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용액 분사법

Search Result 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n Experimental Study on Freezing Behavior of NaCl and Heavy Metal Aqueous Solution Using Freeze Concentration Method (동결농축법을 이용한 염수 및 중금속 수용액의 동결거동에 관한 실험 연구)

  • Kim, Jung-Sik;Lim, Seung-Taek;Oh, Cheol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7 no.2
    • /
    • pp.129-135
    • /
    • 2013
  • Recently,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is developed in small and middle size to get more economic advantage. Freeze concentration system has high thermodynamic efficiency and low energy consumption, can re-use purified water and cold energy obtained from ice. This study was experimentally performed to investigate pollution containment in frozen layer by cooling wall temperature, air-bubble flow methods, initial ice-lining thickness of frozen layer in NaCl aqueous solution and the representative heavy metals, Pb and Cr aqueous solution. As the result, a decrease in the cooling wall temperature bring a higher growth rate of ice front and the more solute was involved in frozen layer. The method to inject directly air-bubble into ice-liquid interface through ring shape nozzle gave high purity of ice compared to indirect method. Ice lining in 5mm thickness resulted in frozen layer with higher purity than 1mm thickness.

A Study on the Thermal Decomposition and Injection Direction of Urea Solution Used in DeNOx Process (탈질공정에 사용되는 우레아 수용액의 열분해와 분사방향에 관한 연구)

  • Moon, Seung-H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1 no.7
    • /
    • pp.531-540
    • /
    • 2009
  • In this study, thermo-gravimetric analysis(TGA)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rea concentration and heating rate on the ammonia($NH_3$) formation process from urea solution. A newly designed pipe nozzle was inserted through a 1,000 N${\ss}$(C)/h oil firing boiler to compare the DeNOx efficiencies between the upward and downward nozzle. This experiment reveals the effect of path which an urea droplet goes through. Urea solution showed the same TGA graph without regard to the presence of oxygen. Heating rate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weight loss trend. But the concentration of urea solution between 10% and 40% did not affect so much the thermal decomposition temperature. Therefore, heating rate is more important factor on the thermal decomposition of urea than the concentration of urea solution. Three nozzles located at different positions showed similar DeNOx efficiencies such as 68.1%, 71.8%, 70.8% at the same temperature. Even though urea solution was injected for the same zone, the injection direction made much difference in DeNOx efficiency. A upward nozzle showed 68.1% and downward nozzle 9.5%. This results illustrate the importance of heating rate.

Effects of Electrostatic Force on Movement of Sprayed Aerosol Particles in Continuous Galvanizing Process (용융도금강판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2-유체 분사 액적의 운동에 미치는 정전대전력의 영향)

  • Kim, S.H.;Kim, H.M.;Chung, H.C.;Chung, W.S.
    • Journal of ILASS-Korea
    • /
    • v.5 no.3
    • /
    • pp.45-54
    • /
    • 2000
  • A novel electrostatic splaying method for solidifying a galvanized coating layer was studied. Our experimental results and computer simulations showed that electric field could assist the fine droplets to attach on the steel surface and change the sprayed droplets trajectory especially in the space near the steel surface. It was necessary to apply the electric voltage higher than - 20 kV to obtain the enough electrostatic attraction force between droplets and the steel sheet.

  • PDF

A study of expansion performance test of high expansion foam concentrate for measurement techniques in laboratory (고발포 소화약제 발포력 검증을 위한 실험실적 측정방법 연구)

  • Kim, Ha-Young;Jang, Jea-Sun;Rie, D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75-78
    • /
    • 2010
  • 고발포 소화약제의 발포력은 화재시 포소화약제의 성능을 검증하는데에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발포력 검증은 한국소방산업기술원의 "포소화약제의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기준(KOFEIS 0103)"에서 제시하고 있는 표준발포기를 이용한 측정법을 통해 검증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방법의 제작 비용 및 측정의 번거로움을 보완하기 위한 약제 개발단계에서의 포소화약제 발포력 검증을 위한 실험실적인 측정법을 고안하여 적용성을 분석한다. 측정은 1000ml 시험관내에 3%의 수용액 $100m{\ell}$를 첨가하여 수용액 내부에 정량펌프를 통해 일정한 기포량 및 기포크기로 분사하여 발포시켰으며, 기포의 노즐은 거품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마이크로 피펫팁 $0.2m{\ell}$ 용량을 사용하여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 PDF

Synthesis of ultrafine calcium carbonate powders from high concentrated calcium hydroxide solution (고농도 수산화칼슘 수용액으로부터 초미립 경질 탄산칼슘 분말의 합성)

  • Ahn, Ji-Whan;Park, Charn-Hoon;Kim, Jeong-Heo;Lee, Jong-Kook;Kim, Hwan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 /
    • v.6 no.4
    • /
    • pp.509-520
    • /
    • 1996
  • Ultrafine calcim carbonate powders with the size of $0.05~0.1\;{\mu}m$ and the calcite phase were synthesized by the nozzle spouting method, which could be only obtained when high calcium ion concentration within slurry was maintained at the beginning of the reaction. But, in the regions of low ${Ca(OH)}_2$ concentration (0.5~1.0 wt%) or high ${Ca(OH)}_2$ concentration (<3.0 wt%), synthesized calcium carbonate powder was shown the large particle size with agglomeration. To obtain ultrafine calcium carbonate powder in this region, the methods of slurry circuation and $CO_{2}$ gas supply were changed during reaction. Resultly, it was possible to synthesize ultrafine particles (${\approx}0.05{\mu}\textrm{m}$)in the regions of low ${Ca(OH)}_2$ concentration (${\approx}0.5wt%$) and high ${Ca(OH)}_2$ concentration (${\approx}0.5wt%$), which can not be obtained the fine calcium carbonate powder still now.

  • PDF

Minispangling of a Hot Dip Galvanized Sheet Steel by a Solution Spray Method (수용액 분사법에 의한 용융아연 도금강판의 미니스팡글 형성)

  • 김종상;전선호;박정렬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 /
    • v.27 no.3
    • /
    • pp.149-157
    • /
    • 1994
  • The formation of spangles on a hot dip galvanized sheet steel by spray cooling the molten zinc coating with air, water and 2.0wt% $NH_4H_2PO_4$ solution has been studied performing laboratory experiments, and their coating properties have been evaluated. Minimized spangles were easily formed by mist spraying the solution for 1 second at the low nozzle spray pressure onto the molten zinc at 420~$422^{\circ}C$ because the solute $NH_4H_2PO_4$ in the sprayed solution imparted a highly rapid cooling effect to the coating through its endothermic de-composition reactions and because the decomposed products acted as numerous nucleation sites for the mini-mized spangles on the coating. Good surface appearances sand sound coating properties were obtained on this coating. Only regular spangles were formed on the coating by the forced convective air cooling. At the high nozzle spray pressure, zero spangles were formed on the coating by the pure water spray cooling. However, the coating had a dull and rough surface with craters sand cracks.

  • PDF

Study on the Immersion Corrosion Characteristics of Thermal Spray Coating for Sea Water Heat Exchanger (해수용 열교환기 적용을 위한 열분사 코팅의 침지부식특성 연구)

  • Huh, Cheol;Cho, Meang-Ik;Kwon, Jeong-Tae;Kwon, Young-Chu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1
    • /
    • pp.32-38
    • /
    • 2014
  • In the present study, immersion corrosion characteristics of Zn and Al thermal spray coating with sealer for the seawater heat exchanger a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otal 8 coating types of Zn and Al thermal spray coating with silicone and epoxy sealer were tested with immersion corrosion testing in $80^{\circ}C$ 3.5%w NaCl solution and compared the corrosion characteristics between each coatings. To investigate the corrosion characteristics of the specimens, AC impedance, SEM, and thermal diffusivity were acquired and analyzed. As a result, on the surface of the specimens with silicone and epoxy sealer, blister did not occurred, so the sealers might be effective at increasing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he specimens immersed in the NaCl solution.

Preparation and dispersion characteristics of Kerosene-based magnetic fluids with saturated fatty acid (포화지방산에 의한 Kerosene-based 자성유체의 제조 및 분산특성)

  • Kim, Mahn;Oh, Jae-Hyun;Cho, Myung-Ho;Kim, Dong-Joon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
    • v.5 no.6
    • /
    • pp.956-962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포화지방산으로 피복된 초미립 마그네타이트(Magnetite, Fe$_{3}$ $O_{4}$) 중에 nonanoic acid가 용해되어 있는 알칼리 수용액을 첨가한 후, 이들 슬러리(slurry)를 건조하여 kerosene에 분산시켜 유상자성유체를 제조하였다. Stearic acid 첨가량에 따른 분산율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stearic acid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분사율은 증가하였으나, 2.6 * $10^{-2}$ mol 이상에서는 분산율이 78%로 감소하 였다. Stearic acid로 피복된 마그네타이트에 의해 유상자성유체제조시 분산안정제로서 사용된 nonanoic acid 첨가량에 따른 분산율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nonanoic acid 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 분산이 일어나지 않았으나, nonanoic acid를 첨가함에 따라 분산율은 급격히 증가하였다. 포화지방산을 계면활성제로 사용하여 흡착-유기상 분산 법에 의해 유상자성유체를 제조한 결과, $C_{12}$ ~ $C_{16}$ 지방산을 사용하여 유상자성유체를 제조할 경우 20% 내외의 분산율을 나타내었다. 분산제로서 Nonanoic acid를 사용하여 유상자성유체를 제조할 경우 $C_{10}$ 지방산으로 제조한 유상자성 유체는 분산이 일어나지 않았으나, C 사슬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서 분산율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C_{15}$ 지방산 부터는 90% 이상의 분산율을 나타내었다.

  • PDF

증착온도에 의한 전기적 착색 니켈 산화물 박막의 특성 분석

  • 고경담;양재영;강기혁;김재완;이길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159-159
    • /
    • 1999
  • 니켈 산화물 박막을 전자비임 증착법으로 기판온도는 RT~25$0^{\circ}C$의 범위에서 제작하였다. 제작시 초기 베이스 압력은 2$\times$10-6mbar로 하고 산소주입후 작업진공도를 3$\times$10-4mbar로 유지하여 증착하였다. 제작시 기판온도에 따라 제작된 시료들은 각각 X선회절장치(XRD)로 막의 구조과 그림과 같이 입방체 구조 또는 팔면체구조를 갖음을 알 수 있었으며 막의 표면형상은 SE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각의 여러 기판온도에 따라 제작된 니켈 산화물 박막의 전기 화학적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순환전압전류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전기적인 광학소자로써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UV-Vis 광분광기를 사용하여 투과율을 측정하여 그 특성을 알아보았다. 순환전압전류법에 의한 각 시료에 대한 박막의 전기화학적 특성은 0.5M KOH 전해질 수용액에서 기판온도가 150~20$0^{\circ}C$로 제작된 니켈 산화물 박막이 다른 온도에서 제작된 시료들보다 높은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광학적 특성에서 착색과 탈색의 순환과정시 분광광도계에서 나타나는 광투과율을 비교해 보면 100~20$0^{\circ}C$에서 제작된 니켈 산화물 박막이 가역적인 착탈색의 색변화가 현저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광학적 특성 및 전기화학적 안정성 분석으로 인해 막의수명과 전기적착색 물질의 특성면에서 증착시 기판온도가 150~20$0^{\circ}C$에서 제작된 시료가 가장 내구성면에서 막의 이온 누적이 적고 활성적인 광투과율의 성질을 갖는다는 것이다. 이와같이 니켈산화물 박막제작시 기판온도가 전기적착색물질의 특성과 내구성에 큰 영향을 미침을 분석할 수 있었다.electron Microscopy)과 AFM(Atomim Force microscopy)으로 증착박 표면의 topology와 roughness를 관찰하였다. grain의 크기는 10nm에서 150nm이었고 증착막의 roughness는 4.2nm이었다. 그리고 이 산화막에 전극을 형성하여 유전 상수와 손실률 등을 측정하였다. 이와 같이 plasma를 이용한 3-beam에 의한 증착은 금속의 산화막을 얻는데 유용한 기술로 광학 재료 및 유전 재료의 개발 및 연구에 많이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소분압 조건에서 RuO2의 형성을 관찰하였으며, 이것은 열역학적인 계산을 통해서 잘 설명할 수 있었다.0$\mu\textrm{m}$, 코일간의 간격은 100$\mu\textrm{m}$였다. 제조된 박막 인덕터는 5MHz에서 1.0$\mu$H의 인덕턴스를 나타내었으며 dc current dervability는 100mA까지 유지되었다. CeO2 박막과 Si 사이의 결함때문이라고 사료된다.phology 관찰결과 Ge 함량이 높은 박막의 입계가 다결정 Si의 입계에 비해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 값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유동물 세포에 유전자 발현벡터로써 사용할 수 있음으로 post-genomics시대에 다양한 종류의 단백질 기능연구에 맡은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다양한 기능을 가진 신소재 제조에 있다. 또한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고부가 가치의 제품 개발에 따른 새로운 수요 창출과 수익률 향상, 기존의 기능성 안료를 나노(nano)화하여 나노 입자를 제조, 기존의 기능성 안료에 대한 비용 절감 효과등을 유도 할 수 있다. 역시 기술적인 측면에서도 특수소재 개발에 있어 최적의 나노 입자 제어기술 개발 및 나노입자를 기능성 소재로 사용하여 새로운 제품의 제조와 고압 기상 분사기술의 최적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