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영복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17초

제주시 일대 오름의 식물다양성과 보전방안 (Plant Diversity and Conservation in Oruem of Jeju City)

  • 임동옥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35-653
    • /
    • 2012
  • 제주시 지역 18개 오름의 관속식물은 116과 301속 359종 3아종 78변종 및 14품종으로 총 454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된 오름은 해발 800m 이내로 상록수림은 분포하지 않고 곰솔림이나 삼나무와 편백 조림지가 많았다. 제주시지역 18개 오름의 고유종은 개족도리풀, 새끼노루귀, 벌깨냉이 등 14종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116분류군으로, V등급종은 목련, 한라돌쩌귀, 갯취 등 6종, IV등급종은 섬딸기, 버들쥐똥나무, 청피사초 등 16종, III등급종은 붓순나무, 등수국, 가시복분자딸기 등 37종, II등급종은 참개별꽃, 돌양지꽃, 회목나무 등 6종 그리고 I등급종은 바위고사리, 봉의꼬리, 후박나무 등 51종이 확인되었다. 산림청 희귀종은 개족도리풀, 한라돌쩌귀 및 목련 등 11종이었다. 귀화식물은 애기수영, 서양금혼초, 등심붓꽃 등 3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저선량 X-선 조사가 쥐의 정자에 미치는 생물학적효과 (The Effects of Rat's Sperm Bioassay for Low Dose X-Ray)

  • 진계환;민수영;이상복;이삼열;박종배;이준행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2권4호
    • /
    • pp.184-189
    • /
    • 2007
  • 저선량 방사선에 의한 생물학적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쥐의 전신에 저선량 X-Ray을 조사하여 쥐의 정자에 미치는 생물학적효과를 관찰하였다. 실험용 동물인 Sprague-Dawley(SD) rat 총 36마리를 6마리씩 구분하여, 각각 대조군, 10 mGy, 20 mGy, 50 mGy, 100 mGy, 200 mGy의 X-Ray을 전신 조사하였다. 0.1g 당 정자수는 각각 $14.216{\times}10^6,\;13.901{\times}10^6,\;14.153{\times}10^6,\;13.831{\times}10^6,\;14.137{\times}10^6,\;14.677{\times}10^6$로 통계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정자의 운동성은 각각 50.9%, 49.5%, 55.1%, 54.3%, 48.0%, 52.2%이었다. 그리고 남성호르몬은 대조군에 비하여 모두 증가함을 보였고, 현미경 시야에서 고환조직을 확인한 바로는 정세관, 정소세포에서 공포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같은 결과로부터 과학기술부와 보건복지부의 법령에서 제한하는 선량이하에서 피폭선량이 관리된 SD rat에게 유해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는 제한된 숫자의 동물에게서 확인한 결과이므로 인체에서 동일한 효과가 나타난다고 주장할 수 없다. 그러므로 향후 다른 동물과 궁극적으로 인체에 나타나는 효과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가야산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Gayasan National Park in Korea)

  • 한세희;임효선;장현도;김윤영;소순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48-288
    • /
    • 2022
  • 2016년 가야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를 통해 가야산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2016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34회에 걸친현장조사를 실시한 결과 가야산국립공원의 관속식물은 총 118과 396속 691종 15아종 51변종 11품종 등 총 76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관속식물 중 멸종위기 야생식물은 구름병아리난초, 기생꽃, 복주머니란, 한라송이풀, 등 4분류군, 적색목록 중 관심대상(LC) 이상에 해당하는 종은 뻐국나리, 솔나리 등 총 21분류군, 한반도 고유식물은 구상나무, 가야물봉선 등 37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9분류군, IV등급15분류군, III등급38분류군, II등급 45분류군, I등급 53분류군 등 총 162분류군으로 확인되었고, 귀화식물은 총 46분류군으로 귀화율은 6.0%, 도시화지수는 14.3%로 산출되었으며, 생태계교란 생물은 가시박, 애기수영, 환삼덩굴 등 5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기존 선행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62과 144속 184종 2아종 15변종 5품종으로 총 206분류군이 본 조사를 통하여 새롭게 확인된 것으로 집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