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압부족

Search Result 29,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 Basic Study for the Variation of Nodal Demands According to the Low Pressure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배수관망내 수압부족시 절점수요량의 변화에 대한 기초적 고찰)

  • Hyun, In-Hwan;Lee, Sang-Mok;Kim, Young-Hwan;Ahn, Yong-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 /
    • v.16 no.6
    • /
    • pp.726-732
    • /
    • 2002
  • Pressure drop could happen in the water distribution systems due to pipe breaks or maintenance. The pressure drop causes the water service shutdown and nodal water demands should be reduced in some areas. The conventional analysis method of water distribution systems can not consider the change of nodal water demands caused by these pressure drop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nodal water demands according to the nodal water pressure and its effect on the analysis of water distribution systems. For these purpose, one real water service district was selected as a study area. As a result, nodal water demand patterns according to the water pressure could be suggested. Also, we could confirm that the suggested new analysis method for the water distribution systems which considering water pressure drops could be more reliable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초고층 건물의 층고저감을 위한 공조시스템

  • 신현준;김보철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1 no.1
    • /
    • pp.9-14
    • /
    • 2002
  • 산업의 발전에 따른 도시화의 영향으로 대도시에서는 가용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건물의 고층화와 지하공간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증가추세에 있는 초고층주상복합건물, 초고층아파트는 건물의 높이가 증가함으로 인하여 건축공사비의 증가는 물론 설비적인 측면에서는 저층부의 수압이 상승 하여 높은 수압과 수격작용(water hammer)에 대한 배관 및 기기의 내압강도와 안전대책이 요구된다. 또한 건물의 초고층화로 인하여 열원에서 공조기까지, 공조기에서 실내기기까지의 수직거리 (vertical distance)가 길어지게 되어 연장된 공조덕트 및 배관 의 길이로 인해 반송동력비의 상승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기 및 재료의 선정시 내압을 고려하거나 기기의 적정배치와 조닝(zoning)을 통해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을 적극 채용하고 있다. 하지만 보다 근본적인 문제해결 방법으로 건물의 층고저감에 의한 건축공사비 및 연 간운전비의 절감을 통한 건물에서의 소비에너지량 감소로 부존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의 에너지수급정책에 기여하여야 할 것이다. 본 고에서는 건축물의 층고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공조시스템에 대해 전반적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 PDF

미터인 회로와 미터아웃회로를 이용한 수압시스템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양창문;윤영원;박명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91-91
    • /
    • 2004
  • 유압시스템은 1795년 J. Bramah가 물을 작동유체로 사용한 Press를 개발해 사용한 이래 2세기 이상 인간생활의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어 왔다. 초기 유압시스템은 쉽게 구할 수 있고, 저장이 용이한 물을 작동유체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물은 부식성, 낮은 점성계수로 인한 저 윤활성과 많은 누설량, 그리고 저온에서의 동결 등과 같은 문제점을 가졌다. 당시에는 물에 대한 부식성이 없는 재료나 물의 누설을 막을 수 있을 만큼의 가공기술이 부족하였으므로 이러한 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1906년 Wiliams와 Janney가 물 대신 기름을 작동유체로 사용하기 시작했다.(중략)

  • PDF

Prediction of Failure Behavior in Composite Motor Cases by Acoustic Emission during Hydroproof Testing (수압보증시험시의 음향방출에 의한 복합재 연소관의 파괴거동 예측)

  • Song, Sung-Jin;Oh, Chi-Hwan;Jeong, Hyun-Jo;Rhee, Sang-Ho;Lim, Soo-Yong;Kim, Ho-Ch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 v.18 no.2
    • /
    • pp.92-102
    • /
    • 1998
  • Prediction of failure behavior in filament-wound composite motor cases i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for their reliable application. Acoustic emission during hydroproof testing of the cases is used to solve this problem. Based on the acoustic emission behavior, failure sites can be located successfully. The identification of failure modes is also possible using the distribution of acoustic emission amplitude. Due to the limitation in the number of samples, it is not possible to predict the final burst pressure of motor cases and the effect of impact damage on the final burst pressure.

  • PDF

Analysis of the Momentary Interruption Impact on the HANARO Operation (순간정전이 하나로 운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Kim, Hyeong-Gyu;Jeong, Hwan-Seong;Choe, Yeong-San;U, Jo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655-656
    • /
    • 2004
  • 1) 제어봉의 전자 클러치는 직류전원 공급 장치에 의해 12V의 직류 전력을 공급받으며 전압 강하에 대한 내성이 좋다. 제어봉은 10V의 전압이 525msec 이상 지속될 때 전자력 상실로 낙하한다. 완전정전(0V)이 발생하여도 직류전원 공급 장치는 500msec 동안 전자클러치에 직류전력을 공급하여 제어봉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2) 정지봉 계통에 대한 전압강하의 영향은 제어회로를 구성하는 전자접촉기의 개방에 의하여 펌프의 전원공급이 차단되고, 그 결과 정지봉이 낙하한다. 정지봉은 펌프의 전원이 상실되면 수압 실린더의 압력 상실로 약 1000msec 후에 낙하한기 시작한다. 그림 2는 제어봉 및 정지봉에 대한 정전 영향을 시간에 따라 표시한 것이다. 3) 1차 및 2차 냉각계통의 부족전압 계전기에 의해 펌프가 정지할 때까지 저유량 신호 및 N/T mismatch 신호에 의한 원자로 정지신호는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지봉 및 제어봉 계통에 적용하고자 하는 순간정전 보상장치는 부족전압 계전기 동작시간 이내의 보상시간에서만 가능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Lining Stability of Old Tunnel Using Groundwater Flow Modelling and Coupled Stress-Pore Water Pressure Analysis (지하수 유동과 응력-간극수압 연계 해석을 통한 노후터널의 라이닝 안정성 분석)

  • Kim, Bum-Joo;Jung, Jae-Hoon;Jang, Yeon-Soo;Chun, Byung-Sik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8 no.4
    • /
    • pp.101-113
    • /
    • 2012
  • The degradation of a tunnel drainage system leads to increases in pore water pressure around the tunnel and the lining stress, which results in affecting the tunnel stability. In the present study of the Namsan 3th tunnel, more than 30 year old tunnel, the effects of the drainage performance reduction due to drain hole clogging on the tunnel lining stability were investigated by examining pore water pressure distribution around the tunnel and the lining stresses through numerical analysis. Groundwater flow modeling on the Mt. Namsan region was done first and 3D seepage and coupled stress-pore water pressure finite element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tunnel using the results of the groundwater flow modeling. The pore water pressure distribution and the tunnel lining stresses could be predicted using a drain hole outflow data measured in the tunnel site. This analysis method may be used to evaluate the current stability of old tunnels for which in most cases field investigations and related information are not readily available.

A Study on Drain System Development for Stability Increase of Cutting Slope (절개사면의 안정성 증가를 위한 배수시스템 개발에 관한 기초적 연구)

  • Lee, Seung-Ho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6 no.2
    • /
    • pp.15-20
    • /
    • 2005
  • Moutain side ditch is constructed at the top of cutting slopes around road and it drains the surface water that flowed from upper part. About 70% of a country is composed of mountains so occurrence of cutting face by road general observation is necessary. Instability of cutting face is increased by permeation of underground water by rainfall the summer, pore water pressure increases. However, moutain side ditch is constructed on the top of cutting slopes has some troubles. For example, difficulty of qualify control and lack of drainage faculty. Therefore, stability variation of cutting slope is analyzed by hydraulic conductivity and construction depth of mountain side ditch and effective depth of mountain side ditch is decided in this paper.

  • PDF

Water Pipe Deterioration Assessment Using ANN-Clustering (ANN-Clustering을 이용한 상수관로 노후도 평가)

  • Lee, Slee Min;Kang, Doo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10-110
    • /
    • 2018
  • 상수관로의 노후화는 단수유발, 수압부족 및 수질악화, 싱크홀 발생 피해와 누수로 인한 경제적 손실 등을 초래한다. 최근 상수관로의 노후화에 의한 피해가 심각해짐에 따라, 환경부에서는 전국적으로 노후관로를 개량 및 교체하는 작업을 시행하고 있다. 다만, 모든 노후관로를 일시에 보수 및 교체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사용 중인 관로의 노후도를 정량적으로 판단하여 개량우선순위를 결정해야한다. 현재 국내에서는 '상수도 기술진단' 매뉴얼에 따른 관망성능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상수관로의 노후화 정도를 평가하고 있다. 이는 평가항목 별로 기준을 나누어 조건값과 가중치를 부여하고, 총 점수를 합산하여 해당 관로의 평가 점수에 따라 등급을 판정하게 되는 점수평가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점수평가법과의 비교를 통하여, ANN(Artificial Neural Network)-Clustering 기법이 상수관로의 노후도 평가를 위한 새로운 평가방법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강원도 Y지역의 상수관로를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기존의 관망성능평가 항목을 이용하여 전체 관로를 세 가지 등급으로 분류하여 노후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ANN-Clustering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기존의 점수평가법 결과와 비교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전체 대상관로의 노후도 정도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계산된 노후도 등급을 관망도에 도시하였다. ANN-Clustering방법은 관로의 다양한 특성값을 손쉽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기존의 점수평가법과 더불어 상수관로의 유지관리를 위한 보다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관망성능평가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Optimization-based calibration method for analysis of travel time in water distribution networks (상수관망 체류시간 분석을 위한 최적화 기반 검·보정 기법)

  • Yoo, Do Guen;Hong, Sungjin;Moon, Gi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29-429
    • /
    • 2021
  • 2019년 발생한 인천광역시 붉은 수돗물 사태로 급수구역에 포함된 26만 1천 세대, 63만 5천 명이 직·간접적인 피해를 입은 바 있다. 경제적 피해액으로 추정할 경우 최소 1,280억 원 이상으로 보고된 바 있으며, 이와 같은 상수관망의 수질사고 확산은 장기간 동안 시민의 건강과 생활환경 수준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상수도시스템의 수질사고확산 모델링 및 방지기술을 통한 수질안전성의 재확인이 필요하며, 이것은 상수도시스템의 지속가능성을 높여 국민이 체감하는 물 환경 수준 제고에 기여가 가능하다. 관망 내 수질해석을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모델은 국외적으로 다양하게 개발(PODDS, EPANET-MSX, EPANET2.2 등)된 바 있으나 검·보정을 위한 수질측정 자료 부족 등으로 적용이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현재에도 존재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수질자료에 비해 그 양이 많고 획득방법이 상대적으로 수월한 수리학적 계측자료 및 해석결과를 활용한 관로 내 체류시간 등을 활용한 연구가 수행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리학적 해석 결과를 활용하는 경우에도 계측자료를 기반으로 한 수리학적 검·보정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로 내 체류시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유량 및 유속자료를 중심으로 수리학적 관망해석의 결과를 최적 검·보정하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기존 상수관망 수리해석의 검·보정은 일부 지점에서 수압을 측정하고, 수리해석 결과로 도출되는 해당 지점의 수압이 실측된 결과와 유사하도록 관로의 유속계수를 적절히 보정하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관로유량과 유속자료의 목적함수 내 가중치를 수압자료보다 크게 설정하여 체류시간 중심의 검·보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검·보정 대상인자 역시 대수용가의 수요량, 수요패턴, 그리고 관로유속계수로 확장된 모형을 구축하였다. 최적화 기법으로는 메타휴리스틱 기법중 하나인 화음탐색법을 활용하였다. EPANET 2.2 Toolkit과 Visual Basic .Net을 연계하여 프로그래밍하였으며, 개발된 모형을 실제 지방상수도 시스템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 PDF

The Characteristics of Undrained Shear Strength for Normally Consolidated Decomposed Weathered Mudstone Soil (정규압밀된 재성형 이암풍화토의 비배수 전단특성)

  • 김영수;김기영;문홍득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8 no.5
    • /
    • pp.7-18
    • /
    • 2002
  • Generally, natural soils are affected by one-dimensional consolidation so that the behavior characteristic could be somewhat different from the isotropic consolidation specimen. But, due to experimental difficulties and the lack of equipment, the isotropic triaxial tests are mainly performed in most lab. tests. So it seems to be very effective if it is possible to predict pore water pressure and undrained shear strength in the $K_o$ state as the results of isotropic triaxial consolidation test. In this study, isotropic triaxial consolidation test and $K_o$ triaxial consolidation test were performed and we obtained parameters related to pore water pressure ratio using the Hyperbolic model. And then we predicted the behavior of pore water pressure that occurred in the $K_o$ state from the results obtained in the isotropic triaxial cosolidation test through the equation suggested by Lo(1969). It is possible to seize the validity of Lo(1969) equation. Also, considering undrained shear strength obtained from consolidation method in relation with water content, we find that consolidation method have an effect on undrained shear strength. Finally, using the Wroth(1984) equation that is based on the theory of critical state, undrained shear strength in the $K_o$ state was predicted from that of the isotropic triaxial consolidation test. The usefulness of the equation was verified by comparing the predicted value with experimental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