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Non-Point Pollutants Outflow Pattern in Jinhae-Masan Basin

진해-마산만 유역에서 비점오염물의 유출양상 분석

  • Lee, Beum-Hee (Department of Civil, Environmental & Railroad Engineering)
  • 이범희 (배재대학교 건설환경.철도공학과)
  • Published : 2006.12.31

Abstract

The difficulties to build a 3-dimensional water quality model for the coastal water quality improvement and the environmental recovery estimation are the lack of periodic observed data and the many problems to observe continuously. I observed the rainfall and non-point pollutants outflow patterns in Jinhae-Masan basin as mid-step researches for the water quality simulation and management method development in a coastal area. I applied Landsat image system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o analyze the runoff and non-point pollutants outflow patterns. A water quality simulation model (SWMM) applied to Jinhae-Masan basin with results of the land use distribution, non-point pollution loads, and watershed informations from GIS(IDRISI used). I proposed some improved survey and GIS application methods reflect upon the pollutant characteristics from the observed non-point pollutant outflow patterns.

연안수질 개선 및 환경회복도 추정을 위한 3차원 수질 모델의 구성에서 나타나는 어려운 점들로는 실측자료가 부족하다는 점과 지속적 관측이 어렵다는 점들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연안역에 대한 수질모의 및 관리기법 개발 연구의 중간 단계로서 진해-마산만 유역에 대한 강우 및 비점오염물 유출 양상을 실측하였고, 유량 및 오염물 유출양상에 대한 해석을 위하여 위성영상시스템 및 지리정보체계 기법을 적용하였다. 지리정보체계(IDRISI 사용)를 통한 진해-마산만 유역의 용지 사용분포, 지점오염 부하량과 유역정보 결과를 사용하여 수질모의 모형(SWMM 사용)을 적용하였고, 관측되어진 비점오염물들의 유출양상을 통하여 오염물들의 유출특성을 고려한 관측기법의 개선방안과 GIS기법의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