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액 pH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34초

괴사성 장염으로 수술한 초극소저체중출생아(<1,000 g)의 예후인자 분석 (Analysis of prognostic factors of laparotomy for necrotizing enterocolitis in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 김진규;김이선;유혜수;안소윤;서현주;최서희;박수경;정유진;김묘징;전가원;구수현;이경훈;장윤실;박원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2호
    • /
    • pp.167-172
    • /
    • 2010
  • 목 적 : ELBWI의 생존률의 괄목할 만한 향상과 더불어 괴사성 장염으로 수술 받는 건수가 증가하고 있다. ELBWI 사망의 중요한 원인인 괴사성 장염으로 수술한 1,000 g 미만 환아의 예후인자에 대해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1년부터 2008년까지 삼성서울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괴사성 장염으로 수술 받은 1,000 g 미만 환아 35명을 대상으로 개복술 후 생존군(n=28명)과 사망군(n=7명)의 임상적 특성 및 수술관련 인자들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ELBWI 출생 환아 408명 중 35명(생존군 28명, 사망군 7명)이 괴사성 장염으로 개복술을 받았고 20%의 환아가 사망하였다. 수술 전 SNAP-II 점수($8{\pm}10$점 vs. $20{\pm}17$점; P = 0.022), 흡입산소농도($0.3{\pm}0.1$ vs. $0.7{\pm}0.4L/min$ ; P <0.001)는 생존군에서 사망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 염기과잉은($-3{\pm}7$ vs. $-11{\pm}8$; P =0.004) 사망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수술 전과 후의 맥박수, 호흡수, 평균혈압 등 활력지수와 혈액가스 검사상 수소이온농도지수, 이산화탄소 농도, 칼륨은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술 중 수액 투여량($14{\pm}4$ vs. $11{\pm}4mL/kg/hr$; P =0.045)이 생존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수술 후 수액 투여량($184{\pm}36$ vs. $266{\pm}173mL/kg/day$; P =0.022)은 사망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결 론 : 괴사성 장염으로 수술 받은 ELBWI를 대상으로 생존군과 사망군을 비교해보았을 때 양호한 예후인자로 수술 전 안정된 전신상태, 수술 중 충분한 수액의 투여, 그리고 수술 후 안정된 혈역학적 상태가 관련이 있었다.

일사비례제어에 의한 절화장미(Rosa hybrida cv Cardinal)의 급액량 구명 (Study on Optimum Water Supply by Solar Radiation in Cut Rose(Rosa hybrida cv Cardinal))

  • 나택상;김정근;최경주;기광연;유용권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15-220
    • /
    • 2008
  • 본 시험은 펄라이트 배지에서 적산일사량에 따른 급액이 장미 'Cardinal'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배지내의 pH는 6.0에서 6.1사이로 안정적이었고 EC는 급액보다는 배액에서 높게 나타났는데 후기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무기 성분은 비순환식 C. Sonneveld처방 기준으로 보면 인산과 칼리, 마그네슘이 집적됨을 알 수 있었는데, 특히 칼리와 마그네슘은 각각 기준량 195ppm, 18보다 집적됨을 알 수 있었다. 배지의 배액율은 전체적으로는 일사량이 많으면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장미 수액은 오전 9시 경부터 12시까지 흐름이 있었는데, 10시 30분에서 11시 사이에 $273g{\cdot}hr^{-1}$이었는데 일사량에 비례하여 수액흐름이 증가하지는 않았다. 양액소모량은 $250W{\cdot}hr^{-1}$에서는 50m1구에서 212.8ml로 많았는데 수량도 154.6본/10a로 많아 양액소모량이 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펄라이트 배지에서 양액공급량은 11월부터 3월에 $200W{\cdot}hr^{-1}$에서 50ml를 1일 $6\sim10$회 급액하고 일사량이 많을 때는 $250W{\cdot}hr^{-1}$에서 30ml를 1일 $22\sim30$회 급액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울릉도 우산고로쇠나무 군락의 식생구조와 토양환경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Condition of Acer okamotoanum Communities in Ulleung Island)

  • 권수덕;김종갑;문현식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5호
    • /
    • pp.15-22
    • /
    • 2010
  • 울릉도 자생 우산고로쇠나무군락의 합리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식생구조와 토양환경을 분석하였다. 층위별 중요치는 상층에서는 우산고로쇠나무가 120.7, 중층과 하층에서는 동백나무의 중요치가 각각 61.8, 15.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우산고로쇠나무의 중층과 하층에서의 중요치는 각각 37.5, 2.6이었다. 하층에서는 산림청 지정 취약종인 회솔나무가 출현하였다. 층위별 종다양도는 상층 0.674, 중층 0.947, 하층 1.312, 균재도는 상층 0.706, 중층 0.805, 하층 0.938이었다. 우산고로쇠나무 군락의 토양 pH는 5.79, 유기물함량은 7.2%, 전질소 함량은 0.33%, 유효인산 함량은 51.1ppm로 나타났다.

수액가온요법과 피부가온요법이 개복술 환자의 저체온 예방에 미치는 효과 비교 (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Intravenous Fluid Warming and Skin Surface Warming on Peri-operative Body Temperature and Acid Base Balance of Elderly Patients with Abdominal Surgery)

  • 박효선;윤혜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1061-1072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intravenous fluid warming and skin surface warming on peri-operative body temperature and acid base balance of abdominal surgical patients under general anesthesia. Method: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January 4th, to May 31, 2004. The intravenous fluid warming(IFW) group(30 elderly patients) was warmed through an IV line by an Animec set to $37^{\circ}C$. The skin surface warming(SSW) group(30 elderly patients) was warmed by a circulating-water blanket set to $38^{\circ}C$ under the back and a 60W heating lamp 40 cm above the chest. The warming continued from induction of general anesthesia to two hours after completion of surgery.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and Bonferroni methods. Results: SSW was more effective than IFW in preventing hypothermia(p= .043), preventing a decrease of $HCO_3{^-}$(p= .000) and preventing base excess(p= .000)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pH between the SSW and IFW(p= .401) groups. Conclusion: We conclude that skin surface warming is more effective in preventing hypothermia, and $HCO_3{^-}$ and base excess during general anesthesia, and returning to normal body temperature after surgery than intravenous fluid warming; however, skin surface warming wasn't able to sustain a normal body temperature in elderly patients undergoing abdominal surgery under general anesthesia.

인공적으로 탈수를 일으킨 반추류에서 몇가지 수액의 경구투여 효과 (Effect of orally administrated fluids in artificially dehydrated ruminant)

  • 강동묵;양일석;이인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5-27
    • /
    • 1990
  • Effects of oral administration of electrolyte solutions were studied in experimentally dehydrated adult sheep. By the latin square method five ruminal fistulated sheep were examined and dehydrated by deprivation of feed and water for 72 hours. Tap water, physiological saline, 0.45% NaCl+120 mM/L glucose and 0.9% NaCl+1% propylene glycol solution were orally administrated after dehydration, respectively. Rehydration effect and modification of the rumen function were compared. 1. After 72 hours of deprivation of feed and water, sheep were hypertonic dehydrated and blood acid-base parameter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And there was marked increase in ruminal pH and decrease in ruminal total volatile fatty acid(VFA) concentration. 2. After the fluids administration the changes in blood acid-base parameters were not significant in all groups. 3. Although glucose fermentation in the rumen was observed, 0.45% NaCl+120 mM/L glucose was more effective in rehydration than physiological saline and tap water. But it was difficult to know the rehydration effect of 0.9% NaCl+1% propylene glycol solution exactly because of excessive increase in plasma osmolality. 4. After refeeding, total concentration and proportions of ruminal volatile fatty acid(VFA)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s and recovered to normal concentration but not in proportions after 2 days in all groups. 5. In vitro cultured ruminal protozoa were susceptible to the decrease of the pH and osmolality.

  • PDF

염화물 수용액에서 자작나무 수액을 이용한 철강의 부식 억제 (Corrosion Inhibition of Steel by Addition of Birch Sap in Chloride Solution)

  • 박태준;김기애;이지이;장희진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7권5호
    • /
    • pp.225-230
    • /
    • 2018
  • The effects of birch sap, a possible natural corrosion inhibitor, on the corrosion behavior of steel in chloride solution were investigated. The corrosion rate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the addition of 1~5 mL of birch sap to 500 mL of 3wt% NaCl or 3wt% $CaCl_2$ solution. A remarkable increase in the pitting potential in NaCl solution was observed by the addition of birch sap although it was almost constant in $CaCl_2$ solution. The corrosion rate of steel in both NaCl and $CaCl_2$ birch sap solution without addition of water was higher compared to that of aqueous solution without birch sap as the pH of the birch sap was 4.0. The presence of organic compounds like, fructose, galactose, glucose, and palmitic acid in the birch sap are thought to be adsorbed effectively on the metal surface, which provided corrosion protection. However, the inorganic elements including Na, Ca, K, Mg, Mn, S, etc. present in the birch sap exhibited no role in corrosion inhibition.

원자흡광분석(原子吸光分析)을 위한 식품시료(食品試料) 전처리방법(前處理方法) -왕수액(王水液) 처리법(處理法)과 건식(乾式) 및 습식분해법과(濕式分解法)의 비교(比較)- (Preparation Method for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of Food Samples -Comparison of Dry, Wet and Aqua-regia Methods-)

  • 우순자;류시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25-230
    • /
    • 1983
  • 합리적(合理的)이고 경제적(經濟的)인 분해방법(分解方法)을 모색(摸索)하기 위해 고지방(高指肪) 함유식품(含有食品)인 생황석어(黃石魚)와 생멸치를 건조(乾燥)하여 분말(分末)로 한후 왕수처리법(王水處理法), 건식분해법(乾式分解法)과 $H_{2}SO_{4}-HNO_{3}$ 분해법(分解法)으로 전처리(前處理)하여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를 통해 K, Na, Mg, Ca, Zn, Mn, Cu, Fe을 측정(測定)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식(乾式), 습식(濕式) 및 왕수처리법(王水處理法)에 의한 측정치(測定値) 중 황석어(黃石魚)에선 K, Na, Mn, Cu와 Fe의 함량(含量)이 분해법(分解法)에 따른 유의성(有意性)을 나타내지 않았고, 멸치에서는 K, Na, Mg, Cu의 함량(含量)이 세 분해법(分解法)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반면에 Mg과 Zn(황석어)와 Mn과 Fe(멸치)는 분해법(分解法)에 따라 P< 5%의 유의성(有意性)을 보였고, Ca(황석어와 멸치)과 Zn(멸치)는 P< 1%의 높은 유의성(有意性)을 나타냈다. (2) 세 분해법(分解法)에 의한 측정치(測定直)의 유의적(有意的)인 차(差)를 근거로 모평균(母平均)을 추정(推定)한 결과(結果), 일반적으로 건식분해법(乾式分解法)에 의한 결과(結果)와 왕수처리법(王水處理法)에 의한 측정치(測定値)가 같은 수준효과(水準效果)를 나타냈고 재래식(在來式) 습식법(濕式法)은 모평균(母平均)이 가장 낮은 수준효과(水準效果)를 나타냈다. (3) 각(各) 측정치(測定値)와 표준편차(標準偏差)를 근거로 변이계수(變異係數) (coefficient of variation)을 구(求)해 본 결과(結果), 건식분해법(乾式分解法)이 가장 높은 변이계수(變異係數) 0.325였고, 왕수처리법(王水處理法)에 의한 측정치(測定値)가 습식법(濕式法)의 0.261보다도 낮은 0.195로 가장 낮은 변이계수(變異係數)를 보여 그 신뢰도(信賴度)를 높여 준다.

  • PDF

수막 자극 증상으로 내원한 환자에서 두통과 관련된 신경 펩타이드에 대한 연구 (A study of neuropeptides related to headaches in children with meningeal irritation signs)

  • 서보길;유명환;심재원;심정연;정혜림;박문수;김덕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5호
    • /
    • pp.533-538
    • /
    • 2006
  • 목 적 : 무균성 수막염은 구토, 발열, 두통 등의 증상을 일으키며, 이때 발생하는 두통은 급격한 뇌압 상승이나 두개강 내 통증 연관 조직에 의한다고 한다. 하지만, 뇌압상승이 현저하지 않거나, 뇌척수액 소견이 정상인데도 두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어 수막염에서의 두통이 다른 경로를 통하여서도 발생하리라 생각된다. 이에 저자들은 두통 유발과 관련이 있는 SP와 CGRP의 뇌척수액 농도를 측정하여 무균성 수막염 및 수막자극증상에서의 역할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5년 6월부터 7월까지 수막자극증상이 있어 방문한 환자 75명을 대상으로 척수 천자를 시행하여 뇌압을 측정하고 얻은 뇌척수액 중 일부는 백혈구 수와 단백 및 당의 농도를 측정하고, 일부는 $-20^{\circ}C$로 보관하였다가 SP 면역분석 키트(R&D Systems, Inc., USA)와 CGRP 효소 면역분석 키트(Phoenix Pharmaceuticals, Inc., USA)를 이용하여 뇌척수액 농도를 측정하였다. 전체 환자를 뇌척수액의 백혈구 증가가 있었던 경우는 수막염 환자군으로, 정상 소견이었던 경우는 수막자극증상 환자군으로 구분하였고, 수막염 환자군에서 뇌압이 $18cmH_2O$ 이하인 경우는 정상 압력군으로, 초과인 경우는 압력 상승군으로 분류하였다. 통계 분석은 각 군에서의 비교를 위해서 Student's t-test, Pearson 상관분석법을 이용하였고 P값이 0.05 미만인 경우를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 과 : 수막염 환자군의 연령은 평균 7.5세였고, 척수천자시 압력은 $14.8{\pm}4.5cmH_2O$, 뇌척수액 백혈구 수는 $106.2{\pm}199.5/mm^3$, 단백농도는 $38.9{\pm}21.4mg/dL$, 혈액 백혈구 수는 $9,888.2{\pm}4,221.6/mm^3$이었다. 반면, 수막자극증상 환자군의 연령은 평균 6.9세였고, 척수천자시 압력은 $12.0{\pm}5.1cmH_2O$, 뇌척수액 백혈구 수는 $1.1{\pm}1.1/mm^3$, 단백농도는 $22.3{\pm}7.4mg/dL$, 혈액 백혈구 수는 $11,929.0{\pm}4,892.8/mm^3$이었다. 두 군에서의 SP와 CGRP의 농도는 수막염군에서 각각 $54.5{\pm}44.2pg/mL$, $18.8{\pm}10.5ng/mL$이었고, 수막자극증상군에서는 $47.1{\pm}38.2pg/mL$, $14.1{\pm}7.4ng/mL$이었다. 수막염과 수막자극증상 환자군에서의 SP 농도는 통계적으로 차이는 없었으나 CGRP 농도는 통계적으로 수막염군에서 높았다(P<0.05). 또한, 수막염 환자군에서 뇌압에 따라 비교했을 때 SP와 CGRP 농도가 정상 압력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결 론 : 무균성 수막염이나 수막자극증에서 발생한 두통은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SP와 CGRP의 활성화와 관련이 있으리라 판단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정상 대조군 및 두통의 정도나 기간, 증상 회복 후 수치변화에 대한 자료가 포함되어 있지 않았고, 두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케모카인이나 사이토카인이 고려되지 않았다. 따라서 향후에는 이런 제한점을 해결하고, 뇌내 혈관의 투과성과 관련이 있는 여러 물질에 대해서도 함께 연구가 수행되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건강음료로서의 자작나무 수액의 유출량에 미치는 영향인자 (Factors Affecting on Sap Flows of Birch Trees, Betula platyphylla as a Healthy Beverages)

  • 조남석;김홍은;민두식;박철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6권3호
    • /
    • pp.93-99
    • /
    • 1998
  • Lately public interest in tree saps of maple and birch trees stimulated to increase demands for sap drink as a natural medical beverage. In order to understand factors affecting tree sap flows, birch species, particularly Betula platyphylla in Mt.Sobaek area, were monitored for daily sap flows according to factors, such as DBH, tapping hole sizes and direction of hole drilling on the trunks.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saps were also analyzed. The sap flow initiated from the end of March and finished at the end of April. The flow maxima appeared from April 14th to April 26th. Total amounts of the sap flow obtained from birch tree were over 1,800 ml per day per one tree. Sap flows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DBH and tree age. Six milimeter drilled hole resulted in the highest sap flows. Sap flows increased with increases of diameter and height of the trees. Hole drilling to downward side(south-facing) of tree produced almost doubled sap flows than that of upward one(north-facing), while rightside drilling produced same amounts of saps to that of leftside one. Six mm drilling gave the best results not only in maximum flows but also effective hole occluding rates. The saps have in the range of 4.5 to 5.6 pH and l.0 - 2.0% of saccharinity. Sucrose, glucose, fructose and high mineral contents were found in the saps of birch tree. The tree saps could be utilized not only medicinal drink, but also one of the healthy beverages.

  • PDF

고영양수액요법에 빈용되는 아미노산수액제와 포도당액의 혼합시 안정성에 관한 연구 (The Stability of TPN Admixture of Amino acids Solution and Dextrose Solution)

  • 송미경;서옥경;이숙향;이승우;신현택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47-158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stability of TPN basic solutions containing amino acids and dextrose. Test solutions containing $4.25\%$ amino acids in $25\%$ dextrose (central TPN basic solution) or $4.25\%$ amino acids in $10\%$ dextrose (peripheral TPN basic solution) were prepared. Two different amino acids solutions $(Fravasol^{(R)}\;vs\;Freamine^{(R)})$ were tested. The samples were taken from each admixture and stored in the evacuated, sterile containers at $2{\sim}8^{\circ}C$ and ambient room temperature. Each sample was analyzed at 0, 3, 7, 14 and 30 days of storage. Each amino acid was analyzed by amino acid analyzer. Dextrose content was measured by polarimeter. The pH and chromagen formation were also monitored. The decomposition was measured by the changes in concentration of amino acids and dextroser TPN basic $solution-Freamine^{(R)}$ admixture stored at $2\sim8^{\circ}C$ were stable for 30 days. Central and peripheral TPN basic solutions stored at room temperature were stable for 7 days and 14 days, respectively. There were no changes in color for 30 days by naked eye. Amino acid concentrations in TPN basic $solution-Fravasol^{(R)}$ admixture stored at $2\sim8^{\circ}C$ or room temperature were stable for 30 days. But, significant color change was detected according to passing time. In conclusion, Peripheral TPN basic $solution-Fravasol^{(R)}$ admixture stored at room temperature and in refrigerator were stable for 3 days and 7 days, respectively. However, central TPN basic solution-Fravasol admixtures were unstable.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it should be admixed right before u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