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위선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6초

GIS기반에서 댐 저수량 산정의 정확도 향상 (Accuracy Improvements of DAM-Reservoir Storage Volume Estimation based on GIS)

  • 정인주;문두열;정범석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6-144
    • /
    • 2005
  • GIS의 응용은 다양한 지형자료들을 3차원으로 분석함으로써 수문학 분야에서 효율적인 적용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지형자료를 3차원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TIN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매우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3차원 지형모델링에 대해서 토공량, 침수량, 저수량 등을 산정하는데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특히 구축된 TIN의 구성요소인 각각의 삼각형에 대하여 체적을 산정함으로써 수위의 변화에 따른 체적산정시 기존의 체적산정식보다 오차를 줄일 수 있었으며, 개발된 식을 검정한 후 저수지의 저수량을 산정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지형도의 등고선과 표고를 이용하여 저수량 산정방법과 이를 적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저수량 산정시 효율성을 제시하였다.

  • PDF

진공하중에 의한 Drain Board 타입 점토지반의 거동 특성 (Characteristics of Behavior of Brain Board - driven Clay Layers by Vacuum Loading)

  • 이송;양태선;박종찬;백영식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9권1호
    • /
    • pp.45-58
    • /
    • 1993
  • 준설매립지나 임해공업단지와 같은 연약점토지반 개량공법중의 하나가 페이퍼드레인공법이다. 페이퍼 드레인 공법은 Drain재로서 샌드 드레인 공법의 모래말뚝대신 card board paper를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페이퍼 드레인 공법에 많이 사용되는 3가지 종류의 드레인 보드를 타입한 시료와 드레인 보드를 타입하지 않은 무처리시료에 대하여 진공재하시험을 실시하여 압밀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진공하중은 지하수위 변동없이 지반내의 간극수압을 저하시켜 압밀을 촉진시킬 수 있다. 시험결과, 진공압밀시험은 3차원압밀거동을 보이고 간극수압은 단시간에 음의 값이 된다. 그리고 non-woven board의 경우 지반 전체에 비교적 균등하게 진공하중이 작용한다. 하부에서 진공하중을 작용시킨 결과시료의 상부와 하부의 강도가 증가하는 결과를 얻었다.

  • PDF

Kriging기법과 수치모형에 의한 이안지구 대수층의 투수량계수 추정 (Aquifer Transmissivity Estimation with Kriging Techniques and Numerical Model in the LAN)

  • 조웅현;박영기;김환홍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13-120
    • /
    • 1994
  • 대수층을 취급하는데 있어서 어려운 문제중에 하나는 수문학적인 변수의 공간적인 분포를 추정하는 것이다. 이안지구 대수층의 경우 면밀한 분석을 위한 관정시험 자료가 많지 않다. 이안지구 대수층의 투수량계수의 분포를 결정하기 위하여, 수위관측지점을 투수량계수 자료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이 지점을 pilot point로 정하여 수문학적인 변수의 공간분포를 추정하는 3단계의 절차를 검토하였다. 구성된 절차는 기지점의 값을 기초로 하여 변수분포의 지질통계적인 평가, 수치모델에 의하여 산정된 값과 비교, 최소화 알고리즘에 의하여 pilot point값을 보정하는 것으로 이루어 진다. 이안대수층의 변수분포를 평가 하는데 총 258개의 소구역으로 분할하고 각 소구역의 대표 투수량계수를 대상으로 Variogram을 구해본 결과 w=0.623, a=2.743을 얻었다. 이 계수를 이용하여 Kriging을 수행하고 보간된 투수량계수 분포를 가지고 수치해를 얻고 이를 관측치와 비교하여 보정하는 절차를 통해 투수량계수의 등고선을 나타냈다.

  • PDF

지반변형측정을 위한 TDR기술의 적용 (Application of Time Domain Reflectometry to the Monitoring of Ground Defromation)

  • 이우진;김용진;이원제;이웅주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15-25
    • /
    • 2003
  • TDR기술은 원격감지식 전기적 측정기술로서 여러 가지 물리적 변화량에 대하여 그 변화위치와 상태를 결정하는데 이용되어 왔으며, 미국과 호주 등지의 광산에서 주로 적용되던 TDR기술은 90년대 초반부터 토목공학에 응용되기 시작하였으며 산사태나 암반사면의 변형 파악, 지반의 함수비 변화 모니터링, 지반 오염물질의 종류 및 이동경로의 추정, 지하수위의 변동측정등에 사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1996년부터 강원도 통리지역, 고사리 일대 등에 산재한 채굴적의 붕락으로 인한 지반침하의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 TDR을 설치/운용한 것이 우리나라 토목분야에서의 최초 적용사례이다. 본 논문에서는 강원도 태백시 추전지역 일대에서 기 개발된 석탄채굴적에 의한 철도선로, 터널 및 도로 등의 변형 안정성을 분석키 위해 TDR기술을 적용한 결과로부터 지반변형 계측기법으로서의 TDR기술의 활용성을 고찰하였다.

  • PDF

하천복잡도 시나리오를 이용한 흐름특성 모의 분석 (Analysis of Flow Characteristics Using River Morphological Complexity Scenario)

  • 이지완;정인균;박종윤;정충길;이미선;김성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141-141
    • /
    • 2011
  • 생태적 기능이 담보되는 하안의 조성 및 복원은 필연적으로 하안공간에서 물리적 구조변화를 야기한다. 이러한 하안공간의 물리적 구조변화는 장기적으로 구간에서의 생태적 기능뿐만 아니라 단기적으로 하천의 수리특성변화를 야기한다. 이러한 수리특성변화는 복원구간에서의 생태적 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하천복잡도에 따른 수리특성의 변화는 자연형 하천복원에 영향을 주는 변수이므로 이들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하천복잡도 시나리오의 수립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차원 하상변동 수치모형인 CCHE2D 모형을 이용하여 하천유형에 따른 수리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하천복잡도 시나리오는 Rosgen (1994)에 의해 제안된 하천분류방법과 유량크기별 모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모델에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안성천유역의 오산천과 진위천으로 하천분류결과 크게 C유형과 E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분류된 유형의 수리특성 분석을 위해 C 유형의 구간중 진위천 본류구간과 통삼천의 만곡구간을 선정하여 모형을 구동하였다. 모형의 입력자료인 유한요소망은 하천정비기본계획의 부도를 이용하여 생성하였으며 모델의 경계입력자료는 WMS HEC-1의 유출량 결과 자료를 사용하였다. 빈도별 강우량 자료를 Huff의 4분위 법을 적용하여 24시간으로 분포화하여 빈도별, 구간별 유출량 자료를 구축하여 모의 하였다. 선정한 하천유형구간에 대하여 유량크기별 수위, 유속, 한계유속, 소류력에 대한 흐름특성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도계수의 변화에 따른 흐름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 PDF

남강댐의 운영수위 변경에 따른 선버들 군락의 분포현황 및 특성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n Water Level Change and Salix subfragilis Community Formation in Namgang-dam)

  • 정혜련;김기흥;박재현;이석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1-15
    • /
    • 2013
  • The present Namgang Dam had been completed in 2000, Salix subfragilis communities began to form in 2003 and their distribution area have been rapidly extended into nine times in 2010. In order to deduce correlation between water level and distribution of Salix subfragilis communities under this background in Namgang-dam reservoir,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widening direction of Salix subfragilis communities have been analyzed by aerial photographs and water levels has been reviewed, also heights and ages of Salix subfragilis have been surveyed in field. The water levels of Namgang-dam related germination of Salix subfragilis have been analyzed in May and June from 2000 to 2010, mean water level, minimum water level and maximum water level were 37.87m, 36.99m and 38.82m, respectively. The oldest ages were 9-13 years, average diameters of breast height, average heights, average numbers and average crown area were respectively 3.9-8.8cm, 3.8-7.5m, $0.53/m^2$ and $0.98m^2/m^2$ in sites. Therefore, this results showed that the first recruitment of Salix subfragilis was in May 2002 when water levels have been maintained as 38.76-41.31m and the widening of Salix subfragilis communities was in May 2004 and 2005 when mean minimum water levels have been maintained as 38.76-41.31m. Salix subfragilis communities formed climax forest in Namgang-dam shore, this phenomena were different from the succession processes of Salix in rivers appeared landforming by deposition of sediment.

GIS기법을 이용한 야계사방 입지해석 모델 개발 (Development on Location Analysis Model of GIS in Torrential Stream)

  • 김기흥;정혜련;박상현;마호섭;박재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822-1826
    • /
    • 2010
  • 본 연구의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야계의 입지해석모델 개발은 사방댐 하류 야계에 대한 야계사방사업의 위치 선정, 하도계획 및 구조물 계획 등을 기 구축되어 있는 국가 DB와 강우 강도 산정, 홍수유출해석 및 수리계산 소프트웨어를 연계하여 체계적으로 표준화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우, 지형 지질 토지이용 자료를 이용하여 홍수유출해석을 통해 기본 홍수량을 산정하고, 홍수량과 수치지형도 및 항공사진으로부터 추출한 야계의 종단, 평면 및 횡단지형정보를 기본자료로 HEC-RAS의 지형자료(geometry data) 및 흐름자료(flow data)를 구축하여 수리계산을 수행하였다. 수리계산 결과를 토대로 종단, 평면, 횡단의 하도계획과 호안, 수제 및 하상유지공 등 구조물 계획 등에 필요한 야계입지해석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강우, 지형 지질 토지이용, 항공사진 자료 등 국가 DB자료만을 이용하여 야계입지를 해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1 : 5000의 수치지형도 및 항공사진으로부터 야계부분에 대한 지형도를 분리하여 1m 간격의 등고선으로 된 수치지형도에서 야계의 종단, 평면 및 횡단지형정보를 기본자료로 수리계산을 위한 HEC-RAS의 지형자료(geometry data)를 구축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수리계산 결과를 토대로 최심하상고, 수위, 수심, 유속, 소류력, Froude수 등 종단, 평면, 횡단의 하도계획과 호안, 수제 및 하상유지공 등 야계 구조물 계획 등에 필요한 수리학적 인자를 추출할 수 있었으며, 시험유역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야계사방사업의 입지선정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음를 제시하였다.

  • PDF

지하수위 자료를 이용한 제주도 지하수계의 가뭄 영향 평가 (Evaluation of Drought Effect on Groundwater System using Groundwater Level Data in Jeju Island)

  • 송성호;이병선;최광준;김진성;김기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37-647
    • /
    • 2014
  • Quantitative assessment of groundwater level change under extreme event is important since groundwater system is directly affected by drought. Substantially,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reveals to be delayed from several hours to few months after raining according to the aquifer characteristics. Groundwater system in Jeju Island would be also affected by drought and almost all regions were suffered from a severe drought during summer season (July to September) in 2013. To estimate the effect of precipitation to groundwater system, monthly mean groundwater levels in 2013 compared to those in the past from 48 monitoring wells belong to be largely affected by rainfall(Dr) over Jeju Island were analyzed. Mean groundwater levels during summer season recorded 100 mm lowered of precipitation compared to the past 30 years became decreased to range from 2.63 m to 5.42 m in southern region compared to the past and continued to December. These decreasing trends are also found in western(from -1.21 m to -4.06 m), eastern(-0.91 m to -3.24 m), and northern region(from 0.58 m to -4.02 m), respectively. Moreover, the response of groundwater level from drought turned out to be -3.80 m in August after delaying about one month. Therefore, severe drought in 2013 played an important role on groundwater system in Jeju Island and the effect of drought for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was higher in southern region than other ones according to the regional difference of precipitation decrease.

경기도 지역 농경지의 천부 지하수 내 질산염 오염특성과 변화 (Variation in Nitrate Contamination of Shallow Groundwater in a Farmland in Gyeonggi-do, Korea)

  • 이은재;우남칠;이병선;김양빈
    • 자원환경지질
    • /
    • 제41권4호
    • /
    • pp.393-403
    • /
    • 2008
  •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농촌지역에서 유기비료로 살포되는 축산 분뇨가 농경지 지하수의 수질과 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시공간적 변화를 중심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는 경기도의 한 농경지에서 200길 2월, 4월, 6월, 10월에는 관측정을 통한 지하수위 관측과 함께 지하수질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봄-여름-가을로 이어지는 계절과 축분을 뿌리는 시기에 따라서 지하수의 수질과 오염현상의 변화는 축분을 가장 많이 뿌리는 시기인 4월에 질산성 질소 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지하수 내 Mn, Fe 등의 농도와 용존 유기물함량(DOC) 등을 모니터링 함으로써 천부 지하수의 산화-환원상태와 대수층 내 미생물의 활성도가 연구부지 지하수 내 질산성 질소의 농도변화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TFNM, ANN, ANFIS를 이용한 국가지하수관측망 지하수위 변동 예측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Forecasting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s of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s using TFNM, ANN, and ANFIS)

  • 윤필선;윤희성;김용철;김규범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9권3호
    • /
    • pp.123-133
    • /
    • 2014
  • It is important to predict the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for effective management of groundwater monitoring system and groundwater resources. In the present study, three different time series models for the prediction of groundwater level in response to rainfall were built, those are transfer function noise model (TFNM),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and adaptive neuro fuzzy interference system (ANFIS). The models were applied to time series data of Boen, Cheolsan, and Hongcheon stations in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The result shows that the model performance of ANN and ANFIS was higher than that of TFNM for the present case study. As lead time increased, prediction accuracy decreased with underestimation of peak values. The performance of the three models at Boen station was worst especially for TFNM, where the correlation between rainfall and groundwater data was lowest and the groundwater extraction is expected on account of agricultural activities. The sensitivity analysis for the input structure showed that ANFIS was most sensitive to input data combina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time series model approach and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meaningful and useful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monitoring stations and groundwater re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