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용액 이온

검색결과 669건 처리시간 0.024초

Ag2O를 첨가한 압축 벤토나이트에 대한 요오드 이온의 확산 특성 관찰 (An Investigation of Diffusion of Iodide Ion in Compacted Bentonite Containing Ag2O)

  • 임성팔;이지현;최희주;최종원;이처경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3-40
    • /
    • 2011
  • [ $Ag_2O$ ] 첨가한 압축 벤토나이트에 대하여 관통 확산법으로 요오드 이온의 이동 특성을 관찰하였다. $Ag_2O$를 첨가하지 않은 압축 벤토나이트와 마찬가지로 $Ag_2O$를 첨가한 압축 벤토나이트에서도 요오드 이온은 확산에 의하여 이동하는데, $Ag_2O$를 첨가한 압축 벤토나이트는 $Ag_2O$를 첨가하지 않은 압축 벤토나이트에 비하여 요오드 이온의 초기 누출 시간이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g_2O$를 첨가한 압축 벤토나이트에서 요오드 이온의 초기 누출 시간 지연은 확산 용액으로 순수 요오드 이온 수용액을 사용하였을 때 뿐만 아니라 0.1 M NaCl-요오드 이온 수용액을 사용하였을 때에도 관찰되었다. 또한 $Ag_2O$를 첨가한 압축 벤토나이트의 겉보기 확산 계수는 $Ag_2O$를 첨가하지 않은 압축 벤토나이트의 겉보기 확산 계수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Ag_2O$를 첨가하지 않은 압축 벤토나이트의 유효 확산 계수는 기존 문헌에 보고된 값과 거의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으며, $Ag_2O$를 첨가한 압축 벤토나이트에서 요오드 이온의 유효 확산 계수는 $Ag_2O$ 첨가에 따라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소디움실리케이트로부터 실리카 솔 제조(製造) 및 성장(成長) (Preparation and Growth of Silica Sol from Sodium Silicate)

  • 윤호성;김철주;김성돈;장희동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6권5호
    • /
    • pp.31-3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소디움실리케이트로부터 실리카 솔의 형성과 성장에 관한 연구를 고찰하였다. 황산으로 소디움실리케이트 수용액을 산화시킬 때 실리카 함량은 2%가 적절하였으며, 수용액 내 나트륨 이온 제거 후 안정한 실리케이트 수용액을 얻기 위해서는 수용액 pH를 9 이상 유지하여야 한다. 소디움실리케이트와 실리케이트 수용액을 혼합하여 pH 10으로 유지하여 $80^{\circ}C$로 가열하여 10 nm 크기의 실리카 솔을 제조할 수 있었다. 또한 실리케이트 용액을 실리카 솔 용액에 첨가하여 실리카 솔을 50 nm로 성장시킬 수 있었다.

중학생들의 전해질과 이온에 관련된 입자 개념 표현의 일관성 분석 (Analysis of Coher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Representation of Particulate Concepts)

  • 윤회정;이윤하
    • 대한화학회지
    • /
    • 제58권6호
    • /
    • pp.580-589
    • /
    • 2014
  • 학생들이 특정 내용 영역을 설명할 때 사용하는 개념은 맥락의 영향을 받기도 하며, 맥락과 관계없이 일관적으로 유지되기도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이 특정 내용 영역에서 사용하는 입자 개념을 살펴보고, 학생들의 입자 개념에 미치는 맥락의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학생들이 고체 상태와 수용액 상태의 전해질을 설명할 때와 수용액 상태의 서로 다른 전해질이 혼합되어 고체 상태의 앙금을 형성하는 현상을 설명할 때 입자를 어떻게 표현하는지 알아볼 수 있도록 검사지를 제작하였다.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해질과 이온' 단원의 수업이 끝난 후에 검사를 실행하고, 개발한 분류틀에 따라 학생들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체 상태와 수용액 상태의 전해질을 설명한 응답의 분석을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입자 개념을 가지고 각각을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앙금 생성 반응을 설명하기 위해 학생들이 사용하는 입자 개념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많은 학생들이 화학기호를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약 57%의 학생들이 과학적 개념을 일관적으로 적용하여 수용액 상태의 입자에 대해 전해질과 앙금 생성 반응을 설명하였고, 비과학적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을 모두 포함했을 때 일관성 있는 설명을 제시한 학생들은 전체의 약 79%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여러 맥락에서 입자에 대한 과학적 개념을 습득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기계화학적 활성에 의해 테이프에 자발적으로 환원된 은의 전기화학적 분석 (Electrochemical Analysis of Spontaneous Reduction of Silver on Tape by Mechanochemical Activation)

  • 윤창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100-1105
    • /
    • 2020
  • 본 연구는 기계화학적 활성화 된 스카치테이프가 금속 이온 수용액에서 유발하는 자발적 금속 나노입자 필름 형성의 구동력과 그 크기를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분석했다. 은 필름이 형성된 테이프를 질산에 녹이고, 완충용액과 섞어 전기화학 측정용 샘플을 준비했다. 양극 벗김 전압전류법의 피크 신호를 통해, 은 입자의 자발적 환원에 소모된 전하량을 측정했다. 이를 검정 곡선에 대입하여, 환원된 은의 양을 구했다. 그 결과 은의 양이 선행 연구 대비 106배 많은 점, 수용액에서 전하를 가진 이온들의 짧은 수명을 참고하여, 자발적 반응의 구동력을 라디칼로 결론 냈다.

Mercapto 화합물에 의한 은의 정량 (제1보) 2,5-Dimercapto-1,3,4-Thiadiazol에 의한 은의 전류 적정 (Determination of Silver with Mercaptans (I). Amperometric Titration of Silver with 2,5-Dimercapto-1,3,4-Thiadiazole)

  • 하영구;최규원
    • 대한화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6-129
    • /
    • 1973
  • 회전백금전극을 지시전극으로하고 수은-요오드화수은(II)을 기준전극으로하여 암모니아수용액에서 2.5-dimercapto-1,3,4-thiadiazole에 의한 은의 전류적정법을 연구하였다. 암모니아수용액에서 EDTA를 은폐제로 사용하여 여러 가지 이온들의 존재 하에 미량의 은을 직접 적정할 수가 있었으며 백금과 금 이온만이 방해하였다. 이 방법으로 미량의 은을 상대 오차 ${\pm}3{\%}$이내 정량할 수 있다.

  • PDF

Maghnia Montmorillonite흡착제에 의한 수용액으로부터 양이온 염료 제거에 관한 반응속도론 연구 (Kinetics on the Removal of Cationic Dyes from Aqueous Solutions over Maghnia Montmorillonite Adsorbent)

  • Elaziouti, A.;Laouedj, N.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603-610
    • /
    • 2010
  • 수용액으로부터 3개 양이온 염료(메틸렌 블루 MB, 중성래드 NR, 녹공작석 옥살산염MG)를 제거하는 Maghnia 점토의 흡착제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접촉시간, pH, 초기 염료 농도, 흡착제 사용량등을 변화시키면서 조사하였다. 적절한 pH는 NR의 경우 6이었고, MB와 MG의 경우 7로 나타났다. 90% 이상의 최대 염료 흡착은 약 60분내에 이루어졌으며, 염료 흡착은 유사 2차반응속도식을 따랐다.

알칼리 수전해를 위한 상용 음이온교환막에 관한 연구 (Study on Commercially Available Anion Exchange Membrane for Alkaline Water Eectrolysis)

  • 박주왕;유철휘;황갑진
    • 멤브레인
    • /
    • 제31권4호
    • /
    • pp.275-281
    • /
    • 2021
  • 알칼리 수전해용 격막으로 사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5종류의 상용 음이온교환막의 열적안정성, 이온전도도,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TGA (thermo-gravimetric analysis)로 분석한 열적안정성은 FAAM-PK-75와 FAAM-40 막이 다른 3종류의 AEM, AHO, AHA 막과 비교하여 좋은 성능을 보였다. 25℃와 80℃, 7 M KOH 수용액에서의 이온전도도는 AEM막이 다른 막과 비교하여 약 4~17배 높은 값을 보였다. 25℃, 7 M KOH 수용액에서 측정한 내구성은 FAAM-PK-75막이 다른 막과 비교하여 안정하였다.

이온교환반응에 의한 양성자 고체 전해질 NH4+-β"-alumina의 제조 (Preparation of NH4+-β"-alumina as a Protonic Solid Electrolyte by Ion Exchange Reaction)

  • 이준희;한춘수;이성태;이기문;이대한;임성기
    • 공업화학
    • /
    • 제22권3호
    • /
    • pp.255-260
    • /
    • 2011
  • $K^{+}-{\beta}^{{\prime}{\prime}}$-alumina pellet를 이온교환 매체인 ammonium nitrate 수용액과 용융염으로 각각 이온교환하여, 고온형 PEMFC 전해질로 기대되는 무기소재인 $NH_4{^+}-{\beta}^{{\prime}{\prime}}$-alumina를 제조하였다. 고압반응기의 실험조건으로 온도는 130, 150, 170, $200^{\circ}C$ 에서, 시간은 2 h 간격으로 2 h에서 8 h까지 수열반응을 실시하였으며 이 때의 수용액의 농도는 5 M과 10 M을 사용하였다. 또한 $200^{\circ}C$의 가열기 위에서 ammonium nitrate를 완전히 녹여 용융염 상태의 ammonium nitrate를 이용하여 2 h 간격으로 2 h에서 8 h까지 이온교환을 실시하였다. 이온교환반응의 반복횟수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재이온교환반응을 3차까지 반복해서 실험하였다. 이후 이온교환 된 $NH_4{^+}-{\beta}^{{\prime}{\prime}}$-alumina 구조체의 상 안정성, 이온교환율을 각각 X선 회절기(Rigaku Rint 2000, Japan)와 ICP-AES (Spectro, Modular EOP)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폴리 아크릴산 고분자전해질의 수용액 속에서의 겔화에 관한 연구 (The Gelation Studies of PAA Polyelectrolytes in Aqueous Media)

  • 손정인
    • 공업화학
    • /
    • 제5권3호
    • /
    • pp.443-450
    • /
    • 1994
  • Polyacrylic acid를 NaOH와 $NH_4OH$로 중화시켜 중화도가 다른 polyelectrolyte를 만든 후, 수용액 상에서 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EGDE)로 가교시켜 안정한 상태의 젤을 얻었다. 안정한 젤이 얻어지는 가장 작은 polyelectrolyte의 농도인 $C_{gel}$은 polyelectrolyte의 extended from에도 불구하고 비슷한 분자량의 중성 고분자의 간과 비슷하였다. 전해질 고분자에 대한 scaling이론에 의하면 semi-dilute영역에서의 전해질 고분자용액은 분자량 의존성이 없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gelation결과는 중성 고분자와 흡사한 분자량 의존성을 보이며 entanglement 농도인 $C^{**}$와 비교했을 때에도 $C_{gel}$은 훨씬 큰 값을 갖는다. 이는 고분자 전해질의 농도가 진해질수록 용액의 이온세기가 증가하여 extended from에서 coil form으로 변화되기 때문으로 보인다. 고분자 전해질의 중화도에 따른 gelation은 100% 중화된 시료의 $C_{gel}$값과 분자량 의존성에 있어 거의 비슷한 경향을 보이며 이는 고분자 전해질의 conformation변화가 이온세기에 상당히 민감함을 보여 준다. 고분자 전해질 수용액에 추가로 저분자량의 염을 가하면 고분자의 용액 속에서의 크기가 더욱 축소하여 더 큰 $C_{gel}$값을 보인다.

  • PDF

리튬 이온 전지 탄소부극용 Sn-GIC의 합성과 그 전기화학적 특성 (Synthesis of Sn-GIC for Carbon Electrode of Lithium Ion Battery and Its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 엄의흠;이택영;이철태
    • 공업화학
    • /
    • 제18권5호
    • /
    • pp.449-453
    • /
    • 2007
  • 리튬이온이차전지에 사용되는 탄소부극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새로운 탄소부극물질로서 Sn-GIC (Graphite intercalated compound)를 합성하고 그 전기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합성시 $SnCl_2$ 수용액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수용액에 함침한 후 건조한 시료의 열처리 온도가 증가할수록 흑연에 삽입되는 Sn의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또한 흑연 내부로 삽입된 Sn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를 부극활물질로 사용한 cell의 초기 방전용량은 증가하였다. 가장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1.0M $SnCl_2$ 수용액에 함침한 후 $900^{\circ}C$에서 열처리하여 제조한 Sn-GIC는 346 mA/g의 초기용량과 10 cycle 후 13%의 용량감소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