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중카메라 시스템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48초

심해공학수조에 적용되는 수중카메라를 이용한 세장체의 연속 거동 측정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easurement System of Behavior of a Slender Structure using an Underwater Camera which is applied in DOEB)

  • 정동호;권용주;박병원;정재환;최종수;조석규;성홍근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세장체의 연속적인 거동을 전체 길이에 대하여 측정할 수 있는 계측시스템을 선정하며, 선정된 수중카메라 시스템의 성능평가를 수행한다. 수중카메라의 기초성능평가를 위하여 강체파이프의 강제가진 실험을 수행한다. 파이프의 상단을 강제가진장치에 고정시킨 후, 일정주기와 진폭으로 가진시켜 수중카메라를 이용하여 변위를 측정한다. 강제가진장치에 입력된 신호와 수중카메라에 계측된 신호를 비교하여 측정 정밀도를 평가한다. 연속체인 세장체 파이프의 강제가진 실험을 수행하여, 수중카메라 시스템의 실시간 3차원적인 측정 가능성을 정성적으로 평가한다. 본 수중카메라 시스템은 향후 국내 심해공학수조에 적용되어, 세장체구조물 및 계류선 등의 거동 측정에 활용될 것이다.

국가대표 아티스틱 스위밍팀 지원을 위한 실시간 수상 수중 영상 통합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real time surface and under water image integrating system for Korea artistic swimming team)

  • 민석기;이상철;김태완;길세기;김지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5-3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국가대표 아티스틱 스위밍팀 선수들의 연기 및 동작 촬영 지원을 위해서, 수상 및 수중 카메라에서 생성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하나의 통합 영상으로 재구성하는 아티스틱 스위밍 수상 수중 영상 통합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방수 처리가 된 4대의 USB 카메라(USB 2.0 카메라 2대, USB 3.0 카메라 2대) 와 1대의 노트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 되었으며, 수집된 영상의 처리를 위해서 LabVIEW 기반의 영상 합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구현된 장비를 이용하여 아티스틱 스위밍의 아크로바틱 동작을 관찰한 결과 협동 동작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관찰 및 원인 파악이 가능하였으며, 현장에서 효과적인 동작 지도가 가능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개발된 장비는 현장 실험을 통한 성능 검증 후, 국가대표 아티스틱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 지원에 활용되고 있다.

Drone Saver : 모선과 수중 탐사정을 이용한 수중 드론 탐색 및 구조 시스템 (Drone Saver : Underwater Drone search and rescue system using Mothership and ROV)

  • 고선재;박재정;김서진;정주연;최병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250-1253
    • /
    • 2017
  • 본 논문은 드론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하천, 호수, 바다 상공에서 활용하는 드론이 수중에 빠졌을 때, 물에 빠진 드론을 모선(Mothership)과 집게팔이 달린 ROV(Remotely Operated Vehicle)를 이용하여 인양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의 구성 요소는 세 가지로 첫 번째는 실시간으로 GCS(Ground Control Station)에 영상을 전송하며 ROV와 전력선 모뎀을 이용하여 통신을 하는 모선, 두 번째는 수중에 들어가 수중 카메라를 이용하여 육안으로 드론을 탐색하고 장착된 집게팔로 드론을 몸체에 고정시키는 ROV, 세 번째는 모선, ROV와 실시간으로 영상 데이터와 명령 신호를 주고 받는 GCS 이다.

입체 영상 획득용 Stereoscopic Camera의 효율적 정렬 방법 (An efficient alignment method of the Stereoscopic camera for three dimensional image acquisition)

  • 김재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1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575-578
    • /
    • 2001
  • 원격 조작이나 해저 수중 탐사에서 실제와 같이 거리감을 인식하며 제어하기 위하여, 3차원 입체 영상 카메라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기본적인 구성 형태인 Stereoscopic Camera 시스템은 기구적으로 주시각 제어와 초점 제어가 이루어 지고 있으며, 획득영상에 대하여 영상 distortion 보정, 압축 처리 등의 영상 신호처리가 행하여진다. 양안 카메라의 수평 위치를 일치시켜 수평적으로 동일 위치의 pixel들이 정확한 epipolar line을 형성할 경우에, 주시각 제어가 용이하고 보정 및 영상처리 등의 연산량이 대폭 감소된다. 이와 같은 calibration 과정을, 기존의 시스템에서는, 주로 영상 획득 포기에 패턴을 사용하여 실시하거나, 물리적 수평 장치와 sensor 등의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calibration을 행한다. 그러나, 기계적으로 정밀하게 정렬을 한다고 하여도 두 카메라의 광축 및 CCD조립상 상이점과 특성의 불일치로 인하여 실제 획득된 영상에서는 변이와 회전이 포함된 영상을 얻게된다. 본 논문에서는 Stereoscopic Camera의 위와같은 정렬 오류의 문제점을 분석한 후, 제안 방식으로서 두 카메라의 획득되는 영상을 직접 영상 처리하여 수직 방향 및 회전 오류를 최소화 시켜 정렬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며, 실험적으로 제안 방식의 효율성을 보인다.

  • PDF

디지털 영상을 이용한 수중구조물 측량 (Submerged Structure Surveying using Digital Image)

  • 박경식;정성혁;안정욱;이재기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01-408
    • /
    • 2005
  • 현재 많은 구조물들이 수중에 건설되고 있으나. 수중환경은 지상과 비교하여 다른 매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수중구조물의 측정이 어려운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수중 구조물의 측정 방법은 줄자나, 깊이 게이지, 음향 위치시스템 등을 사용한다. 그러나, 줄자는 수중에서 정확한 장력을 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정확한 거리를 측정하기 어렵고, 깊이 게이지는 설치에 장시간이 걸리는 단점이 있으며, 음향위치시스템은 제한된 공간에서 밖에 작업을 할 수 없고, 가격이 고가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물-유리-공기와 같은 다중매질에서 광선의 경로를 이해하며 둘째, 현장에서 카메라 검정을 실시하여 내부표정요소를 비교하였다. 셋째, 큐브를 이용한 정확도 실험을 통해 사진측량을 수중대상물에 적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교각모형과 하상의 수중대상물에 대해 수중사진측량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수중 구조물과 수중지형에 수중사진측량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국내 주요 항만 인근의 탁도 특성 분석 (Turbid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Port Area)

  • 장인성;원덕희;백원대;신창주;이승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889-8895
    • /
    • 2015
  • 수중 기초사석 고르기 작업이나 수중시설물 점검 및 유지관리 등 수중 항만 공사를 위해서 수중에서의 충분한 시계확보가 필수적이다. 이는 잠수사에 의한 작업뿐만 아니라 수중 기계화 장비를 활용한 작업에서도 마찬가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동해, 남해, 서해에서 대표적인 항만이 위치하는 연근해 해역의 탁도를 측정하여 권역별 경향성을 수치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다양한 탁도 특성을 가지는 각 해역에서 수중 카메라나 소나 등과 같이 수중건설장비에 부착하여 효과적으로 활용 가능한 수중환경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해 검토하였다.

양식장 수중 모니터링 및 그물망 청소용 드론 설계 (Design of Drone for Underwater Monitoring and Net Cleaning for Aquaculture Farm)

  • 김진하;김응곤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1379-1386
    • /
    • 2018
  • 양식장에서 사용되는 기존의 수중 카메라는 제한된 구역만 촬영할 수 있으며, 수중 오염으로 인해 훼손되기 쉽다. 또한 양식장 그물망에 사료 공급에 따른 잉여 찌꺼기가 퇴적되어 양식장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양식장 수중 모니터링과 그물망 청소를 위한 수중 드론을 제안한다. 수중 드론을 이용한다면 수중 영상 촬영, 모니터링과 양식장 그물망 청소가 가능하다. 이를 활용하면 양식장 환경 변화를 감지해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양식장 내에서 발생하는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더불어 통합관제 시스템을 구축하게 되면 이를 통해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스마트 양식장 구축이 가능할 것이다.

관람객과 상호 교감하는 전래동화-로봇의 수중무대 연출시스템 구현 (Realization of Fairy Tale - Robot Aquarium Display System with Visitor Interaction)

  • 신규재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180-1187
    • /
    • 2018
  • 본 논문은 수족관에서 유사 3D 플로팅 홀로그램로 구현되는 전래동화를 배경으로 물고기 로봇과 관람객이 상호 교감하는 수중무대를 구현한다. 색상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관람객과 수중로봇의 개체 위치인식을 수행하였고, 관람객과 전래동화의 개체를 추종하기 위한 위치 추종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본 실험장치는 수중로봇 제어를 위한 물고기로봇, 카메라, KIOSK와 수중영상을 연출하기 위한 빔 프로젝트로 구성된다. 본 실험은 전래동화와 수중로봇을 기반으로 관람객과 상호 교감하는 수중무대 구현을 국립부산과학관에서 수행한 결과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