacity of that case is 13,112kg/day of COD, 206kg/day of DIP and 3,425kg/day of DIN to keep the COD levels below 2mg/L.

  • PDF

WQI Class Prediction of Sihwa Lake Using Machine Learning-Based Models (기계학습 기반 모델을 활용한 시화호의 수질평가지수 등급 예측)

  • KIM, SOO BIN;LEE, JAE SEONG;KIM, KYUNG TAE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27 no.2
    • /
    • pp.71-86
    • /
    • 2022
  • The water quality index (WQI) has been widely used to evaluate marine water quality. The WQI in Korea is categorized into five classes by marine environmental standards. But, the WQI calculation on huge datasets is a very complex and time-consuming process. In this regard, the current study proposed machine learning (ML) based models to predict WQI class by using water quality datasets. Sihwa Lake, one of specially-managed coastal zone, was selected as a modeling site. In this study, adaptive boosting (AdaBoost) and tree-based pipeline optimization (TPOT) algorithms were used to train models and each model performance was evaluated by metrics (accuracy, precision, F1, and Log loss) on classification. Before training, the feature importance and sensitivity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best input combination for each algorithm. The results proved that the bottom dissolved oxygen (DOBot)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affecting model performance. Conversely, surface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NSur) and 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 (DIPSur) had weaker effects on the prediction of WQI class. In addition, the performance varied over features including stations, seasons, and WQI classes by comparing spatio-temporal and class sensitivities of each best model. In conclusion, the modeling results showed that the TPOT algorithm has better performance rather than the AdaBoost algorithm without considering feature selection. Moreover, the WQI class for unknown water quality datasets could be surely predicted using the TPOT model trained with satisfactory training datasets.

Numerical Modeling of Turbidity Current during Extreme Flood Event in Soyang Reservoir (소양호 극한 홍수 사상에 대한 탁수 수치 모의)

  • Lee, A.-Ram;Chung, Se-Woong;Ryu, In-Gu;Jeong, He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658-1662
    • /
    • 2009
  • 최근 들어 기후 변화로 인한 이상 강우 현상과 기록적인 집중 강우로 탁수 발생의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고, 탁수의 장기간 하류 방류로 인해 경제적인 피해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환경적으로도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저수지로 유입된 탁수의 시공간적 분포 예측 결과의 신뢰도는 탁수 밀도류 해석의 정확도에 가장 큰 영향을 받으므로 유입 하천수의 밀도 거동에 대한 정확한 해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탁수의 거동해석은 수리 및 수질의 연동 모의(Coupled modeling)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리 및 수질의 연동 해석이 가능한 2차원 횡 방향 평균 모형(CE-QUAL-W2)을 소양호에 구축하고, 기록적인 강우 사상을 보인 2006년 수문조건에서의 모형의 적용성과 한계점을 평가하는데 있다. 구축한 소양호 탁수 예측 모델을 2006년 탁수사상에 적용한 결과, 홍수 사상으로 이중 첨두 유량이 발생한 후 저수지 내에서 중층 밀도류와 바닥밀도류의 두 가지 밀도류 형태가 혼재하여 진행되는 현상이 적절히 모의되었다. 하지만, 저수지내에서 측정한 탁수 수괴(plume)의 시공간적 수직분포(profiles)는 모의결과와 다소 편차를 보였으며, 특히 저수지 바닥 인근에서 모델은 실측값을 과대평가 하였다. 오차의 원인은 모델 입력 자료의 불확실성과 수치모델의 불확실성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탁수 거동 모델링과정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고 모의결과의 신뢰도를 개선하기 위해서 극한탁수 사상에서 발생하는 수리학적 현상과 SS 입자 동력학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입력 자료의 정확한 산정을 위한 현장 실험이 필요하다.

  • PDF

Analysis of Hydrodynamics Flow Using EFDC Model in Jangheung Lake (EFDC 모델을 이용한 장흥호 유동 해석)

  • Park, Sung-Chun;Roh, Kyong-Bum;Jin, Young-Hoon;Park, D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033-2037
    • /
    • 2009
  • 호소내의 흐름은 중력의 영향을 받는 하천의 흐름과는 달리 열수지에 의한 밀도류 및 바람 등에 영향을 크게 받아 특유의 유동특성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EFDC(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미국 버지니아 해양연구소 개발) 모델을 이용하여 호소 내 수치모의를 실시하였다. 복잡한 지형을 형성하고 있는 호수 내의 유동특성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흐름특성을 고려한 grid작성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3000, 1:5000 축척의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장흥호의 하상단면 값을 추정하였으며, GIS를 이용하여 (${\Delta}x$, ${\Delta}y$)=100m로 DEM을 생성하였다. 그리고 구성된 DEM값을 이용하여 정밀도가 높은 최종 Cartesian grid(active cell=706)를 구축하였다. EFDC를 이용한 장흥호의 수치모의 결과 호수내의 흐름은 수면을 통한 열 교환에 의한 수온 밀도류를 형성하고 있으며, 수온성층의 형성과 파괴가 호수 흐름을 형성하는 큰 인자로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호에 유입되는 하천부분에서는 유입되는 수온에 따라 흐름특성이 변하며, 유입수온에 따라 호수 내 관입위치가 변하여 표면흐름, 내부흐름, 저부흐름 등의 흐름특성을 보인다 이상과 같이, 호수내의 흐름특성을 열수지, 외력에 의해서 크게 변동하며 해석대상역의 지역특성을 반영한 수리현상의 정확한 재현 없이는, 이 유동해석결과를 입력치로 하는 수질모델링 결과는 신뢰도에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킨다고 할 수 있다.

  • PDF

An Integrate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Model using FEMWASP and ArcView (FEMWASP 모형 및 ArcView를 결합한 통합적 환경영향평가 모형의 개발 및 적용)

  • Kim, Joon Hyun;Han, Young-Han;Choi, Yoon-Jung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7 no.2
    • /
    • pp.65-70
    • /
    • 1998
  • An integrated EIA tool was developed to analyze present and future environmental quality status of Youngwol Basin using ArcView and FEMWASP. All the input data and computational results were prepared and graphically displayed on the basis of ArcView. FEMWASP and ArcView were integrated using the command "system.execute" in script of Avenue. Modeling items were inserted in the GUI of ArcView. The modeling result showed that the water quality of the proposed Yougwol Lake would be at the stage of eutrophication. The developed system can be applied to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of drinking water resources to set up the regulatory acts and project plan of governmental policy.

  • PDF

Computer Simulation of Water Pollution by Opening the Water Gate of Bunam Lake in Seosan City. (서산 부남호 수문을 통한 오염물질 확산 모델링)

  • Han, Doo-He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3
    • /
    • pp.1006-1015
    • /
    • 2010
  • We studied sea water pollution by opening the water gate of Bunam Lake in Seosan City. SS and COD were simulated. If we control the flow rate to 100ton/s, and the gate opening time to 3 hours, SS of 50ppm can be clear with in 19hours. Also, COD of 8ppm can flow for 1 hour without damaging total sea water(COD less than 2ppm). Thus, If we control the flow rate and flow time, the fish cultivation will be free from danger of water pollution.

Monitoring of Soil Pollutant Loadings in Greenhouse and Conventional Farming Practices (시설재배지와 관행재배 지역의 토양 내 오염부하 모니터링)

  • Hong, Eun-Mi;Choi, Jin-Yong;Yoo, Seung-Hwan;Kang, Moon-Seong;Jang, Jeong-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48-448
    • /
    • 2012
  • 농경지의 잔류비료나 농약 등의 비점오염원은 강수 또는 관개를 함에 따라 지표 및 지하 유출과 함께 거동함으로써 토양 내에 집적됨과 동시에 지하수 수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최근 고부가가치 농산물 수요의 증가로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시설재배의 경우 노지재배와는 상이한 유출 및 침투 특성을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과다시비로 인한 오염원의 토양 내 집적이 심각한 수준이나, 이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설재배지와 관행재배 지역의 토양 내 비점오염원 오염부하량을 평가하고 지하침투 과정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설재배지와 관행재배지의 비교 평가가 가능한 포장 및 광역단위 시험포장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 모니터링 대상지역에서 토양수, 토양수분, 관개량, 기상조건 등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를 설치하여 비점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한달에 두 번 모니터링을 통하여 자료 수집 체계를 확립하였다. 시설재배지 및 관행재배지 토양 및 토양수 수질 분석 결과, 시설재배지 내 영양물질 농도가 관행재배지와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하부토층으로 내려갈수록 영양물질의 농도 및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향후 본 시험포장에서의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샘플링을 통하여 시설재배지 토양내 비점오염원의 침투 과정을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지하침투 영향 및 오염부하량 모델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