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준별 이동수업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4초

수학과 수준별 이동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수준별 이동수업의 개선방안 (The opinions of students about level-based class and improving methods about level-based instruction on mathematics)

  • 서현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253-273
    • /
    • 2008
  • 2000년부터 연차적으로 적용되어 온 제7차 교육과정의 주요한 특징은 수준별 교육과정이라는 말로 대변될 수 있다. 수준별 교육과정의 구현을 위해 현재 수준별 수업이 적극 권장되고 있다. 수준별 수업은 학생 개개인의 학습능력을 고려하여 수준별로 적절한 학습경험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모든 학생들이 나름대로 학습에 성공할 수 있도록 배려하자는데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몇 몇 선행연구들을 통해 수준별 수업의 운영방식과 교육효과에 대한 사례가 보고 되어왔다. 반면 학생들이 이러한 수준별 수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수용이나 의견에 대한 연구결과는 대체로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수학교과의 수준별 이동수업에 관한 학생들의 성별과 각 수준에 따른 인식의 차이극 비교 분석하여, 수준별 수업치 효율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PDF

수준별 이동수업이 고등학생의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경향점수매칭법(Propensity Score Matching)을 활용하여 - (The effect of ability grouping on Mathematics achievement - Utilizi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

  • 홍순상;이덕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149-167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하여 기존의 연구들을 분석하고, 특히 학교수준에서 실시하고 있는 수학과 수준별 이동수업이 실질적으로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선택편의를 최소화하기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2005의 6차년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경향점수매칭법(propensity score matching)을 사용하여 수학 교과 수준별 이동수업이 수학성취도의 지표인 수능 수리영역 표준점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수준별 이동수업과 수학성취도 사이의 양의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수준별 이동수업의 효과적 운영을 위해 정책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수준별 교육을 위한 웹기반 교수-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 Based Teaching-Learning System for Group-Level Education)

  • 김명신;김희숙;정성태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2)
    • /
    • pp.565-567
    • /
    • 2000
  • 최근에 들어 교육현장에서 수준별 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적은 수의 교사로 많은 수의 학습자를 수준별로 교육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조별 이동이나 급간 이동으로 수준을 나누어 교육하고 있으나 변화하는 학습자의 정확한 수준 측정 및 이동이 어렵다. 또한 CAI(Computer Aided Instruction) 프로그램이 많이 보급되었지만 수업 외 시간에 학습자 스스로 반복 훈련을 통한 학습을 강조하므로 교실 수업에 적용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업시간 교사의 지도하에 웹을 기반으로한 교수-학습을 통해 각 학생들의 수준을 평가한 후 수준에 맞는 학습과 보충 및 심화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웹기반 수준별 교수-학습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PDF

수학 기초학력 미달자의 수준별 수업에서 효율적인 지도 방법 (Efficient Teaching Method for the Underachieving Students through Level Differentiated Classes)

  • 신준국;윤상인;김양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8권1호
    • /
    • pp.81-96
    • /
    • 2014
  • 수준별 수업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우선 성취도에 따라 다른 교재(교과서의 재구성)와 수업의 방법이 변화되어야 하나 현실은 같은 교재로 속도의 차이만을 가지고 수준별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성취도가 낮은 중하위권 학생들을 위한 교재와 효율적인 지도방안에 대한 연구는 더욱 시급한 실정이다. 하지만 기존의 수준별 이동수업 내에서 효율적인 교재와 지도법이 개발된다면 그와 같은 수고를 덜고 교육과정 정상화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수학과 학습 부진학생의 학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 수행평가 및 진단평가지, 교과서의 재구성을 통한 교재 개발, 수업일지 등의 자료를 개발하여, 이를 기초학력 부진 학생들의 수업에 직접 적용한다. 그것을 실험반과 비교반을 대상으로 동일한 평가를 실시한 결과, 실험반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가 비교반에 비해 월등히 향상되는 의미있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수준별 수업에서의 중학교 수학 익힘책의 활용 실태

  • 배성수;김영옥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8권2호
    • /
    • pp.251-264
    • /
    • 2012
  • The revised mathematics education curriculum in 2007 decided to introduce mathematics workbooks to the textbook system, which were supplemental textbooks to support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and students' learning in level-based classroom. This study is to find the field status whether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workbooks are currently used in the school to be in line with the original intention and purpose and to discuss the improvement direction and effective utilization idea which modification and amendment shall be made for the effective utilization in the field.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the inquiry survey was made from 75 middle school teachers of the 1st, 2nd and 3rd grade in the middle schools where the moving classing for each level(or class in each level)has been performed with provision of the questionnaire sheet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teachers for the utilization status of the mathematics workbook to solve such study task.

수학과 수준별 이동수업에서 열린수업 모형의 적용에 관한 연구 (On application of open educational model in level based differentiated curriculum)

  • 최식;송영무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41-58
    • /
    • 1998
  • In this paper, we designed an open class teaching model in level-based team arrangements. In this way, teaching lesson plans were newly developed in order to teach students in open classroom environments. Both teachers and students required enough time to be acquainted with the new approach. However, empirical data analyses of mid-term and final examinations as well as survey data mathematical achievements indicated that most of the students have shown interests in mathematical activities and confidences on their mathematical abilities. Furthermore, there were few students who seemed to be isolated from mathematical activities. In particular, most students didn't seem to get lower grades than expected from other teachers who hesitated to apply the new model.

  • PDF

지능을 이용한 가상대학 연구 (A Study on the Virtual University using Intelligence)

  • 홍유식;윤은준;김천식;김원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81-89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가상대학 강의를 온라인으로 수강 할 경우에 난이도를 고려한 학생의 성적을 퍼지규칙을 이용해서 학생 자신의 취약한 과목 및 이해도를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 하였다. 뿐만 아니라, 수준별 학습을 위해서 학생들이 강의실을 이동할 필요 없이 점수에 근거한 수준별 학습 평가방식 및 가상대학교에서 온라인으로 질문을 할 수 있는 쌍방향 지능형 강의 시스템을 소개한다. 컴퓨터 모의 실험결과 쌍방향 가상 수업 시스템이 이해하지 못한 학생을 고려하지 않은 기존의 단방향 가상 수업시스템보다 훨씬 효과적인 것을 입증했다.

  • PDF

제7차 교육과정을 위한 교실배정 종합시스템의 설계 (A Design of the Integrated System of Assigning Classrooms for the 7th Educational Course)

  • 양단희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B)
    • /
    • pp.679-681
    • /
    • 2002
  • 제7차 교육과정은 선택과목을 확대하고 수준별 수업을 유도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중고등학생들이 대학에서처럼 자신이 수강신청한 과목에 따라 교실간에 이동하게 된다. 학교당국과 학생들이 기존 교실 환경내에서 이러한 교육적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적인 보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시간표 작성 , 시설 배치도 작성, 교실 배정, 교실 위치 및 시간표 보기, 그리고 민감도 분석을 위한 통합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EBP를 통한 학습 이해 능력 개선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an Improvement of Learning understanding Ability Throught Practice to Based Evidence)

  • 이동엽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590-593
    • /
    • 2011
  • 본 연구는 물리치료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근거중심의 학습을 통해 학습 이해도와 성취도, 실무능력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연구를 실시하였다. 과학적이고 근거중심의 단계별 수업을 이수한 1학년 대상자인 17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남자와 여자로 구분하여 강의전, 후로 나누었다. 성별에 따른 성취도 분석과 강의 전, 후에 따른 근거중심 학습의 효용성에 관한 특성을 비교하였다. 통계처리 방법으로 실험 전 후 차이를 검증하였고,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근거중심 학습의 필요성, 학습 시너지 효과, 전문학술지 접근도에서 강의 전에 비해 후에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향후 저학년인 1, 2학년 물리치료학과 학생들에게 흥미를 유발하고 동기를 부여하여 저널 탐색을 통한 임상 물리치료에 대한 접근도를 강화시킬 필요가 있고 이를 통해 이론중심의 수업보다 실무중심의 명확한 근거 위주의 수업을 지향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 PDF

초등 과학과 전자교과서 개발에 대한 연구 - 4학년 '열의 이동과 우리 생활'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 for an Elementary Science Subject Focusing 'The Heat Transfer And Our lives')

  • 정미숙;김종우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6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235-240
    • /
    • 2006
  • 정보통신 기술 발달에 따른 사회적 변화는 생활 전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교육 분야에서도 수준별 교육과정을 통하여 자기주도적 학습을 강조하면서 초등 과학과의 목표에서도 과학적 소양의 함양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과학과의 다양한 분야를 직접 실험할 수 없는 문제점 등을 해결 하는 방안으로 전자적 도구의 활용 방안-전자교과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자교과서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초등학교 과학과 '열의 이동과 우리 생활' 단원을 대상으로 전자교과서를 개발하여, 현장 수업을 통해 전자교과서의 학습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