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술 후 간호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27초

수술 전 정보제공이 학령전기 편도선절제술 환아 어머니의 불안, 불확실성 및 수술 후 간호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Pre-Operation Provision of Information on the Anxiety and Uncertainty of Mothers with a Pre-school Child of Tonsillectomy and their Satisfaction with Post-operation Nursing)

  • 정경숙;박진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58-166
    • /
    • 2016
  • 본 연구는 수술 전 정보제공이 학령전기 편도선절제술 환아 어머니의 불안, 불확실성 및 수술 후 간호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연구이다. 자료수집은 S종합병원에서 편도절제술을 받은 학령전기 환아의 어머니로 실험군 19명, 대조군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에게는 수술에 따른 통상적 교육과 함께 소책자를 이용하여 연구자와 연구 보조원이 직접 간호사실에서 1:1 개별로 평균 20분 정도 정보제공을 하였으며 대조군에게는 통상적 교육만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chi}^2$-test, Fisher's exact test, Mann-Whitney U-test를 이용하였다. 수술 전 정보제공은 대조군과 실험군의 불안(U=104.5, p=.015), 불확실성(U=83.5, p=.002)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수술 후 간호 만족도(U=109.5, p=.022)에도 유의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수술 전 정보제공은 학령전기 편도선절제술 환아 어머니의 불안, 불확실성 및 수술 후 간호만족도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후 반복연구와 다양한 교육방법을 통한 정보제공의 효과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수술전 비디오간호중재에 따른 수술후 환아의 동통지각정도 (A Study on Postoperative Pain Perception by Effects of the Video Program as Preoperative Nursing Intervention)

  • 주미경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10-221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a preoperative video program as nursing intervention and the perception of postoperative pain. The subjects consisted of an experimental group of 17 children and a control group of 13 children, for a total of 30 patients who were admitted the ENT Department for tonsilectomies.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 1993 to September 31. The video program was made by the pediatric operating theater nursing staff. Postoperative painwas measured using the Face Pain Rating Scales devised by Beyer in 1984. The data were analyzed by a SPSS using frequencies, means, percentages, t-test and ANOVA to analyze the variable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e hypothesis,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shown the preoperative video program as a nursing intervention will be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which did not see the video in postoperative pain perception.” was rejected by t=-.42, p>.05.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ccor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rom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 1. Further studies as randomized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re needed to control the extraneous variables. 2. A review will be suggested to be done by the preoperative video program as nursing intervention and an exploration to improve preoperative nursing care for pediatric patients with the inclusion such activities as preoperative visiting, operation theater tour etc.

  • PDF

부위마취로 제왕절개 수술을 받은 산모의 조기 경구섭취가 장 기능, 위장관 합병증 및 수술 후 회복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s of Early Oral Feeding versus Delayed Oral Feeding on Bowel Function, Gastrointestinal Complications and Surgical Recovery after Cesarean Section under Regional Anesthesi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김효진;전영경;윤소영;이금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732-745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ssess combined effects of early oral feeding after Cesarean section (C/S) under regional anesthesia on bowel function, gastrointestinal complications and surgical recovery. Methods: A systematic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using KISS, RISS, PubMed, CINAHL, EMBASE, CENTRAL and Google Scholar to identify randomized clinical trials comparing early oral feeding (EOF) with delayed oral feeding (DOF) after C/S. Outcome variables were bowel function and gastrointestinal complications and surgical recovery. Effect size was calculated using weighted mean differences (WMDs) and relative risks (RRs), with 95% confidence intervals (CIs). Results: Seven studies involving 1,911 patients from 568 studies, 7 studies were included in meta-analysis. EOF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horter time to recover bowel movement compared with DOF (WMD, - 2.50; CI, - 3.50~- 1.50). EOF was not associated with nausea (RR, 1.15; CI, 0.87~1.53) and vomiting (RR, 0.96; CI, 0.65~1.42), but lower incidence of abdominal distension (RR, 0.70; CI, 0.50~0.98). EOF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horter time to discontinuation of intravenous fluids (WMD, - 8.88; 95% CI, - 16.65~- 1.11) and removal of urinary catheter (WMD, - 15.23; CI, - 25.62~- 4.85). Conclusion: This meta-analysis provides evidence that EOF after C/S under regional anesthesia not only accelerates return of bowel function and surgical recovery but also reduces gastrointestinal complic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OF should be offered to women who have undergone C/S to improve the recovery experience and reduce overall medical costs.

국소마취 환자의 수술시 손잡아주기, 내관지압이 불안과 통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Hand Holding and Nei-Guan Acupressure on Anxiety and Pain under Local Anesthetic Patients during Surgery)

  • 박선희;장희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378-388
    • /
    • 2014
  • 연구목적은 국소마취 환자의 수술시 불안과 통증을 경감시키기 위해 손잡아주기, 내관지압의 간호중재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기간은 2013년 7월부터 10월까지이며 연구대상은 H대학교 병원에서 국소마취를 통해 외래수술을 시행한 총 7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설계는 비동등성대조군 사전사후 시차설계로 이루어졌다. 실험군1, 실험군2, 대조군 각 26명이었으며 외래수술환자를 대상으로 실험군1은 손잡아주기, 실험군2는 내관지압 간호중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세 군 간의 사전 동질성은 검증되었으며 간호중재 후 불안, 간호중재 후 통증이 실험군1, 실험군2에서 대조군보다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었다. 결과에 근거하여 수술시 불안과 통증감소의 효과를 나타낸 손잡아주기와 내관지압의 효과가 시간과 경제적 측면에서 수술실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간호중재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심호흡 방법에 따른 상복부 수술환자의 폐 환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Deep Breathing Methods on Pulmonary Ventilatory Function of Patients Who experiened Upper-abdominal surgery)

  • 황진희;박형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29-147
    • /
    • 1994
  • 본 연구는 수술환자의 술 후 폐환기능 회복을 돕기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의 자료를 제공하고자 부산시내에 소재한 P 대학병원의 일반욋과에 입원하여 전신마취하에 상복부 수술을 받은 환자 4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1993년 1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로 하였고, 처음 4주간동안 대조군을, 다음 4주간에 실험군을 자료수집하였다. 실험군에는 Incentive Spirometer를 사용한 심호흡법을, 대조군에는 호흡기구를 사용하지 않은 자발적인 심호흡법을 수술 후 의식이 회복된 직 후부터 매 1시간마다 규칙적으로 24시간동안 실시하였다. 폐환기능의 측정도구는 운반이 용이하고 사용이 간편하여 임상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Vitalograph Compact를 사용하였으며, 수술 전과 수술 후 24시간, 수술 후48시간, 수술 후72시간, 각 각 4회에 걸쳐 대상자들의 노력성 폐활량과 일초 노력성 호기량을 측정하였다. 여기서 수집한 자료를 SPSS $PC^+$를 이용하여, 백분율, 평균, t검정, $X^2$검정, 일원변량분석으로 통계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았다. 1) 대상자들의 일반적특성은 여성이 41.3%, 남성이 58.7%이며, 평균연령은 $48.48{\pm}12.26$, 흡연습관은 대상자 전체의 43.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거 호흡기 질환은 전체의 8.7%가 앓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Incentive Spirometer를 사용한 심호흡방법은 수술 후의 노력성 폐활량에서 24시간에 $1.46{\pm}0.54L$, 48시간에 $1.58{\pm}0.60L$, 72시간에 $1.90{\pm}0.61L$로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3.530, P=0.035). 즉 시간경과에 따라 폐환기능의 회복에 효과적이었다. 3) 호흡기구를 사용하지 않은 자발적인 심호흡 방법은 수술 후 노력성 폐활량이 24시간에 $1.19{pm}0.43L$, 48시간에 $1.35{\pm}0.42L$, 72시간에 $1.51{\pm}0.38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F=3.480, P=0.037), 술 후 일초 노력성 호기량도 24시간에 $1.00{\pm}0.28L$, 48시간에 $1.20{\pm}0.37L$, 72시간에 $1.33{\pm}0.33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므로(F=6.153, P=0.004), 술 후 폐환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다. 4) 실험군과 대조군의 수술 후 노력성 폐활량은 수술 후 72시간에서 실험군이 $1.90{\pm}0.61L$, 대조군이 $1.51{\pm}0.38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620, P=0.013). 5) 실험군과 대조군의 수술 후 일초 노력성 호기량은 수술 후 24시간에서 $1.33{\pm}0.56L,\;1.00{\ge}0.28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2.530, P=0.017), 술 후 72시간에서 $1.72{\pm}0.65L,\;1.33{\pm}0.3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540, P=0.016). 6) 대상자의 술 후 폐환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폐환기능의 차이를 보면, 실험군의 술 후 노력성 폐활량이 48시간에 남자($1.78{\pm}0.61L$)가 여자($1.27{\pm}0.45L$)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t=2.170, P=0.042), 72시간에도 역시 남자($2.16{\pm}0.56L$)가 여자($1.50{\pm}0.47L$)보다 더 높았다(t=2.910, P=0.008). 술 후 일초 노력성 호기량은 24시간에서 남자가 $1.54{\pm}0.60L$, 여자가 $1.00{\pm}0.30L$으로 유의하였고 (t=2.460, P=0.023), 48시간에 남자가 $1.64{\pm}0.62L$, 여자가 $1.09{\pm}0.41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2.360, P=0.028), 72시간에도 남자($1.96{\pm}0.62L$)가 여자($1.33{\pm}0.50L$)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t=2.540, P=0.019). 즉 실험군의 술 후 폐환기능은 남자가 여자보다 더 우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요약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Incentive Spirometer를 사용한 심호흡법이 호흡기구를 사용하지않은 자발적인 심호흡보다 술 후 폐환기능 회복에 있어서 더 우수한 방법이었다. 그러므로, 임상간호사는 상복부 수술환자의 술 후 폐환기능 회복을 돕고 나아가 폐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Incentive Spirometer를 사용한 규칙적인 심호흡법을 술 후에 간호중재의 한 방안으로 실시할 것을 권장하며, 아울러 병동의 사정 상 호흡기구의 비치가 가능하지 않다면 호흡기구를 사용하지않은 자발적인 심호흡법을 술후에 꾸준히 적용하는것도 임상간호학발정에 기여하리라고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