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위 감시

Search Result 55,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DCS-GRAPHIC 설계로 인한 원자력발전소 터빈운전원의 운전능력 향상

  • 박종범;양승권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401-406
    • /
    • 1997
  • 발전소 기동 및 저출력 운전시 원자력발전소(PWR) 터빈운전원(T/O)들은 증기발생기 수위제어를 위해 배전반(MCR)에 증기발생기 수위제어 관련 경험이 있는 운전원 3명 이상이 좁은 보드앞에서 각자 S/G A, B, C의 주요 파라미터들을 감시하며 수동운전하게 된다. 이렇게 운전원들이 많은 위험부담을 안고 수동운전하는 이유는 증기발생기 수위제어는 증기발생기 내부의 광역수위 측정범위가 약 14.2(m)이고, 주요 제어변수를 측정하는 협역수위는 약 3.2(m)로 매우 적어서 물의 Swell, Shrink 현상과 급수온도의 영향으로 제어하기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DCS(Distributed Control System)내의 한 부분인 공정감시제어를 위한 MMI(Man Machine Interface) Software를 사용하면 한사람이 증기발생기 수위제어 전 계통의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과거나 현재의 변화 추이 및 문제점 분석은 물론, 계통의 결함 발생시 경보가 발생하여 경보발생 화면을 선택할 경우 어느 부분에서 결함이 발생했는지를 보여준다. 만약 이 화면을 운전원이 아닌 현장 Engineer가 보았을 경우는 결함부분의 확인 및 결함카드 보수가 가능하여 운전원들의 작업부담 감소와 이로 인한 다른 계통 점검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 PDF

개량형 경수로 격납용기내 재장전수탱크의 수위계측기 선정

  • 한규성;박순희;최현호;김인식;손갑헌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a
    • /
    • pp.550-555
    • /
    • 1996
  • 기존 발전소의 재장전수탱크는 격납용기 외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압력/차압 계측기를 이용하여 재장전 수탱크 수위를 측정하고 있다. 한편, 개량형 경수로기 경우에는 재장전수탱크를 격납용기 하부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격납용기 벽이나 수집체적조 및 원자로 공동과 인접하게 되어 수위감시를 위한 압력/차압 계측기를 격납용기내에 설치하는 것은 매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격납용기내 재장전수탱크, 수집체적조 및 원자로 공동 수위계측기에 적용되는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 및 전력연구소의 설계기준, 환경 및 기기생존 요건들을 검토한 후, 이에 따라 이 계측기들이 유지해야 할 설계 기능요건을 평가하고, 수위계측기의 형태 선정에 필요한 설계고려사항들을 파악하여 개량형 원자로의 해당 수위계측기의 선정 및 설계와 관련된 개념들을 설명하였다. 검토결과, 격납용기내 재장전수탱크 수위지시를 위해서는 압력/차압 계측기를 격납용기 외부에 설치하고, 수집체적조 및 원자로 공동의 수위감시를 위해서는 부유형 감지기를 사용하는 것이 발전소 운전 및 보수측면에서 장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이를 개량형 경수로 설계에 적용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Practical Application of Image Stage Gauge (영상수위계 실용화)

  • Kim, Won;Kim, Chi-Young;Lee, Chan-Joo;Kim, D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560-564
    • /
    • 2007
  • 하천 수위 측정을 위해서 우물통을 기본으로 하는 부자식, 초음파식, 기포식, 압력식, 레이다식 등 다양한 장비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장비는 모두 간접적인 방법으로 수위를 측정하기 때문에 기준값을 바탕으로 보정이 필요하며, 장비의 특성에 따라 여러 가지 장단점을 지니고 있다. 부자식의 경우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안정적으로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는 있으나 우물통 막힘 등으로 인해 오측 혹은 결측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센서식 장비의 경우에는 센서에 대한 정기적인 보정이 필요하며, 일부 장비의 경우 온도에 따라 측정값이 변화하는 단점이 있다. 수위 측정 방식은 접촉식과 비접촉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접촉식의 경우 물속에 센서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홍수시 센서 유실 및 고장의 우려가 있으며, 잦은 고장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비접촉 방식인 초음파나 레이다 수위계의 경우 온도에 따라 보정이 필요하거나 수면과의 거리에 커지면 오차가 커지는 경향을 지니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간접방식에 의한 수위측정 방법은 수위가 많이 변화하는 경우 실제 수위와 측정되는 수위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한 단점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많이 일반화되고 있는 영상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수위를 측정하는 장비인 영상수위계를 개발하였다. 영상수위계는 카메라(CCTV 포함)에 의해서 수위표를 촬영하여 직접 수위값으로 변환하는 원리를 사용하고 있어서 기존 수위측정 시설과는 달리 수위표를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수위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측정된 수위를 검증할 수 있어 수위측정의 정확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수위표 영상과 더불어 수위표 주변의 전체 영상을 동시에 촬영하여 실시간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홍수시 하천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영상수위계는 한강홍수통제소 관할의 전류, 청담대교 등 4개소 낙동강 홍수통제소 2개소, 지자체 등에 적용되었으며, 적용 결과 비교적 안정적이면서 정확하게 수위를 측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기존 CCD 카메라 이외에 CCTV를 이용한 영상수위계를 개발하여 영상의 화질 개선뿐 아니라 하천화상 감시 기능을 강화하였다.

  • PDF

Remote Water Level Monitoring System Based on Reflected Optical Power Detection with an Optical Coupler for Spent Fuel Pool at Nuclear Power Plant (전력상실시 광분배기 기반의 반사광 측정을 통한 사용후핵연료 저장조의 원격 수위 감시방법)

  • Kim, Sung-Man;Lee, Hoon-Ke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4 no.3
    • /
    • pp.505-512
    • /
    • 2019
  • We propose a new method to monitor the water level of spent fuel pool in a nuclear power plant without electric power. We also analyze the performance and limitation of the proposed method. Our method is based on the reflected optical power at the end of optical fiber through a $1{\times}N$ optical coupler. We reveal that there is no problem to monitor the water level when using a $1{\times}8$ optical coupler. However, when a $1{\times}16$ optical coupler is used, only 15 out of 16 output ports can be used due to Rayleigh back-scattering. When a $1{\times}32$ optical coupler is used, only 25 out of 32 output ports can be used to monitor the water level.

A Study on the Water Withdrawal Permit Rate and Monitoring Well Management of Bottled Water Manufacturers (먹는샘물 제조업체의 취수량 및 감시정 관리에 관한 고찰)

  • Son, Doo Gie;Park, Seunghyuk;Jeong, Gyo-Cheol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9 no.3
    • /
    • pp.329-337
    • /
    • 2019
  • Bottled water companies in Korea are required to conduct a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their drinking water supply at least six months before the expiration of their five-year marketing and production license. The water level drawdown, production well water quality, and monitoring well observation results are the most important items that are evaluated in the assessment report. Here we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ell drawdown and pumping capacity with pumping time from the production wells of bottled water manufacturers located in Cretaceous granite (site A) and Precambrian gneiss (site B). The method to reduce the pumping capacity is more effective in decreasing the drawdown than the method to simultaneously control the pumping and recovery times. Furthermore, the monitoring data from the pH monitoring sensors that were installed in Precambrian gneiss (site C) yield pH values that increase with time and eventually plateau at a certain value. We therefore propose that pH monitoring is either discontinued or improved to provide more reliable and usable results.

Computer Vision based Water-level Detection (컴퓨터 비전 기반의 수위 검출 시스템)

  • Hwang, Ung;Yoo, Jongsang;Jeong, Je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3.06a
    • /
    • pp.303-306
    • /
    • 2013
  • 최근 후쿠시마 원전, 쓰나미, 홍수와 눈사태와 같은 자연 재난들의 발생으로 인해 엄청난 수의 사상자와 막대한 재산피해가 초래되었다. 이런 재난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자동화된 조기 경보 시스템의 연구, 지능형 영상감지 기술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지능형 영상감시기술을 적용하여 재난유형별 위험상황을 감지, 판독, 분석, 표출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고자 통합된 카메라 영상정보를 활용하여 영상변화를 감지하여 자동식별과 판독을 통해 기준 값 이상의 변화감지 시 경보알림 및 해당 영상 표출을 제공하였다. 본 논문은 기존의 수위상승 감지는 수위계나 교량에 표시된 수위표의 숫자를 읽어 자동적으로 위험을 알려주거나 사람이 수위감지를 위해 설치된 카메라를 모니터링 하여 위험을 감지하도록 되어있던 점을 개선하여 기존 수위감지 목적으로 설치된 카메라의 영상을 분석하여 수위상승 위험을 알려주는 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 PDF

Review of Earthquake Studies Associated with Groundwater by Korean Researchers (국내 연구진의 지하수를 이용한 지진 연구 동향 분석)

  • Yun, Sul-Min;Hamm, Se-Yeong;Cheong, Jae-Yeol;Lee, Hyun A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43 no.1
    • /
    • pp.165-175
    • /
    • 2022
  • Earthquakes have occurred owing to movements on a fault since several billion years ago.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thquakes and groundwater began in the 1960s in the United States, but related works, including hydrogeochemistry research, only began in the 2010s in South Korea. In this study, domestic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thquakes and groundwater until 2021 were collected from the Web of Science and characterized by subject area (groundwater level, hydrogeochemistry, combination of the two, and oth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published articles per yea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2011 Tohoku earthquake, 2016 Gyeongju earthquake, and 2017 Pohang earthquake, with the maximum numbers observed in 2011, 2018, 2019, and 2020. Most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thquakes and groundwater level addressed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s in the duration of the subject earthquake, with little consideration of the precursors. Groundwater level monitoring data, as well as hydrogeochemical information and microbial communities, may contribute to a more detailed understanding of groundwater flow and chemical reactions in bedrock caused by earthquakes.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for seismic monitoring and prediction is required.

Measurement of River Surface Velocity using CCTV System (CCTV를 이용한 하천 표면 유속 측정)

  • Yu, Kwon-Kyu;Kim, Dong-Su;Yoon, By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12-312
    • /
    • 2011
  • 최근 정보 통신의 발달에 따라 하천의 수위표, 제방, 수문 등을 관리하기 위해 수많은 CCTV가 설치되고 있다. 이들 CCTV는 하천 구조물의 상황을 감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하천의 유황 변화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어, 홍수 방재 및 재해 대책 등에 효율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표면영상유속계(SIV, Surface Image Velocimetry)는 하천이나 수로의 표면 영상을 이용하여 유속을 측정하고 유량을 추정할 수 있는 장비이다. 표면영상 유속계는 수면에 나타나는 부유 쓰레기나 잔물결 등을 이용하여 하천 표면 유속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두 기술을 연계하여, 수위표가 설치되어 있는 CCTV의 동영상에서 실시간으로 하천 유속을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CCTV 시스템에서 나오는 영상 신호를 SIV에 직접 보내서, 초당 30프레임의 영상을 일정 간격으로 분석하여 유속을 산정하는 것이다. 여기에 수위계에서 나온 수위 자료를 덧붙여 유량을 추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방법을 서귀포시의 DVR에 수록되어 있던 영상 자료에 활용한 결과 측정하지 못하였던 유량을 산정할 수 있었다.

  • PDF

A Data Modeling for Implementation of On-line Power Monitoring System in an Existing CANDU Core (CANDU 온라인 출력 감시 시스템 구현을 위한 데이터 모델링)

  • 윤문영;권오환;염충섭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2.11a
    • /
    • pp.117-122
    • /
    • 2002
  • 중수형 원전은 국내 가압 경수로의 보완 원자로형으로 현재 4기가 운전되고 있다. 중수형 원전은 천연우라늄을 핵연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연소도를 고려하여 운전 중 매일 핵연료를 교체하는 운전 특성을 갖고 있으며, 노심 내 출력분포 및 출력을 제어하기 위해 수위영역제어기의 수위가 계속 변하는 특성 또한 가지고 있다. 이 외에도 조절봉 등의 다양한 제어장치들이 출력제어를 위해 거동하게 된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