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은농도

검색결과 254건 처리시간 0.029초

임신 중 수은을 섭취한 CD-1 마우스 태아의 성장발육과 기형발생에 미친 티아민의 효능 평가 (The effect of thiamin on fetal growth and development in CD-1 mice exposed with mercury for the gestation period)

  • 김진석;최석화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9-75
    • /
    • 1994
  • 수은에 의한 기형발생은 이미 밝혀졌으나 이에 대한 치료가능 약제들의 효과에 대하여는 아직 밝혀진바 없다. 임신한 CD-1마우스에 20ppm의 수은(methylmercuic chloride)을 음수를 통해 임신 6일째 부터 15일 사이에 투여하고 이와 동시에 투여계획에 따라 기존 치료제 BAL과 티아민(thiamin)을 피하로 투여한 후 임신 18일째에 제왕절개술을 실시하였다. 티아민(200mg/체중 kg)과 BAL(5.0mg/체중 kg) 그리고 티아민과 BAL의 병용치료군의 태아는 체중과 두부-둔부 길이 그리고 태반의 무게가 수은 단독 투여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무겁거나 길어 대조군에서 보인 수치에 가까왔다. 죽은 태아/재흡수율과 기형인 태아 발생율은 티아민과 BAL 치료군에서 감소되었으며 투여용량이 높을수록 발생율이 낮았다. 또한 높은 농도의 티아민과 BAL은 어미 마우스의 사료 및 음수섭취량을 증가시켰으며 간의 상대적 무게도 증가 시켰다. 이 연구 결과는 티아민을 단독 또는 키레이트제재와 병용투여할 경우 수은에 의한 기형발생을 감소시키거나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

지역사회 주민의 당화혈색소와 중금속 생체표지자와의 관련성 (The Association between HbA1c and the Biological Exposure Index for Heavy Metals in Community)

  • 민영선;이관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7권3호
    • /
    • pp.181-188
    • /
    • 2022
  • 당뇨병 발생에는 생활습관이나 생활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원인들이 있는데 최근 연구에서 중금속에 많이 노출된 사람에서 당뇨병 발생 및 당뇨병의 악화가 늘어났다는 역학적 연구가 많이 발표되고 있다. 이에 국내 대규모 철강공업단지를 가진 일개 도시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당화혈색소와 체내 중금속의 상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08~2009년 연구대상 총 414명에 대한 설문조사와 생체시료를 채취하였다. 설문은 성별, 연령, 인구학적 특성, 흡연, 음주, 직업, 당뇨진단 유무 등의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혈액을 채취하여 HbA1c, 혈중 납 농도를 측정하였고, 소변을 채취하여 요중 카드뮴, 무기비소, 수은 농도를 측정하였다. HbA1c는 6.5%기준으로 미만군과 이상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중금속별 10분위수부터 90분위수 농도에 해당하는 기준으로 미만군과 이상군 등 두 군을 분류하였다. 당뇨관련검사 결과 HbA1c 6.5% 기준으로 이상군은 남자 14(9.9%)명, 여자 17(6.2%)명이었다. 혈중 납의 기하평균 농도는 2.48 (1.80) ㎍/dl, 요중 카드뮴의 기하평균농도는 1.20 (2.26) ㎍/g creatinine, 요중 무기비소의 기하평균농도는 12.08 (1.80) ㎍/g creatinine, 요중 수은의 기하평균농도는 1.63 (2.23) ㎍/g creatinine 이었다. 연령, 지역, 성별, 흡연으로 보정하였을때 요중 카드뮴 농도 30분위수 이상군이 미만군에 비하여 교차비 5.26(95% 신뢰구간 : 1.44~19.17)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납, 무기비소, 수은은 HbA1c(6.5% 기준) 변수와의 교차분석에서 유의한 분포 차이는 없었다. 여러 요인을 보정하고도 요중 카드뮴과 HbA1c의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고, 특히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요중 카드뮴 농도의 특정 컷오프 값을 찾아내어 이를 통해 우리나라에 적합한 생물학적 노출값 설정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염화메틸수은에 폭로된 임신 흰쥐에서 모체와 태자의 장기에 축적된 수은농도의 비교 (Comparison of the Mercury Levels Between Maternal and Fetal Organs in Pregnant Fisher-344 Rats)

  • 이진헌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9-48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ercury accumulated at maternal and fetal organs, and compare its levels between maternal and fetal organs on day 20 of gestation, in pregnant Fisher-344 rats which given orally methylmercuric chloride on day 7 of gestation. Pregnant rats were divided four groups by dose: control group, and methylmercuric chloride treatment groups of 10, 20 and 30 mg/kg, respectively.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I The mercury concentrations in maternal organs were the highest in kidney, and followed by blood, spleen, liver and brain. 2. The slopes of regression equation among mercury dose levels in maternal organs were as follows: Kidney 3.62 (r$^2$=0.943), Blood 2.75 (r$^2$=0.941), Spleen 2.49 (r$^2$=0.990), Liver 1.13 (r$^2$= 0.949), Brain 0.33 (r$^2$=0.984). 3. The mercury concentrations in fetal organs and placenta were the highest in liver, and followed by kidney, placenta and brain. 4. The slopes of regression equation among mercury dose levels in fetal organs and placenta were as follows: Liver 1.79 (r$^2$= 0.968), Kidney 0.79 (r$^2$= 0.976), Placenta 0.68 (r$^2$= 0.920), Brain 0.52 (r$^2$= 0.978), All Body 0.58 (r$^2$= 0.941). 5. As to the mercury levels in kidney, dams were 4.8~14.9 times higher than fetus. But as to the mercury levels in liver and brain, fetus were 1.6~2.5 and 1.5~1.9 times higher than dams. In conclusion, the mercury which exposured to pregnant rats can easily pass through the placenta and accumulated in fetus, especially higher in fetal liver and brain.

  • PDF

가을철 영일만 해수중의 철분량과 그 분포 (The Concentration And Distribution Of Iron In Yeongil Bay Water Of Korea, Late October)

  • 곽희상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8-53
    • /
    • 1977
  • 우리 나라 주변해역에서 해수중의 중금속류조사 실적을 살펴보면 원과 박(1970)이 완도 김밭에서 수질ㅇ르 조사할 때 soluble iron을 조사했고, 이 등(1969)이 인천, 여수, 군산, 한산도, 강릉 등지의 수질을 조사할 때 구리의 함량을 조사한 일이 있다. 그러나 본격적으로 중금속류를 조사한 것은 김과 원(1974)이 수영만의 해수와 해조류 에서 구리, 수은, 납, 카드뮴을 조사한 것이 최초이며, 그 후 곽과 이(1975)가 진산 마산해역에서 겨울철에 해수중의 전철분, 구리, 아연, 납, 수은, 카드뮴의 분포를 조사했고, 원등(1976)이 울산만의 해수중에서 수은, 카드뮴, 구리, 납, 아연의 농도분포를 조사한 것이 전부다. 영일만의 조사로는 최와 정(1966)의 $C^{14}$법에 의한 생산력 측정과 최(1967)의 식물성플랭크톤분류, 홍 등(1971)과 황 등(1972)의 일반해양학적조사, 한 등(1974 a,b,1975)의 수질조사 그리고 곽(1976)이 가을철에 일반해양학적 특징을 조사한 일이 있을 뿐이다. 이와 같이 철분에 대한 자세한 조사가 우리 주변해역에서는 없었으므로 가을철에 영일만내 해수중의 각종 철분량을 조사하여 그 분포양상을 보고한다.다.

  • PDF

모 수은폭로 사업장의 작업환경개선에 의한 근로자의 요중 수은 및 공기중 수은 농도의 추적조사 연구 (A Follow up Study on the Mercury Concentration in Air and in Urine of Workers after Implementing Controls of Work Environment in Mercury Vapor Exposed Industry)

  • 방신호;김광종;박종태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98-207
    • /
    • 1994
  •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environmental intervention of work place, metal mercury concentration in air and in urine of the total 43 workers for 3years from December 1991 to October 1993 in a fluorescent lamp manufacturing industry exposed to mercury,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implementation of controls such as establishing exhaust ventilation at the department of exhaustion, coating the floor of work place with epostane, cleaning of the floor, improved housekeeping, and etc.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Before the intervention(December 1991) 39.0% exceeded metal mercury Threshold Limit Value(TLV, $0.05mg/m^3$). After the intervention(October 1993) 10.0% exceeded TLV and geometric mean of mercury in air was $0.1mg/m^3$, and showed effectiveness rate of intervention to be 74.4% 2. After the intervention, geometric means of mercury concentrations in air were 0.013, $0.019mg/m^3$ and showed effectiveness rate of intervention to be 76.6%, 65.5% in A factory(right tube lamp)and at exhaustion department, respectively, A follow up survey fr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s in mercury concetration in air three years later. 3. Mercury concentration in urine of 11 workers(29.7%) exceeded warning level of $100{\mu}l/l$ before the intervention. After the intervention, of 3workers(8.8%) exceeded warning level and geometric mean of mercury concentration($26.5{\mu}l/l$) in urine was 2.4 times than that of before the intervention. Geometric means of mercury concentrations in urine of workers at exhaustion department, at sealing and aging department were 44.0, $77.7{\mu}l/l$, respectively and they decreased 2.3, 3.2 times than that of before the intervention.

  • PDF

서울시 대기 중 수은농도의 장기변동 특성 1997~2002 (The Long-term Variation Patterns of Atmospheric Mercury in Seoul, Korea from 1997 to 2002)

  • 김민영;김기현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79-189
    • /
    • 2003
  • The concentration of gaseous elemental mercury (Hg) was measured concurrently with relevant environmental parameters from Yang-Jae monitoring station in Seoul during Sept. 1997 to June 2002. Although data collection was disrupted for certain periods, the grand mean concentration of Hg for this five year period was found at 5.32 $\pm$ 3.53 ng m$^{-3}$ (N = 27,170). Because of short resolution of data acquisition, we were able to examine the temporal variability of Hg at varying time scale. The diurnal variability of Hg, when investigated for each of those five years, indicated consistently the dominance of nighttime over daytime. If examined at seasonal scale, Hg level was systematically higher during winter/spring than summer/fall period. The results of this short-term variability were best explained by the combined effects of such factors as meteorological conditions (formation of inversion layer and seasonal changes) and anthropogenic source processes. However, examination of long-term variation Pattern was much more complicated to explain. Thus, extension of our study is needed to diagnose the future direction in long-term trend of Hg behavior.

부검체 두발과 장기의 중금속 오염농도 관련성 (A Note on Relationship between Strengths of Heavy Metals Contamination in Scalp Hair and Organs from Autopsy Subjects)

  • 이원기;송명언;송재기;이성국;박성화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0권1호
    • /
    • pp.215-222
    • /
    • 1999
  • 많은 역학조사에서 두발을 이용하여 체내 중금속 오염 정도를 알아보는 방법이 유용한 것으로 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61구의 부검체를 이용하여 다변량기법으로 두발과 장기의 수은 및 카드늄 축적정도를 측정하여 상호간 관련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수은의 경우 두발에서의 축적정도와 2차 축적장기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적하수은전극을 이용한 미토콘드리아 및 Submitochondrial particles의 호흡활성측정 (Determination of Respiratory Activity of Mitochondria and Submitochondrial Particles by Using Dropping Mercury Electrode)

  • 정진;박상규;이상기;김세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8권4호
    • /
    • pp.271-277
    • /
    • 1985
  • 소량의 시료로서 미토콘드리아 및 SMP호흡의 속도론적 연구에 이용할 수 있는 적하수은전극 polarograph를 제작하여 그 성능, 실험조건 및 응용성을 검토하였다. 산소의 제 2단계환원이 일어나는 전위 (약 -1.2 vs SCE)는 막에 결합된 환원성물질의 환원전류로 해석되는 상당한 크기의 잔존전류를 일으키기 때문에 부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산소의 제 1단계환원이 일어나는 -0.4V(vs SCE)하에서는 잔존전류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산소농도의 변화는 정량적으로 추적되었다. 호흡기질의 농도를 충분히 크게 유지하는한 호흡에 의한 용존산소 소모는 O차반응의 처리가 가능하였으며, 그속도 상수와 미토콘드리아 호흡활성간에는 비례관계가 성립되었다. 내냉성이 서로 다른 몇가지 식물조직으로부터 분리한 미토콘드리아의 호흡활성에 미치는 온도효과를 조사하고 호흡활성전이온도를 측정하므로서 제작한 장치의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 PDF

임신 중 수은을 섭취한 CD-1 마우스 태아의 성장발육과 기형발생에 미친 셀레늄의 효과 (The effects of selenium on fetal growth and development in CD-1 mice exposed with mercury for the gestation period)

  • 김진석;이상목;최석화;이원창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61-368
    • /
    • 1994
  • 기형발생을 나타내는 수은의 독성에 대하여는 이미 보고된 바 있으나 임신중에 폭로된 수은의 독작용을 완화시키거나 치료할 수 있는 제재들에 대하여는 별로 알려진 바가 없다. 수은에 대한 셀레늄의 치료적인 상호작용에 대하여는 이미 보고된바 있으나 태아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임신한 CD-1마우스에 20ppm 농도의 유기수은을 음수를 통하여 투여한후 동시에 sodium selenite(체중 kg당 0.1mg, 0.2mg, 0.3mg, 피하주사) 또는 BAL(체중 kg당 5.0mg, 피하주사)을 임신 6일째부터 15일 사이에 단독 또는 병용 투여한 후 임신 18일째에 제왕절개술을 실시하였다. 수은단독 투여군에서는 태아의 체중 및 두부-둔부의 길이 그리고 태반의 무게가 투여를 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감소하였고 태아의 사망/재흡수 발생과 기형발생(특히 구개열)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셀레늄과 BAL의 단독 또는 병용투여는 수은에 의하여 발생된 태아에 대한 독작용을 억제하거나 감소시키고 기형발생 역시 유의성있게 감소시켰으나 투여용량 그리고 투여계획과는 특이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모체의 수은중독 결과로 보이는 모체의 음수, 사료섭취량과 모체의 상대적 기관(간장, 신장, 비장) 무게의 감소도 셀레늄과 BAL의 투여로 증가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세레늄을 단독 또는 BAL과 같은 기존치료제와 함께 투여할 경우 수은에 의한 기형발생이나 모체의 아급성 중독 증세를 감소시키거나 완화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

CuCl2가 담지된 V2O5-WO3/TiO2 SCR 촉매에 의한 수은 및 NOx 동시 제거에서 SO2의 영향 (Effect of SO2 on the Simultaneous Removal of Mercury and NOx over CuCl2-loaded V2O5-WO3/TiO2 SCR Catalysts)

  • 함성원
    • 청정기술
    • /
    • 제28권1호
    • /
    • pp.38-45
    • /
    • 2022
  • HCl에 의한 원소수은 산화활성을 크게 억제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NH3가 존재하는 SCR조건에서도 CuCl2가 담지된 V2O5-WO3/TiO2 촉매는 원소수은의 산화에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더구나, HCl과 함께 SO2가 반응가스에 존재할 경우에 촉매표면에 담지된 CuCl2가 CuSO4로 변환되는데도 불구하고 뛰어난 원소수은 산화활성이 유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HCl 뿐만 아니라 촉매 표면에 생성된 SO4 성분이 원소수은의 산화를 촉진시키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SO2 존재 하에서는 촉매반응 전후의 전체 수은 수지가 맞지 않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특히 SO2 농도가 높을수록 심하게 나타났다. 이의 원인 파악을 위해서는 수은 종 분석 방법으로 적용된 SnCl2 수용액에서 SO2의 영향과 촉매표면에 생성되는 황산이온이 원소수은 산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SO2는 NOx 제거 활성도 촉진시키는 것으로 확인되는데 이는 SO2에 의해 촉매 표면에 생성된 SO4에 의한 산점 증가가 NH3 흡착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다양한 반응조건에서 촉매 성분의 조성과 구조 변화는 XRD와 XRF로 측정하였으며 이들 측정 결과는 SO2가 본 촉매시스템에서 원소수은의 산화 활성과 NOx 제거 활성을 증진시키는 현상을 합리적으로 설명하는 근거로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