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심

Search Result 2,786,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Change of Flood Intensity by Structures (구조물에 의한 범람강도의 변화)

  • Kim, Hyung-Jun;Lee, Jin-Woo;Cho, Y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565-569
    • /
    • 2009
  • 제방붕괴에 의한 홍수범람파에 의한 제내지의 위험은 수치모의 및 수리모형에 의해 관측되는 수심과 유속에 의해서만 정의되기 어렵다. 현재, 국내의 비구조물적인 대책으로 수치모의에 의해 계산되는 최대침수심 만을 홍수위험도로 산정하여 도시화하고, 홍수위험도를 제작하고 있다. 미국과 일본의 연구 및 비구조물적인 대책도 수치모의에 의한 최대침수심 산정결과만을 홍수위험도에 반영하고 있으므로, 유수에 의한 위험도를 다양하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유럽의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제방붕괴에 의한 위험은 빠른 유속과 수심의 복합적인 결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유럽의 연구결과를 참고하여 수심과 유속의 복합적인 결과인 범람강도를 산정하여 제방붕괴 발생 후, 구조물 주변의 위험도를 산정하였다. 구조물의 배열 및 월류수심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며 구조물 주변의 수심, 유속 및 범람강도의 증가비율을 산정하여 비교하였다. 흐름특성변화율을 산정하여 비교한 결과, 수심과 유속을 각각 산정하여 도시하여 고찰할 수 없었던 구조물 사이 및 구조물 주변의 위험도를 산정할 수 있었다.

  • PDF

A Sensitivity Test on the Minimum Depth of the Tide Model in the Northeast Asian Marginal Seas (동북아시아 조석 모델의 최소수심에 대한 민감도 분석)

  • Lee, Ho-Jin;Seo, Ok-Hee;Kang, Hyoun-W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9 no.5
    • /
    • pp.457-466
    • /
    • 2007
  • The effect of depth correction in the coastal sea has been investigated through a series of tide simulations in the area of $115{\sim}150^{\circ}E,\;20{\sim}52^{\circ}N$ of northwestern Pacific with $1/12^{\circ}$ resolution. Comparison of the solutions varying the minimum depth from 10m to 35 m with the 5m interval shows that the amplitude accuracies of $M_2,\;S_2,\;K_1$ tide using the minimum depth of 25 m have been improved up to 42%, 32%, 26%, respectively, comparing to those using the minimum depth of 10m. The discrepancy between model results using different minimum depth is found to be up to 20 cm for $M_2$ tidal amplitude around Cheju Islands and the positions of amphidromes are dramatically changed in the Bohai Sea. The calculated ARE(Averaged Relative Error) values have been minimized when the bottom frictional coefficient and the minimum depth is 0.0015 and 25 m, respectively.

Measuring Water Depth by Using a Combination of GPS/Echosounder (음향측심기와 위성항법을 이용한 하천의 수심 측량)

  • 정영동;강상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0 no.4
    • /
    • pp.375-381
    • /
    • 2002
  • Depth of water information is obtained mainly from echo-sounding instrument which observes the round-trip time of signal from water surface to the bottom. Photogrammetry, underwater survey and laser survey etc. are also used as another method of bathymetric surveying. These methods are used specially for making track chart in a shallow water area. On the other hand, aircraft or satellite imagery ara also used in the sea area where the effect of suspended material is low and water quality is good. Presently, general bathymetric surveying has been performed in our country, but the spatial density of surveyed point are relatively low. Therefore, in this study we built a grid water depth chart which measured combing echosounder with GPS-RTK method and the depth accuracy was analyzed by using the data of direct survey water depth. As a results, the bathymatric mapping which use echosounder is more economical method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s.

Explicit solutions for alternate depth in parabolic open channel (포물선형 개수로에서 대응수심의 양해적 산정)

  • Kim, Dae 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26-326
    • /
    • 2017
  • 개수로에서 비에너지(specific energy)는 수로바닥을 기준으로 단위무게의 물이 가지는 에너지로 정의되며 흐름의 위치수두와 속도수두의 합으로 표현된다. 비에너지는 수로단면의 변화에 따른 수심의 변화를 해석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중요한 개념이다. 사각형 개수로에서의 비에너지 관계식은 3차방정식의 형태이며, 해석적으로 3개의 해(3개의 수심)를 가지나, 물리적인 의미를 가지는 해는 2개이며 나머지 하나의 해는 음수이므로 물리적인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 물리적인 의미를 가지는 2개의 해는 각각 흐름이 상류(subcritical flow)인 경우와 사류(supercritical flow)인 경우에 대한 수심이다. 즉, 일정한 유량이 흐르는 조건에서 동일한 비에너지를 가지는 수심이 상류와 사류에 각각 존재하는데, 이 2개의 수심을 대응수심(alternate depths)이라 정의한다. 이러한 사각형 개수로에 대한 비에너지 관계식은 3차방정식이므로 그 해석해를 구할 수 있어, 수로단면의 변화에 따른 흐름의 변화를 비교적 쉽게 해석할 수 있다. 사각형 개수로가 아닌 경우의 비에너지 관계식을 이론적으로 고찰하는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포물선형 개수로에 대해서 비에너지 관계식을 유도하였다. 유도된 비에너지 관계식은 비선형 음함수의 형태로 해석적으로 해를 구할 수 없다. 유도된 관계식의 해법으로 2차의 정밀도를 가지는 Newton-Raphson방법을 이용하였으며, 계산의 초기치는 상용화된 Excel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회귀식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적용 예를 통해, 단순 회귀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정해와의 상대오차가 2 - 8% 내외였는데,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조건에서 상대오차가 0.25% 내외를 보였다. 즉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양해법을 이용하면, 포물선형 개수로 흐름의 대응수심을 용이하게 그리고 정확도가 매우 높게 산정할 수 있다.

  • PDF

Comparison of drone-based hyperspectral and multispectral imagery for bathymetry mapping (드론기반 초분광영상과 다분광영상을 활용한 수심산정 비교)

  • Yeonghwa Gwon;Dongsu Kim;Siyoon Kwon;Hojun Yo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54-54
    • /
    • 2023
  • 하천유역조사는 관련 법률의 규정에 의해 물관리정책의 수립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기본현황, 이수, 치수 환경생태 등 유역관리에 필요한 주요 조사항목을 대상으로 수행되고 있다. 조사방법 중 원격탐사자료 활용한 조사는 드론 모니터링 영상 및 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해 댐·제방과 같은 치수 시설물의 안전관리, 수질 모니터링, 하천지형조사, 하상변동조사 등에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일반 RGB 영상뿐만 아니라 수백개의 분광밴드를 포함한 초분광영상을 이용한 하천조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초분광영상은 분광해상도가 높아 다항목 조사에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많은 양의 분광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초기 수집 자료의 용량이 너무 크고, 분석을 위한 전처리 과정이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10개 이하 밴드의 분광정보를 수집하는 다분광영상은 2개 밴드를 이용해 정규식생지수(NDVI)를 즉각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작물의 생육현황 등을 분석할 수 있어 농업 및 산림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초분광영상을 이용한 수심산정 연구는 최적 밴드비 탐색 기법(OBRA)을 활용해 측정수심과 상관관계가 높은 밴드비를 이용해 수심맵을 구축하는 방식이 활용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초분광영상을 활용한 수심산정기법을 다분광영상에 적용하여 분광밴드수가 축소된(경량화된) 자료를 활용한 수심산정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동일한 현장에서 초분광과 다분광 두가지 영상을 촬영하였으며, 각각 수심맵을 구축해 하천분야에서 다분광영상의 활용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기존의 OBRA의 한계를 개선하기 위해 가우시안 혼합 모델(GMM; Gaussian Mixture Model)을 활용해 영상을 군집화하여 수심산정 정확도를 개선하였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Establishment of Downstream Critical Depth in Round-Crested Weir (보 하류부 임계수심 설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 Yeo Hong Gu;Kang Joon Gu;Cheong Sang Hwa;Yoon Byeong M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113-1117
    • /
    • 2005
  • 보 상류의 유속 및 수심과 같은 흐름 조건은 보, 하천 형상, 그리고 하류 흐름 특성에 의해 좌우된다. 본 연구에서는 하류 조건에 따라 보 상류의 흐름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구형단면의 수로에 하천설계지침(2002)에 따라 보를 제작하여 설치하였으며 보에서의 임계수심 및 이에 따른 유량의 변화를 파악하였으며 실험결과를 기존 문헌과 비교$\cdot$분석하였다. 또한 자유 월류로 빠른 유속을 지닌 흐름이 수로의 마찰저항과 하류 배수효과에 의해 에너지 소멸로 나타나는 도수현상을 관측하여 발생특성을 파악하였다. 도수의 발생조건은 Posey와 Hsing(1938)에 제시한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하류영향에 따른 도수 발생 위치는 하류단 수위와 일정한 관계를 갖고 있으나 유량과는 선형적인 관계를 보이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임계수심 설정에 대해 Knap(1960)이 제시한 산정식과 비교한 결과 유량이 작은 경우 거의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으나 유량이 증가할수록 오차가 커졌다. 임계수심 전$\cdot$후의 유량계수를 살펴본 결과 하류 조건에 의해 임계수심을 넘으면 유량계수가 자유 월류 시보다 약 $2\%\~6.5\%의 감소를 나타냈으며 공급유량이 $0.05m^3/s$ 일 경우 유량계수의 차이가 가장 큰 것을 알 수 있다.

  • PDF

A depth-integrated numerical model considering the secondary flows in the channel bend (만곡부 이차류 특성을 고려한 수심 적분된 2차원 수치모형)

  • Kim, Tae-Beom;Choi, Byung-Woong;Choi, Su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555-559
    • /
    • 2009
  • 난류응력은 순간속도성분을 시간평균성분과 편차성분의 합으로 보고 Navier-Stokes 방정식으로부터 Reynolds 방정식을 유도할 때 나타나게 된다. Reynolds 방정식으로부터 수심 적분된 천수방정식을 유도하는 과정에서 시간 평균된 유속성분을 수심 적분된 유속성분과 편차성분의 합으로 본다면, 분산응력 (dispersion stress)이라고 하는 추가적인 새로운 항이 잔류하게 된다. 점성응력, 난류응력, 그리고 분산응력을 통칭하여 유효응력 (effective stress)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수심에 비해 수로 폭이 넓은 개수로에서는 유효응력이 흐름특성의 수치 근사해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가정하여 2차원 수심적분 모형에서 유효응력을 생략하기도 한다. 또한 유효응력을 적용하더라도, 점성응력이 난류응력에 비해 무시할 만큼 작다고 가정하여 난류응력만을 적용하며, 분산응력은 무시된다. 하지만 만곡부에서는 원심력과 편수위로 인한 횡방향 압력의 불균형이 발생하기 때문에, 만곡부의 이차류가 발생되며, 유속의 연직방향 분포도 일정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만곡부의 이차류 특성을 수심적분 2차원 모형에 반영하기 위해 분산응력을 고려한 모형의 개발 및 검증이다. 불규칙한 모의영역을 원활히 나타낼 수 있도록 곡선좌표계를 사용하는 여타 모형들과 달리 유한유소법을 이용하여 수치해를 구하며, 따라서 x, y 좌표축을 사용하는 데카르트 좌표계를 사용하여 지배방정식을 나타낸다. 분산응력의 유 무에 따른 수치결과를 Rozovskii의 $180^{\circ}$ 만곡수로 실내실험 자료와 비교하여 개발 모형을 검증한다.

  • PDF

Gas hydrate-bearing venting strucutres in the Sea of Okhotsk (오호츠크해의 가스하이드레이트 함유 가스분출구조)

  • Jin, Young-Keun;Chung, Kyoung-Ho;Party, Chaos Scientific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501-503
    • /
    • 2007
  • 오호츠크해 사할린 북동 해저사면지역은 세계적인 가스수화물 산출지역으로 알려져있다. 이미 2005년 탐사에서 50 cm 두께의 순수 가스수화물 시료를 해저면에서 채취한 지역이다. 2006년 탐사에서는 다양한 주파수대역의 고해상도 지구불리장비를 사용하여 탐사를 실시하였다. Side-scan Sonal와 3.5 kHz SBP 탐사, 수중음향 탐사를 통해 대규모 하도구조가 가스수화물지역의 북쪽 경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밝혔다. 가스수화물의 BSR은 수심에 얕아짐에 따라 계속해서 심도가 감소하여 수심 약 300 m에서 해저면에 다다름. 이는 연구지역에서의 가스수화물 안정대의 상부경계가 약 300 m임을 시사한다 가스수화물 분출구조들은 약 1000m 수심을 경계로 천부에 분포하고, 해저면에는 원형의 가스분출구조들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반면에 1000 m 수심보다 깊은 지역에서는 mud-dirpir의 상승구조로 판단되는 상승구조들이 해저면에 굴곡지형을 형성하고 있다. 해수중으로 분출하는 가스기둥들은 수심 111.2 m에서 1226.4 m 지점까지 다양한 수심에서 분포하며, 상승높이는 최대 750 m에 이르며, 약 150 m 수심까지 도달한다. 이는 해저에서 분출되는 메탄가스가 해수에 흡수되지 않고 해수면까지 이동하여 대기중으로 발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Comparison of Shoot Growth in the Populations of Zizanis latifolia along Water Depth (수심에 따른 줄(Zizania latifolia) 개체군의 경엽무 생장 비교)

  • 조강현;김준호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17 no.1
    • /
    • pp.59-67
    • /
    • 1994
  • Differenc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diment and changes in density, height and dry matter of shoots along different water depths were investigated in the stands of Zizania latifolza populations of the littoral zone of Lake Paltangho, Korea.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diment chemistry were not found along water depth, although sand content decreased slightly with increasing depth. Shoot density of Zizania latqolia decreased with increasing water depth. In shallower water, many of the short shoots died in the early growth stages. The morphology of shoots was taller and heavier in deeper water. The distributions of shoot heights became negatively skewed and leptokurtic as plants grew, and these changes occurred in the earlier growth stages in deeper water. The standing crop of shoots increased with increasing water depth. These results suggest that Zizania lattfolia has a growth strategy for adjustment to deep water through decreasing shoot density and increasing height.

  • PDF

Digital Bathymetric and Topographic Data for Neighboring Seas of Korea (한국근해의 디지털 수심.표고 데이터베이스)

  • 최병호;김경옥;엄현민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4 no.1
    • /
    • pp.41-50
    • /
    • 2002
  • An attempt has been made to establish digital bathymetric and topographic database in the form of grid point value(GPV) with an interval of one-minute horizontal space fur a wide region of seas adjacent to Korean Peninsula and also with an interval of one-arcsecond for coastal seas of Korean Peninsula. Especially terrestrial and marine data fusion work using mean sea level as vertical datum plane has been performed for one-arcsecond GPV dataset. It is believed that the compiled bathymetric dataset are reliable comparing with existing dataset so for and can be utilized for ocean simulations of intermediate scale process and also detailed coastal inundation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