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술실

검색결과 426건 처리시간 0.026초

수술실 CCTV 설치 및 운영에 대한 고찰 (A study on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the CCTV in Operating Room)

  • 김민지
    • 의료법학
    • /
    • 제20권1호
    • /
    • pp.109-132
    • /
    • 2019
  • 최근 수술 관련 의료사고가 증가하고, 일부 의료사고가 보건범죄와 연루되었다는 사실이 언론에 보도되었다. 환자단체는 수술실 내 CCTV 설치 및 운영 의무화를 촉구하였고, 이에 대한 이해관계인들의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어 관련 법령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술실 CCTV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고, 수술실 CCTV 설치 및 운영에 관련 법령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현재 의료기관 내에서 CCTV는 시설물 관리용 및 환자안전관리용을 주목적으로 사용되고, 수술실의 경우 의료기관이 선택적으로 CCTV를 설치 및 운영하고 있다. 헌법은 모든 개인의 사생활 및 통신의 비밀과 자유를 침해받지 않을 권리를 보장하고 있으나, 이는 공공복리를 위해 법률로써 제한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수술실 CCTV 설치 및 운영과 관련하여 법률이 현재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는 법률의 흠결에 해당할 수 있다. 현 법체계상으로는 수술실 CCTV 설치가 의무화될 경우 정보주체인 의료진의 권리에도 불구하고 보건의료서비스 공급자의 특성상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침해받을 가능성이 크다. 또한, 영상정보처리기기운영자의 CCTV 조작 시 열람과 업무 중 알게 되는 비밀의 누설에 관한 제한규정이 미흡한 상태여서 영상정보의 안전성이 위협받을 수 있다. 나아가, 수술실 CCTV의 경우 영상정보 보관기간, 보관장소 등이 명확히 규정되지 않는다면 환자안전과 의료사고 예방이라는 본래 목적에 부합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수술실 CCTV 설치 및 운영에 대해서 현재 활발하게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고, 관련 의안이 몇 차례 발의되고 있어 이에 대한 법적 검토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지만 이에 관한 선행연구가 거의 없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향후 수술실 CCTV 설치 및 운영 관련 법령 제·개정 시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비콘과 홍채인식 기반의 의료진 신분확인 시스템 제안 (A Proposal of Beacon and Iris Recognition Based Medical Identification System)

  • 임세진;권혁동;서화정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6-68
    • /
    • 2020
  • 최근 대리수술 (무면허의료행위)과 같이 환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사건들이 언론에 보도되고 있다. 대리수술 방지를 위한 수술실 감시카메라 장치 도입 등의 대안이 등장하고 있지만, 의료계의 거센 반발로 인해 시행되기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대리 수술과 같은 사건이 빈번하 발생함에 따라 의사에 대한 사회적 신뢰도가 추락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인 비콘(Beacon)과 생체인식 중 안잔하고 신뢰할 수 있는 홍채인식을 결합한 의료진 신분 확인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홍채인식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1차적인 신분확인을 하고 비콘을 통해 의료진이 수술실에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또한 무작위 주기로 홍채인증을 수행하여 의료진이 초기 인증만 수행하고 수술실을 떠나는 경우를 방지함으로써 집도의에 대한 환자의 신뢰를 보장한다.

수술실 간호사의 물품관리 업무역량과 업무만족도 연구 (The Competence and Satisfaction on Inventory Management of the Operating Room Nurses)

  • 손정숙;최경숙;김현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449-458
    • /
    • 2016
  • 본 연구는 700병상이상 병원의 3개 수술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물품관리 업무역량(물품관리능력, 인식정도, 지식정도)과 업무 만족도를 파악한 후에, 3개 수술실 간에 결과의 차이가 있는지 여부와 물품관리 업무역량과 업무만족도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관련된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수술간호 업무역량과 업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교육과 간호업무 개선활동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기입식으로 시행되었고, 연구대상은 현재 6개월 이상 수술실에서 수술간호에 참여 중인 간호사로 하였고 연구 참여자는 181명이였다. 연구결과 물품관리능력의 평균평점은 4.2점(${\pm}0.56$), 인식정도 3.4점(${\pm}0.76$), 지식정도는 3.5점(${\pm}0.40$)이고 업무 만족도는 3.4점(${\pm}0.55$)이었다. 3개 수술실 간호사 그룹 간의 물품간호 업무역량과 업무만족도의 결과에 차이는 없었고, 물품관리능력과 지식정도는(r=.627, p<0.01)이고, 지식정도와 인식정도는(r=.663, p<0.01)이며, 인식정도와 만족도는 (r=.485, p<0.01)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수술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이 물품관리 업무역량과 업무만족도에 미치는 관련요인으로는 연령이 물품관리 업무역량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고, 그 외의 항목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병원 간호사들의 지속적인 인력관리와 교육, 병원간의 의사소통 채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자료로 활용하여 수술실 간호사 역량과 만족도의 유지 및 향상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수술환자의 수술장 내 대기시간 단축방안 (The Shortening Alternatives of Waiting Time in Operation Place Area of Operating Patients)

  • 박말영;임은성;박지영;노지현;추은영;유재연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65-71
    • /
    • 2009
  • 문제: 환자가 수술장 내에서 수술을 기다리면서 느끼는 불안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하지만 수술실의 효율성 및 의료진 편의성 위주로 운영되고 있어 수술실 내 대기시간이 연장되고 있다. 목적: 수술장 내 대기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수술환자의 이동경로에 따른 지연요인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하여 환자가 수술을 기다리면서 느끼는 불안감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의료기관: 부산시에 소재한 481병상의 종합병원 수술실 질 향상 활동: 수술환자의 대기시간 지연요인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을 통해 질 향상을 도모하였다. 개선효과: 대기시간 수행율에서 수술장 도착까지의 수행율이 개선전 95%에서 개선후98%로, 수술방 입실까지의 수행율이 개선전 88%에서 개선후 94%로, 마취시작까지의 수행율이 개선전 93%에서 개선후 96%로 수행율이 높아졌다.

  • PDF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의식과 안전관리활동 (A Study on Perception and Nursing Activity for Patient Safety of Operating Room Nurses)

  • 박소정;최은희;이경수;정귀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332-339
    • /
    • 2016
  •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인식과 안전관리활동을 분석한 후 상관관계를 파악한 연구이다. 목적은 수술환자의 안전관리활동 수행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안전한 수술실 환경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에 소재한 8개 종합병원 수술실 간호사 161명이었고, 자료 분석은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 ANOVA, Correlation coefficient를 실시하였으며 사후분석으로 Scheffe's 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인식 점수는 5점 만점에 3.33점이었으며, 환자안전관리활동 점수는 5점 만점에 4.28점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근무특성에 따른 환자안전인식을 분석한 결과 수술실 간호사의 근무시간에 따라서 환자안전인식이 차이가 있었으며 안전관리활동은 병상 수와 인증평가 준비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과 안전관리활동 간의 관계를 파악한 결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어 환자안전인식이 높을수록 안전관리활동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안전관리활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을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직원 간의 개방적인 논의와 환자안전에 대한 병원의 지원 및 주기적인 교육과 같은 중재가 필요하다.

수술실 간호사의 경력몰입과 전문직관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eer Commitment and Professionalism of Perioperative Nurse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 윤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7193-7203
    • /
    • 2014
  •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경력몰입과, 전문직관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병원 수술간호사회 보수교육에 참석한 수술실 간호사 315명이며, 자료 분석은 SPSS/PC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ANOVA, 단계적 다중선형 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조직몰입의 정도는 평균 $3.04{\pm}.42$, 평균 경력몰입은 $2.89{\pm}.67$. 전문직관은 $3.04{\pm}.29$로 나왔으며, 간호사의 경력몰입과 전문직관의 정도가 높을수록 수술실 간호사의 조직몰입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수가 조직몰입을 설명하는 설명력의 정도는 37.3%로 나타났으며 경력몰입(${\beta}$=0.395)이 전문직 관(${\beta}$=0.298)보다 조직몰입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술실 간호사들의 조직몰입을 통한 인적자원관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수술실 간호사의 방사선 노출 경험: 현상학적 연구 (Paper Operration room nurses Experience in Using Radiation Suegery: Phenomenological Research)

  • 윤재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426-43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방사선 노출 경험을 참여자의 관점에서 확인함으로써 수술실 간호사의 방사선 노출 경험에 대한 구성요소를 확인하고 의미구조를 밝히는 데 있다. 연구의 참여자는 일 광역시 종합병원 수술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로 수술실 경력이 6개월 이상인 자 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심층면담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Giorgi(2004)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술실 간호사의 방사선 노출 경험은 "반복되는 방사선 노출로 질환 발생을 걱정함", "육체적, 정신적으로 소진됨", "방사선 방어를 통해 자기보호를 하고자 노력함", "내적 혼란과 갈등을 느낌", "근무환경 개선을 요구함", "현실을 받아들이고 적응함"의 6개 구성요소로 도출 되었다. 결론으로 이들의 경험은 방사선 노출 수술에 참여하면서 질환 발생을 걱정하고 방사선 피폭과 관련된 신체적, 정신적 소진을 경험하고 갈등을 느끼면서 이직을 고려하기도 하지만 자기보호를 하고자 노력하고 현실을 받아들이고 적응하는 과정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의 바탕으로 방사선 안전 환경조성을 위해서는 조직적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구체적인 해결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수술실 간호사의 언어폭력경험, 언어폭력충격, 및 소진간의 상관성에 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Relationship among Verbal violence experience, Verbal violence impact and Burnout in Operating Room Nurses)

  • 이수진;김주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85-96
    • /
    • 2017
  • 본 연구목적은 수술실 간호사의 언어폭력경험, 언어폭력충격 및 소진정도를 파악하고 그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수술실 간호사 20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하였으며 분석은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상관계수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수술실 간호사들의 언어폭력경험수준은 평균 1.96점, 언어폭력충격수준은 평균 1.67점, 소진정도는 평균 3.08점으로 나타났다. 언어폭력경험수준은 언어폭력충격수준 및 소진정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39, p<.001; r=.41, p<.001) 언어폭력충격수준도 소진정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29, p<.001). 소진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언어폭력경험, 언어폭력충격수준 및 직위(일반간호사)였으며 이들 요인은 수술실 간호사의 소진정도를 30% 설명하였다(F=9.15, p<.001). 이상의 결과를 통해 수술실 간호사의 언어폭력경험은 개인적, 사회적 측면에서 안정감과 생산성을 위협하며, 의료현장에서의 언어폭력예방을 위한 중재방안의 모색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십이지장루를 동반한 횡행결장암 1예 (Transverse Colon Cancer with Duodenal Fistula)

  • 임성경;박선자;박무인;문원;김성은;백승언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2권2호
    • /
    • pp.68-71
    • /
    • 2014
  • 한 달 동안의 점점 커지는 복부의 종괴를 주소로 방문한 57세 남자 환자에서 대장-십이지장루를 동반한 대장암을 진단하였으며, 이에 대해 수술 전 동시 항암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여 수술 범위를 줄일 수 있었던 좋은 예였다. 국소적으로 진행된 대장암 환자에서 본 증례와 같은 합병증으로 수술의 범위가 커질 가능성이 있다면, 보존적 치료 및 수술 전 동시 항암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여 수술 범위를 좁히는 것이 환자의 치료 경과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수술실 간호오류 예방을 위한 사례중심 멀티미디어 학습콘텐츠 개발 (Development of Case-based Multimedia Learning Contents for Preventing Malpractice in Operating Room)

  • 박지명;황선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522-53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수술실에서의 간호오류 예방을 위한 간호사 대상의 교육을 목적으로 문헌고찰과 실제 경험한 오류사례와 요구도 조사 및 수술실 사건보고서 자료 분석을 통하여 사진, 음성녹음, 플래시 애니메이션, 동영상 자료를 활용한 사례중심 멀티미디어 학습콘텐츠를 개발하였다. 1시간 분량의 학습콘텐츠는 4가지 학습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학습영역별로 성우의 음성과 함께 플래시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실제 간호오류 사례를 이야기 형식으로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로부터 흥미와 현장감을 높였다. 또한 각 영역별 사례를 통해 학습자에게 비판적 사고를 유도하였고 표준화된 수술실 간호업무프로토콜을 대처방안으로 제시함으로써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학습콘텐츠는 신규간호사 뿐만 아니라 경력 간호사의 수술실 간호오류 예방을 위한 교육용 자료로써 실무에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라며, 콘텐츠의 지속적인 수정 보완을 위한 시스템 마련과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