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직적인 방법

Search Result 1,686,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지하수 및 토양의 온도 관측 자료를 이용한 함양량 산정 기법

  • 구민호;김형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1.09a
    • /
    • pp.83-87
    • /
    • 2001
  • 토양이나 천부 지하수 온도의 장기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함양량 또는 증발산량을 산정하는 온도추적자법의 원리를 소개하였으며, 국가 지하수 관측망의 장기 관측 자료에 본 방법을 적용하여 관측소 주변에서의 수직적인 물의 흐름(flux)을 추정하였다. 20개 충적층 관정의 수온 관측 자료를 분석한 결과, 15개 지역에서는 증발산에 의한 상향(upward) 흐름이, 5개 지역에서는 지하수 함양에 의한 하향(downward) 흐름이 우세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방법은 수직적인 물의 흐름을 시간 독립적인 정류 상태로 가정하므로 우기에 지하수 함양이 주로 발생하는 국내의 수리지질학적 조건에 잘 부합하지 않지만 함양 지역을 판단하는 방법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 PDF

The Study of Software Analysis Process for Vertical Reuse (수직적 재사용을 위한 방법론 연구)

  • Bang Jung W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9 no.3
    • /
    • pp.103-107
    • /
    • 2004
  • Software Reuse have the advantages of increasing productivity and software reliability reducing the period for software development and cost, sharing the information which is related to software. Vertical Reuse is the method which reuse is restricted to a specific area and can increase the reliability of software reuse due to high understanding of related area. Bottom-up approach of Vertical Reuse classifies the related information and s the results. It allows the reuse of not only pure source code but also informal documents.

  • PDF

Evaluation of the Sliding Frictional Characteristics at the Different Loading Mechanisms and Dynamic Stiffness (마찰시험기의 하중부와 방법과 강성 변화에 따른 미끄럼 마찰특성 평가)

  • 윤의성;공호성;권오관;오재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6.04a
    • /
    • pp.108-116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하중부와 방법을 추(dead weight)와 공압(pneumatic)을 이용한 방법에서 스프링을 이용한 방법을 추가하였으며, 압축형 스프링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마찰시험기 수직방향에서의 강성을 큰 변화 폭으로 변화시켰다. 또한 선행된 연구를 통하여 수직하중의 변동량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는 디스크 시편의 misaligment 효과를 상사하고 극대화 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경사진 디스크 시편을 추가로 사용하였다. 상기조건으로 마찰시험기 시스템의 각 하중부과 방법과 수직강성 변화가 마찰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측정 평가하였으며, 마찰시험기 동특성계 모델의 이론적 해석을 통하여 마찰특성 변화를 고찰하였다. 또한, 미끄럼 접촉 시의 수직력과 마찰력을 측정하고, 데이터의 통계적 처리방법에 따른 마찰계수의 변화 특성도 평가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Information and Attitude by Individual Cultural Disposition (개인 문화성향에 따른 정보 인식과 태도 차이에 대한 연구)

  • Kim, Ji-Hyun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5 no.3
    • /
    • pp.59-7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dividual cultural disposition on the perception of contextual information and attitude toward contextual material, and to provide the effective ways of delivering information. To investigate individual cultural disposition, this study employed Triandis(1988)'s cultural scale that classified people into four categories using individualism/collectivism and vertical/horizontal dimensions. The results revealed that Korean college students had higher horizontal collectivism than other cultural dispositions, but only a few Korean college students had vertical individualism. The results using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Korean college students with vertical collectivism significantly perceived more contextual information than other groups.

The Introduction and the Use of Number Line on the Learning of Number Concept (수 개념 학습에서 수직선의 도입과 활용)

  • Kim, Yang Gwon;Hong, Jin-Kon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20 no.3
    • /
    • pp.431-45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 time of introduction and the usage of the number line, in order to suggest the right point of learning the number concept t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efficient achievement of this purpose, we investigated the mathematical models for constructing the number concept such as number line, empty number line and double number line, counting and development of number concept. Then, we conducted case study on the time of introduction and the usage of the number line. Finally, we analyzed the result. First, there is need for adjustment to conduct the introduction of the number line from the second year of elementary school, so to help the students understand the continuing number concept through the understanding on the metaphorical concept of the number line. Second, there is the need of positive introduction and the use on the mathematical models; empty number line which helps to draw various thinking strategy visually through the process of operations such as addition and subtraction; the division into equal part and division by equal part in which multiplicative comparative situation or division takes place; the double number line which helps to understand the rate or proportional distribution. Finally, when adopting the number line, the empty number line, or the double number line, we suggested the necessity of learning about elaborate guidance and the usage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metaphorical concept of the number line.

Orthodontic correction of vertical problem

  • 최광철
    • 대한치과교정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8.10a
    • /
    • pp.36-43
    • /
    • 1998
  • 수직적인 문제의 치료는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치료 방법이나 치아의 이동량도 수평적인 치아 이동과는 다르게 매우 제한되어 있으므로 구체적인 치료목표를 설정하여 이를 달상할 수 있는 적절한 생역학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의원성에 의해서 발생하는 경우도 매우 빈번하므로 치료과정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치료는 성장기 환자에서 성장을 적극적으로 이용해야 하며 성인의 경우에 부작용을 적절히 해소해주어야 성공적인 치료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 PDF

Vertical Soi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t Landscape Planting Sites of Pinuse thunbergii Parlatore in Reclaimed Land from the Sea on Kwangyang Bay (광양만 임해매립지 곰솔 식재지역 토양환경의 수직적 특성)

  • 김도균;김용식;김민수;오구균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5 no.2
    • /
    • pp.186-192
    • /
    • 2001
  • 본 연구는 전라남도 광양만의 6개 임해매립지 식재지반의 토양환경 특성을 조사분석하였다. 토심이 깊어짐에 따른 토양성질의 수직적 특성은 각 식재지반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토양성질의 수직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토와 준설토의 이질서, 토양의 물리. 화학성의 교란, 지반하부에 잔존하는 염류의 이동, 유기물의 이동과 강우나 가뭄 등이었다. 수목생 상 유리한 식재지반은 식재지반의 높이가 낮은 곳보다 높은 성토지역이었으며, 이것은 토양의 물리. 화학적 교란과 지하부의 염류로부터 안전성이 높기때문이었다. 조경식물의 생육상 불리한 토양성질들은 토성의 이질서, 토양의 경화, 알칼리성 염류토양, 높은 ECe, Na, K. 저농도의 Ca, Mg, T-C등이었으며, 이러한 토양성질들은 표토보다는 지하의 근권부에 주로 분포하여 있었다. 따라서 임해매립지 식재지반 조성시에는 토양의 성질이 교란되지 않은 방법이 모색되어야 하며, 조경수목의 생육에 관련된 토양환경조사는 지하근권부 이하까지 정밀하게 조사. 분석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사료되었다.

  • PDF

Vehicle Detection Scheme Based on the Symmetry of Horizontal and Vertical Edge Features (수평 및 수직 에지 성분의 대칭성 기반 차량 검출 기법)

  • Han, Sung-Ji;Chung, Hwan-Ik;Hahn, Hern-S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851_1852
    • /
    • 2009
  • 본 논문은 차량 영역에 나타나는 수평, 수직 에지 특성만을 이용하여 빠르고 효율적으로 차량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차량을 포함하는 입력영상의 긴 수직 에지 성분을 찾아 차량의 후보 영역을 결정한다. 영상의 에지 성분의 누적 대신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긴 수직 에지 성분을 찾음으로써 차량의 후보 영역의 검출과 동시에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는 도로와 접하는 차량의 하단부를 함께 검출한다. 후보 영역 내에서 차량과 비 차량을 구분하는 검증 단계에서는 차량의 후면의 대칭성(Symmetry)을 이용하여 후보 영역 내에서 차량이 있을 가능성이 있는 바닥 점 위에서 좌측과 우측의 유사도(Matching rate)를 이용하여 차량과 비 차량을 판별한다. 기존의 템플릿 기반 방법이나 외관 기반 방법이 아닌 에지 성분만을 이용하여 후보 영역을 결정하고 검증하기 때문에 다른 검출 기법들에 비해 비교적 검출 시간이 짧고 실시간 차량 검출에 적합하다.

  • PDF

Numerical Simulation and Supersonic Wind Tunnel Test on the Mixing Process of Transverse Injection to Supersonic Flow (초음속 유동장내에서의 연료의 수직분사 혼합과정에 대한 수치해석 및 초음속 풍동시험)

  • 김성돈;이양지;정인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2.04a
    • /
    • pp.61-61
    • /
    • 2002
  • 스크램 제트 엔진의 설계에서 초음속으로 유입된 공기의 짧은 잔류시간으로 인한 연료-공기의 혼합은 가장 중요하며 해결하기 힘든 문제이다. 전헝적인 비행 조건에서 흡입 공기가 극초음속 비행기 엔진 내에서 잔류하는 시간의 단위는 1 ms 정도이어서 짧은 시간 동안 연료와 공기는 효율적으로 혼합되어야 하며, 최대의 추진력을 얻기 위하여 과도한 공력저항없이 연소 가능한 연료-공기 혼합기를 생성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연료-공기의 혼합 방법이 요구된다. 현재까지 가장 많이 연구되어 온 혼합 방법은 엔진 입구로 들어오는 공기 유동에 수직 방향으로 연료를 분사하는 것으로 이 방법은 연료 유동 방향과 공기 유동 방향이 수직이기 때문에 추력 손실이 생기는 단점을 갖고 있지만, 초음속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수직으로 연료를 분사하게되면 분사 위치 앞에 궁형 충격파가 생겨서 감속되어 유동이 회전하는 재순환영역이 생기고 연료의 혼합이 잘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 PDF

Analysis of vertical root fracture in endodontically versus nonendodontically treated teeth on patients with periodontitis (치주질환자에서 근관치료의 유무에 따른 수직 치근 파절의 실태분석)

  • Kim, Myung-Jun;Jang, Hyun-Seon;Kim, Dong-Kie;Kim, Byung-Ock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5 no.2
    • /
    • pp.413-426
    • /
    • 2005
  • 수직 치근파절은 특이성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치과의사가 정확한 진단을 하기 어렵다. 따라서 수직 치근파절의 임상적 특징, 진단적 증상을 파악하여 향후 근관치료된 치아나 치료되지 않은 치아에서 수직 치근파절의 유발인자와의 관련성 및 고찰을 통해 수직 치근파절의 예방 및 치료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대상은 조선대학교 부속치과병원 치주과에 내원한 환자 중 최근 2년간 144명의 환자에서 근관치료를 받았거나 받지 않았던 치아 중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수직 치근파절로 진단된 156개의 증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불확실한 증례에서 수직 지근파절의 최종 진단은 외과적 탐지를 통해 이루어졌고, 금이 간 치아와 관련될 수 있는 치근파절의 증례의 경우는 제외되었다. 근관치료된 치아와 치료되지 않은 치아, 환자의 나이와 성별, 치아종류 및 파절된 치근부위, 자각증상의 유무를 기준으로 각각의 수치와 백분율로 분류하였다. 수직 치근파절의 증상과 증후별로 분류하였으며, 진단방법에 의한 분류, 치료방법에 따른 분류, 근관 치료 후 수직 치근파절이 발생한 기간에 따른 분류를 시행하고 통계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근관치료를 받지 않았던 치아의 수직 치근파절의 발생율은 58%였다. 2. 성별에 따른 발생률에 있어서 남성의 호발양상을 나타내었다. 3. 근관치료된 치아에 있어서 치료되지 않은 치아에 비해 호발연령이 낮았다. 4. 전치부의 수직 치근파절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특히, 강한 교합력을 필요로 히는 구치부에서의 높은 발생율을 나타냈다. 5. 수직 치근파절의 가장 주된 증상 및 증후는 깊은 치주낭 깊이였다. 6. 근관 치료 후 수직 치근파절이 발생한 기간은 평균 5.7년이었다. 7. 다수 증례에 있어서 3개 이하의 결손치를 가졌고, 자각증상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괴에서 한국인에 있어서 근관치료를 받지 않은 치아의 수직 치근파절은 드문 현상이 아님을 알 수 있었고 남성과 구치부에 있어서의 높은 발생율을 알 수 있었다. 그 이유로는 강한 교합력, 딱딱한 음식의 저작습관, 치조골 흡수에 따른 낮은 저항성, 골 유연성의 저하 등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수직 치근파절은 아직까지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는 여전히 어려운 상태이며, 이를 위한 다양한 진단방법 및 더 나은 연구가 필수적이라 하겠다. 그리고, 향후 보다 많은 증례에 대한 분석, 치주질환에 이환되지 않은 경우의 분석, 치료 후 생존 기간에 대한 고찰 등도 필요하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