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질관리방안

Search Result 56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Determing the Instream Flow of Yongdam Dam Downstream for the Conservation of Water Quality (용담댐 하류의 하천수질보전을 위한 필요유량 산정 방안)

  • Choi, Si-Jung;Seo, Jae-Seung;Lee, Dong-Ryul;Kang, Se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148-2152
    • /
    • 2009
  • 하천수질보전을 위한 필요유량은 하천유지유량 항목 중 하나로써 환경기초시설 등으로 최대한 처리한 후 남는 오염부하량을 고려하여 적정 수질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유량을 의미한다. 하천수질보전을 위한 필요 유량을 산정하는 절차는 (1) 수질특성 파악 및 평가대상 항목의 선정, (2) 목표연도 및 목표수질 기준 설정, (3) 오염부하량 조사 및 목표연도별 오염부하량 산정, (4) 수질예측모형의 선정 및 수질예측, (5) 목표수질과의 비교 및 필요유량의 설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수질평가 항목으로 여러 가지가 제시되어 있지만 주로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만으로 목표수질을 설정하고 있는 실정이며, 수질예측 모형으로써 QUAL2E 모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고시된 하천유지유량은 대부분 기준갈수량 또는 평균갈수량이며 몇몇 지점이 하천생태계 및 하천수질보전을 위한 필요유량으로 고시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하천수질예측에 많이 이용하고 있는 QUAL2E 모형의 단점을 수정, 보완하고 보다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QUAL2K 모형을 이용하여 용담댐 하류의 하천수질보전을 위한 필요유량을 산정하였다. 과거에 산정된 하천수질보전을 위한 필요유량 산정치와 환경부에서 최근 제시하고 있는 금강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과의 비교를 통해 산정한 결과의 타당성을 분석해 보았으며 장래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상황들을 시나리오로 구축하여 분석함으로써 보다 합리적인 결과를 도출하도록 노력하였다. 하천수질보전을 위한 필요유량 산정 시 하나의 경우에 대한 분석보다는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상황을 시나리오로 분석함으로써 의사결정자나 일반대중에게 보다 다양한 정책 방향성과 유량에 따른 하천수질변화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nvironmentally Friendly Controlling Way of Storm Water by Using Rain Garden (레인가든을 적용한 환경 친화적 빗물 처리방안 검토)

  • Kim, Sun-Mi;Lee, Ins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10 no.5
    • /
    • pp.58-66
    • /
    • 2007
  • 과거 빗물은 토양으로 흡수되어 정화작용을 거쳐 호수나 강으로 유입됨으로써 하천의 수질 오염을 방지할 수 있었으나 개발로 인한 도시의 불투수층 증가로 빗물은 여과없이 도시의 오염물질을 쓸어 내리며 하천으로 유입되어 하천의 수질 오염이 날로 심해지고 범람하는 빗물은 짧은 시간에 도시를 물에 잠기게 한다. 오염물질을 함유한 빗물의 정화 및 빗물 유량 조절을 위한 방안으로 미국에서는 레인 가든의 조성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레인 가든의 환경적 의의와 조성방법, 그리고 빗물로부터 하천을 보호하기 위한 미국의 관련 규정을 알아보고 레인 가든의 효과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레인 가든은 오염 물질의 하천 유입방지 및 빗물의 저장 역할 외에 도시지역에서 최소 관리로 생물 서식처 역할을 함으로써 생태도시 조성 기술을 한 단계 높이는 방안이 될 것이다.

A Study on the Management System Improvement of Effluent Water Qualities for Public Sewage Treatment Facilities in Korea (우리나라 공공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수질 관리체계 개선방안 고찰 - 미국, 일본, 유럽의 공공하수처리시설 방류수 수질 관리제도를 중심으로 -)

  • Jeong, Donghwan;Choi, Incheol;Cho, Yangseok;Chung, Hyenmi;Kwon, Ohsang;Yu, Soonju;Yeom, Icktae;Son, Daehee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3 no.4
    • /
    • pp.296-314
    • /
    • 2014
  • In recent years, Ministry of Environment (MOE) has been implementing a phased strengthening of the effluent standards for sewage treatment plants. In this regard, a comprehensive system should be developed to help check the appropriateness of such standards by specifying the grounds for standard-setting and investigating the current operation of sewage treatment plants clear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standard-setting system for the effluent that is in a closer connection with the environmental criteria and rating systems. In the United States, the federal government provides guidelines on the least provisions and requirements for the Publicly Owned Treatment Works (POTWs). Local governments set the same or stricter guideline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te. In Japan, the sewage treatment plants are subject to both the effluent standards and the discharge acceptable limits to pubic waters under the sewerage law. Specific requirements and limits are set in accordance with local government regulations. The European Union imposes sewage treatment plants with different provisions for effluent standards, depending on the sensitivity of public waters to eutrophication. The effluent standards for sewage treatment plants are classified by pollutant loads discharged to receiving waters. MOE also needs to introduce systems for setting new parameter standards on a POTW effluent by applying statistical means and treatment efficiencies or optimal treatment techniques, as seen in the cases of the US National Pollutant Discharge Elimination System (NPDES) or the EU Integrated Pollution Prevention and Control (IPPC).

Analysis of Non-Point Pollutants Outflow Pattern in Jinhae-Masan Basin (진해-마산만 유역에서 비점오염물의 유출양상 분석)

  • Lee, Beum-Hee
    • The Journal of Engineering Research
    • /
    • v.8 no.1
    • /
    • pp.107-118
    • /
    • 2006
  • The difficulties to build a 3-dimensional water quality model for the coastal water quality improvement and the environmental recovery estimation are the lack of periodic observed data and the many problems to observe continuously. I observed the rainfall and non-point pollutants outflow patterns in Jinhae-Masan basin as mid-step researches for the water quality simulation and management method development in a coastal area. I applied Landsat image system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o analyze the runoff and non-point pollutants outflow patterns. A water quality simulation model (SWMM) applied to Jinhae-Masan basin with results of the land use distribution, non-point pollution loads, and watershed informations from GIS(IDRISI used). I proposed some improved survey and GIS application methods reflect upon the pollutant characteristics from the observed non-point pollutant outflow patterns.

  • PDF

Suggestions on the operation of sewage treatment plant used to integrated water quantity and quality analysis (수량-수질 연계모의를 통한 하수처리장 운영방안 제시)

  • Seo, Jae-Seung;Choi, Si-Jung;Lee, Dong-Ryul;Kang, Se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028-2032
    • /
    • 2009
  • 하천법에서 하천유지유량은 "생활 공업 농업 환경개선 발전 주운 등의 하천수 사용을 고려하여 하천의 정상적인 기능 및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유량"으로 정의 되어있고, "하천유지유량 산정요령"에 따라 갈수량을 기본으로 하여 하천의 수질보전, 하천 생태계 보호, 하천경관 보전 등 8가지 항목을 고려하여 산정하고 있다. 환경부에서는 2007년1월 환경부 고시에 '중권역별 수질 및 수생태계 목표기준과 달성기간"을 제정 고시하였고, 하천의 주요지점에 목표수질을 설정하고 그 수질을 만족시키기 위해 오염물질의 허용량을 제한하는 오염총량관리제도를 도입하였다. 이와 같이 하천 수질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하천의 기능을 제대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량뿐 아니라 적절한 수질이 요구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SEI-US(Stockholm Environment Institute-U.S center)가 공동으로 개발한 통합수자원평가모형인 K-WEAPq 모형을 이용하여 만경강 유역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2003년의 수질 및 유량 자료를 이용하여 수량-수질을 모의하였다. 일별 수량-수질 동시모의를 통해 만경강 유역의 하수처리장 방류수 수질에 따른 하천 수질의 연중 변화를 파악하였고,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수질을 변화시켜 수질모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수질에 따라 하천의 수질이 변화됨을 알 수 있고, 하수처리장 방류수 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하천의 목표수질을 달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를 활용하면 하천의 수질 및 유량에 따라 하수처리장의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며 비용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Water Quality Management on Urban Water Circulating System in the New City (신도시 내 물순환시스템 구축 및 수질관리 연구)

  • Ahn, Chang-Hyuk;Joo, Jin-Chul;Kwon, Jae-Hyeong;Song, Ho-Myeon;Ahn, Ho-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43-743
    • /
    • 2012
  • 최근 국내에서는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의 일환으로 도시의 환경오염과 기후변화의 문제의 원인이 되고 있는 탄소 배출을 억제하고 고유가 시대에 에너지저감을 동시에 고려하는 저탄소 도시 조성을 통해 기후변화 시대에 대응을 추진하고 있다(국토해양부, 2009). 이러한 결과로 최근 도시내 물순환시스템(urban water circulating system or blue-network)의 구축이 요구되며 이는 자연의 생태 기능을 복원하고 오염부하를 저감하여 도시 환경의 건강성과 지속성 향상에 기여한다. 이러한 도시물순환시스템은 시민의 휴식 및 문화 공간, 도심열섬현상 완화, 재해방지, 생물서식공간(biotope) 제공 등의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탄소배출 감소, 우수 저류공간 확보, 지하수위 유지, 비상용수 확보, 대기오염물질의 집진제거, 습지보전 및 생물종 다양성 확보 등의 주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도심의 재개발 또는 신도시 개발 시 도시 어메니티(amenity) 증진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3; 한국토지공사 2003). 남한산성을 포함하는 청량산 계곡수를 발원지로서, 공간적 범위는 장지천과 창곡천을 따라 약 3.5 km 서쪽으로 흘러 탄천에 이르기까지의 물길축(blue-network)를 기반으로 하며 총면적은 $6.8km^2$ 으로 서울, 성남, 하남의 3개 행정구역에 걸쳐있다. 내용적 범위는 현황조사(개발 컨셉, 하천분포현황, 인접지역 연계, 수질), 수량 및 수질 확보방안(물수지분석, 다중 수원 확보방안, 목표수질 설정, 부영양화 가능성 평가), 물순환시스템 구축(소하천 등과 연계 방안), 유지관리 방안의 순서로 진행하여 기본계획을 도출하였다. 현황조사 결과 본 사업대상지는 장지천, 창곡천, 학암천 등 3개 소하천이 서쪽의 탄천과 연결되어 있으며 동쪽은 산지로 청량산이 인접하기에, 주변 자연지형을 최대한 고려하여 물순환시스템을 계획하였다. 하천 유량은 기존 환경영향평가서, 하천 연계방안, 신도시 조성 관련기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하류에서 각각 장지천 $10,087m^3/d$, 창곡천 $7,103m^3/d$, 복우천 $5,530m^3/d$ 의 유지용수량을 산정하였다. 도시 친수공간 확보와 어메니티 향상을 위해 지구내 수로(휴먼링)을 조성하여 장지천, 창곡천과 연계하였으며 주요 유지용수는 저탄소 녹색도시 건설에 부합하도록 우수을 활용한 함양지 및 계곡수로 조성 계획하였다. 또한, 인접한 장지천 및 창곡천 등 소하천은 지속적인 유량공급 및 양질의 수질을 확보하기 위해서 하상여과수를 검토 후 제안하였다.

  • PDF

A Study on Grade Classification for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and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in the Han River Watershed Tributaries (한강 수계 지류 하천의 수질 특성 및 수질 개선을 위한 등급화 방안 연구)

  • Cho, Yong-Chul;Park, Minji;Shin, Kyungyong;Choi, Hyeon-Mi;Kim, Sanghun;Yu, Soonju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8 no.3
    • /
    • pp.215-230
    • /
    • 2019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using the statistical analysis of major tributaries in the Han River and to provide water quality improvement plan by selecting tributaries that should be preferentially managed by river grade classification method. The major 15 tributaries in Han River watershed were monitored for discharge and water quality during January-December 2017.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river discharge has been not correlation with other water quality constituents (p>0.05) but COD and TOC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r=0.957, p<0.01). The main cause of water quality fluctuation was organic pollutants and nutrients in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method. The BOD, COD, TOC, TN, and TP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by seasonal in result of one-way ANOVA analysis. Result of river grade classification by quantitative indicators the tributaries requiring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were Gulpocheon, Anyangcheon, Wangsukcheon, and Tancheon which affected by wastewater treatment plant.In this research, we determined tributaries that need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Han River watershed and it can be used as an important data for efficient water quality management.

Application to the Water and Sediment Model for the Management of Water Quality in Eutrophicated Seto Inland Sea, Japan (부영양화된 뢰호내해의 수질관리를 위한 수ㆍ저질예측모델의 적용)

  • Lee In Cheol;Chang Sun-duck;Kim Jong Kyu;Ukita Masa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 no.2
    • /
    • pp.96-108
    • /
    • 1998
  • The management of water quality and fishery resources with a major environmental problem in eutrophic coastal sea is studied. The numerical experiments using the water-sediment quality model (WSQM) were carried out for the management of water quality at the Seto Inland Sea in Japan. The results of long-term water quality simulation showed responses of seawater quality to input loads to vary in different localities. A formula roughly forecasting water qualify to estimate the effect of loading abatement was proposed. The simulation for the improvement of seawater quality showed the abatements of nutrient loads such as total phosphorus (TP) and total nitrogen (TN) as well as organic loads such as chemical oxygen demand (COD) to be peformed in the eastern Seto Inland Sea from Bisan Seto to Osaka Bay. On the other hand, it is indicated that the increase of loading leads to the increase of primary production. while not straightly to the increase of fish production for the catch of fisheries.

  • PDF

A Study on Evaluating Benefits of Constructed Wetland (인공습지 조성에 따른 편익 산정 연구)

  • Jung, Jaewon;Nam, Jisu;Han, Daegun;Kim, Shinhoon;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91-91
    • /
    • 2017
  • 전 세계적으로 인공습지는 도시화, 기후변화 및 생활수준 향상으로 인한 홍수와 가뭄, 하천생태계 변화, 수질오염과 같은 환경문제의 해결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여러 목적과 형태의 인공습지가 조성되고 있다. 인공습지의 경우 특정 기능을 목적으로 하여 조성하더라도 인공적 생태계가 조성되므로 복합적 기능을 갖게 된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인공습지 조성 효과에 관한 연구는 한가지 기능에만 초점을 맞추어서 실제 인공습지 조성의 가치가 저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변 인공습지 조성에 따른 여러 효과 중 가장 주가 되는 홍수저감 및 수질개선 기능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편익을 산정하였다. 먼저 인공습지의 적용 대상 유역을 선정하고 유역 내에 입지를 결정하여 이에 맞는 인공습지를 설계 및 적용하였다. 인공습지 조성에 따른 홍수저감 효과 및 수질개선효과를 각각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대해 MD-FDA를 통해 홍수피해액을 산정하였고 대체비용법을 통하여 동일한 수질개선 효과를 갖는 하수처리시설의 하수처리비 및 운영관리비에 해당하는 수질개선 편익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인공습지의 홍수저감 효과뿐만 아니라 수질개선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정량적인 분석방법을 통해 두 가지 기능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여 보았다. 또한 산정된 홍수저감 및 수질개선 효과를 경제적 가치로 환산하여 보다 객관적인 지표로 나타내었다. 본 인공습지 조성에 따른 종합적 편익 산정 연구 결과는 다목적의 인공습지를 적재적소에 적용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추후 생태적 기능, 레크레이션 기능 등에 따른 기타 편익 산정 방법론 조사를 통해 각 기능의 편익을 추가한다면 인공습지 조성에 따른 편익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인공습지 조성의 소요사업비 및 유지관리비를 산정하여 인공습지 조성에 대한 경제성분석을 한다면, 실제 인공습지 조성 사업 시 사업의 타당성을 평가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ost Calculation of the Implementation Project for the Management of Total Maximum Daily Loads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이행평가 사업의 대가산정 방안에 관한 연구)

  • Kim, So Hee;Baek, Song Yi;Jung, Na-ria;Hyun, Jae-Myung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9 no.3
    • /
    • pp.174-182
    • /
    • 2022
  • The existing cost calculation standard for the implementation project to manage total maximum daily loads calculates cost by considering the area scale and the population based on the basic cost. This method renders it difficult to calculate cost when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of a business are consider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oposed a costing method that applied the standard fee calculation, reflecting the area scale, a number of human and livestock, wastewater discharge facilities, etc. And, through the review of related order cases, the suitability of factors affecting the implementation project is verified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st calculation method is ver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