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자원분야

Search Result 95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Building technical and institutional capacities towards new river maintenance (새로운 하천 유지관리를 위한 기술적·제도적 역량 강화 방안)

  • Lee, Sangeun;Park, Jin-Won;Rhee, Dong Sop;Lee, Du Han;Kim, Dong Hyun;Lee, Seung Oh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4 no.11
    • /
    • pp.849-862
    • /
    • 2021
  • Laws, administrative rules, and task manuals have been revised to build a modern river maintenance system in Korea for the last decade. And various researches and technology developments have been carried out to resolve related issues. However, the recent enactment of the new Act and the catastrophe of flood damage in 2020 have accelerated more emphasis on the reorganization and reinforcement of the river maintenance system in terms of political and social aspects. In this study, we suggested promising directions for strengthening the technical and institutional competencies of river maintenance with respect to policy, R&D, planning, and technology. The open discussion was held with the participation of industry, academia, research institutes, and government officials, and all participants conducted the related survey to collect their opinions effectively.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reference to secure the justification for integration of government organizations, planning of R&D, the introduction of new river maintenance, and related technology development when reestablishing and reinforcing the river management system in the future.

Introduction to Soil-grondwater monitoring technology for CPS (Cyber Physical System) and DT (Digital Twin) connection (CPS 및 DT 연계를 위한 토양-지하수 관측기술 소개)

  • Byung-Woo Kim;Doo-Houng Cho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4-14
    • /
    • 2023
  • 산업발전에 따른 인구증가, 기후위기에 따른 가뭄 및 물 부족심화, 그리고 수질오염 등은 2015년 제79차 UN총회의 물 안보측면에서 국제사회의 물 분야 위기관리를 위해 2030년을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로 하였다. 또한, 현재 물 산업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2016년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의장 클라우스 슈밥(Klaus Schwab)부터 주창된 제4차 산업혁명로 인해 현재 물 산업의 패러다임 또한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이는 컴퓨터를 기반으로 하는 CPS(Cyber Physical System) 및 DT(Digital Twin) 연계 분석방식의 혁신을 일컫는다. 2002년경에 DT의 기본개념이 제시되었고, 2006년경에는 Embedded System에서의 DT와 같은 개념으로 CPS의 용어가 등장했다. DT는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사물, 시스템, 환경 등을 S/W시스템의 가상공간에 동일하게 모사(Virtualization) 및 모의(Simulation)할 수 있도록 하고, 모의결과를 가상시스템으로 현실세계를 최적화 체계 구현 기술을 말한다. DT의 6가지 기능은 ① 실제 데이터(Live Data), ② 모사, ③ 분석정보(Analytics), ④ 모의, ⑤ 예측(Predictions), ⑥ 자동화(Automation) 이다. 또한, CPS는 대규모 센서 및 액추에이터(Actuator)를 가지는 물리적 요소와 이를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컴퓨팅 요소가 결합된 복합시스템을 말한다. CPS는 물리세계에서 발생하는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통해 환경인지 기능을 수행한다.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와 물리세계를 재현 및 투영하는 고도화된 시스템 모델들을 기반으로 사이버 물리공간을 인지·분석·예측할 수 있다. CPS의 6가지 구성요소는 ① 상호 운용성(Interoperability), ② 가상화(Virtualization), ③ 분산화(Decentralization), ④ 실시간(Real-time Capability), ⑤ 서비스 오리엔테이션(Service Orientation), ⑥ 모듈화(Modularity)이다. DT와 CPS는 본질적으로 같은 목적, 내용, 그리고 결과를 만들어내고자 하는 같은 종류의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CPS 및 DT는 물리세계에서 발생하는 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토양-지하수 센서를 포함한 관측기술을 통해 환경인지 기능을 수행한다. 지하수 관측기술로부터 수집된 정보와 물리세계를 재현 및 투영하는 고도화된 시스템 모델들을 기반으로 사이버 물리공간 및 디지털 트윈 공간을 인지·분석·예측할 수 있다. CPS 및 DT의 기본 요소들을 실현시키는 것은 양질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정확하고 정밀한 1차원 연직 프로파일링 관측기술이며, 이를 토대로 한 수자원 관련 빅데이터의 증가, 빅데이터의 저장과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의 개발이다. 본 연구는 CPS 및 DT 기반 토양수분-지하수 관측기술을 이용한 지표수-지하수 연계, 지하수 순환 및 관리, 정수 운영 및 진단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토양수분-지하수 관측장치를 지하수 플랫폼 동시성과 디지털 트윈 시뮬레이터 시스템 개발 방향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Machine Learning Based Precipitation Imputation Method (머신러닝 기반의 강우추정 방법 개발)

  • Heechan Han;Changju Kim;Donghyun Kim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5 no.3
    • /
    • pp.167-175
    • /
    • 2023
  • Precipitation data is one of the essential input dataset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wetland management, hydrological simulation, and water resource management. In order to efficiently manage water resources using precipitation data, it is essential to secure as much data as possible by minimizing the missing rate of data. In addition, more efficient hydrological simulation is possible if precipitation data for ungauged areas are secured. However, missing precipitation data have been estimated mainly by statistical equ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method to restore missing precipitation data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hat can predict new data based on correlations between data. Moreover, compared to existing statistical methods, the applicability of machine learning techniques for restoring missing precipitation data is evaluated. Representative machine learning algorithms,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and Random Forest (RF), were applied. For the performance of classifying the occurrence of precipitation, the RF algorithm has higher accuracy in classifying the occurrence of precipitation than the ANN algorithm. The F1-score and Accuracy values, which are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classification model, were calculated as 0.80 and 0.77, while the ANN was calculated as 0.76 and 0.71. In addition, the performance of estimating precipitation also showed higher accuracy in RF than in ANN algorithm. The RMSE of the RF and ANN algorithms was 2.8 mm/day and 2.9 mm/day, and the values were calculated as 0.68 and 0.73.

Water temperature prediction of Daecheong Reservoir by a process-guided deep learning model (역학적 모델과 딥러닝 모델을 융합한 대청호 수온 예측)

  • Kim, Sung Jin;Park, Hyungseok;Lee, Gun Ho;Chung, Se 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88-88
    • /
    • 2021
  • 최근 수자원과 수질관리 분야에 자료기반 머신러닝 모델과 딥러닝 모델의 활용이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딥러닝 모델은 Blackbox 모델의 특성상 고전적인 질량, 운동량, 에너지 보존법칙을 고려하지 않고, 데이터에 내재된 패턴과 관계를 해석하기 때문에 물리적 법칙을 만족하지 않는 예측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딥러닝 모델의 예측 성능은 학습데이터의 양과 변수 선정에 크게 영향을 받는 모델이기 때문에 양질의 데이터가 제공되지 않으면 모델의 bias와 variation이 클 수 있으며 정확도 높은 예측이 어렵다. 최근 이러한 자료기반 모델링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프로세스 기반 수치모델과 딥러닝 모델을 결합하여 두 모델링 방법의 장점을 활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Read et al., 2019). Process-Guided Deep Learning (PGDL) 방법은 물리적 법칙을 반영하여 딥러닝 모델을 훈련시킴으로써 순수한 딥러닝 모델의 물리적 법칙 결여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활용되고 있다. PGDL 모델은 딥러닝 모델에 물리적인 법칙을 해석할 수 있는 추가변수를 도입하며, 딥러닝 모델의 매개변수 최적화 과정에서 Cost 함수에 물리적 법칙을 위반하는 경우 Penalty를 추가하는 알고리즘을 도입하여 물리적 보존법칙을 만족하도록 모델을 훈련시킨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청호의 수심별 수온을 예측하기 위해 역학적 모델과 딥러닝 모델을 융합한 PGDL 모델을 개발하고 적용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역학적 모델은 2차원 횡방향 평균 수리·수질 모델인 CE-QUAL-W2을 사용하였으며, 대청호를 대상으로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총 2년간 수온과 에너지 수지를 모의하였다. 기상(기온, 이슬점온도, 풍향, 풍속, 운량), 수문(저수위, 유입·유출 유량), 수온자료를 수집하여 CE-QUAL-W2 모델을 구축하고 보정하였으며, 모델은 저수위 변화, 수온의 수심별 시계열 변동 특성을 적절하게 재현하였다. 또한, 동일기간 대청호 수심별 수온 예측을 위한 순환 신경망 모델인 LSTM(Long Short-Term Memory)을 개발하였으며, 종속변수는 수온계 체인을 통해 수집한 수심별 고빈도 수온 자료를 사용하고 독립 변수는 기온, 풍속, 상대습도, 강수량, 단파복사에너지, 장파복사에너지를 사용하였다. LSTM 모델의 매개변수 최적화는 지도학습을 통해 예측값과 실측값의 RMSE가 최소화 되로록 훈련하였다. PGDL 모델은 동일 기간 LSTM 모델과 동일 입력 자료를 사용하여 구축하였으며, 역학적 모델에서 얻은 에너지 수지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Cost Function에 Penalty를 추가하여 물리적 보존법칙을 만족하도록 훈련하고 수심별 수온 예측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 PDF

Performance improvement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based water quality prediction model using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설명가능한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인공신경망 기반 수질예측 모델의 성능향상)

  • Lee, Won Jin;Lee, Eui H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6 no.11
    • /
    • pp.801-813
    • /
    • 2023
  • Recently, as studies about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are actively progressing, studies for predicting water quality of rivers using ANN are being conduct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analyze the operation process inside ANN, because ANN is form of Black-box. Although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XAI) is used to analyze the computational process of ANN, research using XAI technology in the field of water resources is insufficient. This study analyzed Multi Layer Perceptron (MLP) to predict Water Temperature (WT), Dissolved Oxygen (DO), hydrogen ion concentration (pH) and Chlorophyll-a (Chl-a) at the Dasan water quality observatory in the Nakdong river using Layer-wise Relevance Propagation (LRP) among XAI technologies. The MLP that learned water quality was analyzed using LRP to select the optimal input data to predict water quality, and the prediction results of the MLP learned using the optimal input data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selecting the optimal input data using LRP, the prediction accuracy of MLP, which learned the input data except daily precipitation in the surrounding area, was the highest. Looking at the analysis of MLP's DO prediction results, it was analyzed that the pH and DO a had large influence at the highest point, and the effect of WT was large at the lowest point.

Spatial Estimation of Satellite-based Landcover Classification in Han River Watershed (인공위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한강 유역 토지 피복의 공간 분포 산정)

  • Choi, Minha;Han, Seungjae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70-170
    • /
    • 2011
  • 토지피복은 지표면의 물리적 상태 및 사용 용도에 따른 특성을 나타내는 기본적인 정보로 농업, 환경, 재해, 수자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식생활동으로 인해 생기는 증산과 토양에서 일어나는 증발을 증발산이라 통칭하며, 이의 정확한 산정은 수리, 수문학적 유역 분석에 중요하다. 정확한 증발산의 산정을 위해서는 기압, 온도 등 기상 인자의 역할이 중요하지만 토지피복 특성 역시 증발산에 큰 영향을 주므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는 인간의 활동에 의해 점차적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추세이므로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정보의 취합 및 관리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andsat 5 TM(Thematic Mapper) 영상을 기반으로 무감독 분류법을 이용하여 ISODATA Training과 Masking기법을 사용하여 한강 유역의 토지피복도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 지역의 영상을 사용하였고, 토지의 분류는 수역, 시가, 나지, 습지, 초지, 산림, 농지의 7가지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대다수를 이루는 수역, 시가, 산림, 농지에 대한 높은 정확도를 갖는 토지피복도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는 군사경계 외부의 지역도 포함된 결과이다. 단, 나지와 습지, 초지 부분의 정확도는 비교적 떨어지나, 우리나라의 토지특성상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지 않으므로 신뢰할 만한 결과라 할 수 있겠다. 이 결과와 외부 자료를 이용하여 보다 향상된 토지피복도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토대로 군사지역 등 접근이 어려운 지역의 토지피복 현황을 파악하여 정확한 증발산 산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Grid Size to Extract Topographical Parameters by DEM (DEM에 의한 지형인자 추출에 따른 격자크기의 영향에 관한 연구)

  • Jeong, In-Ju;Lee, Jung-Min;Kim, Sang-Yong;Lee, Jong-Chool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0 no.2 s.20
    • /
    • pp.67-75
    • /
    • 2002
  • Recently, GIS tend to be studied in water resoruces field. In hydrology analysis, GIS propose way that can develop subjective element of designer objectively. The development project is conducting disaster effect estimation to breed disaster, and cope these disaster beforehand provoking soil erosion and food recently. In this study, receive value of LS factor through DEM data at volume of soil erosion computation by disaster effect estimation and whether it are some relation effect of gradient and change of soil erosion by grid size did comparative analysis. As a result, according as grid size great, gradient became slow and could know that error value of gradient great according as storing scale of digital topographical map grows.

  • PD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 Based on Spatio-Temporal Information (시.공간정보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 Choi, Hyun-Ah;Lee, Woo-Kyun;Kwak, Han-Bin;Choi, Sung-Ho;Byun, Jae-Gyun;Yoo, Sung-Jin;Cui, Guishan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11 no.3
    • /
    • pp.63-69
    • /
    • 2009
  • Climate change has influenced on various sectors including ecosystem, water resource, natural hazards and health and so on. Thus, it is essential to more accurately assess climate change impact and prepare adaptation strategy. However, it is difficult to assess for climate change impact on various sectors with integrated form due to various data format by sectors. In this study, we prepared criteria and indicators for assessing climate change impact and integrated GIS based data which in correspond to indicators based on spatio-temporal information using GIS. Finally we suggest a guideline to assess vulnerability of each sectors to climate change based on integrated spatio-temporal information.

  • PDF

A Stochastic Generation of Synthetic Monthly Flow by Disaggregation Model (Disaggregation 모형에 의한 월유량의 추계학적 모의발생)

  • 박찬영;서병하
    • Water for future
    • /
    • v.19 no.2
    • /
    • pp.167-180
    • /
    • 1986
  • Disaggregation model has recently become a major technique in the field of synthetic generation and the model is possibly one of the most widely acepted tools in stochastic hydrology. The application of disaggregation model is evaluated with the streamflow data at the Waegwan and Hyunpung stage gaugin station on the main stem of the Nakdong River. The disaggregation process of annual streamflow data and the method of parameter estimation for the model is reviewed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generated monthly streamflows such as a computation of moment estimation of covariance and correlogram analysis is made. The results, disaggregated monthly streamflow, obtained by Disaggregation Basic Model for single site are compared with the historical streamflow data and also with the other model, Thomas-Fiering Model. The generated monthly streamflow data by two models have been investigated and verified by comparision of mean and standard deviation between the historical and generated data.

  • PDF

A Study on Extraction of the Topographical Parameters Using HEC-GEOHMS and DEM (HEC-GEOHMS와 DEM을 이용한 지형인자 추출에 관한 연구)

  • Lee, Jung-Min;Jeong, In-Ju;Kim, Sang-Y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1 no.1 s.24
    • /
    • pp.39-44
    • /
    • 2003
  • Recently, GIS has been increasing its applicability in water resource field. The GIS based modeling process can generally be used for extracting channel network and watershed delineation. Through the overlay analysis, the extracted channel network can be overlayed with topographic and landuse maps to generate the input files for running a hydrologic model. This lead to consider GIS as a tool which can include subjective factors of the model designers in hydrologic analysis. Therefore, this study has compared GIS based HEC-GEOHMS with the classical approach. In general, both approaches have similar results, however, HEC-GROHMS has showed some errors. Based on the results, a GIS based approach could be more effective method with better credibility to obtain input parameters from topographic information as subsequent efforts were made to lessen the erro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