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소 비용

Search Result 162,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Environmental and economic life cycle analysis of hydrogen as Transportation fuels (자동차 연료로서 수소의 전과정 환경성/경제성 분석)

  • Lee, Ji-Yong;Cha, Kyung-Hoon;Yu, Moo-Sang;Lee, Soo-Yeon;Hur, Tak;Lim, Tae-W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543-547
    • /
    • 2007
  • 화석연료의 점진적 고갈과 그 사용에 따른 지구온난화 그리고 에너지 안보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계 각국에서는 대체에너지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 중 수소는 가장 주목받고 있는 대체에너지 원으로 현재 기술개발을 통하여 상업화 시기를 앞당기려고 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현재는 수소에너지 시대의 진입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수소는 다양한 소스에서 생산될 수 있으며, 수송연료로 연소 시, 유해 배출물이 거의 나오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수소는 그 생산 경로에 따라서, 다양한 환경성 및 경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수소 생산 방식으로 개발/상업화 되어 있는 NGSR, Naphtha SR, WE에 대하여, LCA와 LCCA 방법을 통하여, 수소 경로 전반 즉, 원료채취에서부터 자동차로 주행하였을 때까지를 포함하여 각 대상 수소 경로의 환경성과 경제성을 평가하였다. LCA와 LCCA 결과를 살펴보면, Naphtha SR 및 NGSR 수소 경로에서는 지구온난화와 화석자원 소모 부문 모두 기존연료와 비교해보았을 때 개선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나, WE 수소 경로에서는 오히려 환경부하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용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수소에 가솔린과 동일한 연료 세율을 부과하더라도 수소가 가솔린에 비하여 주행 시 연료 비용이 저감되어 연료로서 가격경쟁력을 확보하였으며, 연료세를 부과하지 않는 다면, Naphtha SR로 생산하여 유통한 수소가 수송연료로써 가장 비용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conomic Evaluation of Two-step Biohydrogen/biomethane Production Process (이단계 바이오 수소/메탄 생산공정의 경제성 평가)

  • Oh, You-Kwan;Kim, Yu-Jin;Kim, Mi-Sun;Park, Sung-Hoo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 /
    • v.17 no.1
    • /
    • pp.98-10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이 단계 연속 바이오 수소/메탄 생산공정의 경제성을 조사하였다. 경제적 관점에서 다양한 수소 및 메탄 발효용 생물반응기를 비교 평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포도당으로부터 일 단계 수소발효를 위해 고온 trickling biofilter 반응기 (TBR, $100\;m^3$ 규모)를, 일 단계 반응의 부산물로 생성된 유기산과 알콜류의 이 단계 메탄전환을 위해 고온 upflow anaerobic sludge 반응기 (UASB; $700\;m^3$ 규모)를 선정하였다. 본 이 단계 공정의 수소생산 비용은 $$\;0.26/Nm^3$으로 계산되었고, 이는 고온 TBR 반응기만을 이용한 경우보다 약 30 % 낮았다. 이 단계 공정의 낮은 수소생산 비용은 높은 에너지 회수율과 낮은 슬러지 처리비용에 의한 것이었다. 생물학적 수소 생산공정의 경제성은 탄소원의 종류, 생물반응기의 형태 등 여러 인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나, 본 연구결과는 향후 연구를 위한 유용한 기준으로 고려될 수 있다.

Environmental and economic life cycle analysis of hydrogen as Transportation fuels (자동차 연료로서 수소의 전과정 환경성/경제성 분석)

  • Lee, Ji-Yong;Cha, Kyoung-Hoon;Yu, Moo-Sang;Lee, Soo-Yeon;Hur, Tak;Lim, Tae-Won
    • New & Renewable Energy
    • /
    • v.3 no.2 s.10
    • /
    • pp.31-39
    • /
    • 2007
  •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인한 자원고갈과 지구온난화 영향 그리고 에너지 안보문제의 해결을 위해 세계 각국들은 대체에너지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 중 수소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생산 가능하고, 수송연료로 사용 시, 유해 물질이 거의 배출되지 않는다는 장점 때문에 가장 주목받는 대체 에너지원이다. 현재는 수소생산 기술개발을 통해 상업화시기를 앞당기려고 하는 수소에너지 시대의 진입시점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수소는 생산경로에 따라 다양한 환경성 및 경제성 결과를 도출 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평가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수소생산 방식으로 개발/상용화되어있는 Natural Gas Steam Reforming (NGSR), Naphtha Steam Reforming (Naphtha SR), Water Electrolysis (WE)에 대하여, Life Cycle Assessment (LCA)와 Life Cycle Costing Analysis (LCCA) 방법을 사용하여, 수소경로 전반에 대한 즉, 원료채취부터 자동차로 주행하였을 때까지의 각 대상 수소경로의 환경성과 경제성을 평가하였다. LCA와 LCCA 결과는 Naphtha SR과 NGSR 수소경로에서 지구온난화와 화석자원 소모 부문 모두 기존연료 (가솔린, 디젤)와 비교해서 개선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나, WE 수소경로는 오히려 환경부하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성 측면에서는, 수소 판매 시 가솔린과 동일한 연료세율을 부과하더라도 수소가 가솔린에 비해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게 되는데, 이는 주행 시 수소자동차의 연비가 기존 차량에 비해 월등히 좋기 때문에 연료비용의 이점 때문이다. 만약, 수소에 연료세를 부과하지 않는 다면, Naphtha SR로 생산하여 유통한 수소가 수송연료로서 가장 뛰어난 비용효율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Fuel economy and Life Cycle Cost Analysis of Fuel Cell Hybrid Vehicle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연료 경제성 및 Life cycle 비용 분석)

  • Jung, Kwi Seong;Oh, Byeong So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 /
    • v.13 no.4
    • /
    • pp.287-296
    • /
    • 2002
  • 현재 자동차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착실한 엔진은 수소를 이용한 연료 전지라고 판단된다. 연료전지는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직접 변환하는 장치이다. 순수한 연료전지 차량과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고려하여야할 점은 효율, 연료경제성, 출력 특성 등이 있다. FUDS 싸이클 시뮬레이션 비교를 하면 하이브리드화가 순수 연료전지 차량 보다 효율이 높다. 이는 회생 제동 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으며 battery를 이용하여 연료전지를 효율적인 영역에서 작동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Life cycle 비용은 연료전지의 크기, 연료전지의 가격, 수소의 가격 등에 지배적인 영향을 받는다. 연료전지의 가격이 고가이면 하이브리드화가 유리하나, 연료전지의 가격이 400$/kW 이하가 되면 순수한 연료전지 자동차가 비용면에서 유리 하다.

Feasibility Study of the Combustible Gab Control System Following a LOCA (냉각재 상실사고시 가연성 가스제거 계통의 타당성 조사)

  • Hyung Won Lee;Chang Sun Ka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6 no.4
    • /
    • pp.217-223
    • /
    • 1984
  • The feasibility of not employing recombiners rather using the postaccident Purge system alone to control hydrogen concentration in the containment following a LOCA, is analyzed in this paper. For this study, the hydrogen concentration in the containment, hydrogen removal through the purge system, and additional off-site dose due to hydrogen purge were calculated. The economic justification of a hydrogen recombiner system (2 recombiners) was also investigated by using the cost benefit concept. As a result, the purge system is sufficient to maintain the hydrogen concentration at a safe level without hydrogen recombiners, and it meets the dose limit requirements set forth in 10 CFR part 100. A hydrogen recombiner system would be justified based on cost-benefit concept for common use in a site with 4 units or more.

  • PDF

Hydrogen Production from hydrocarbon by carbon black decomposition (탄화수소류로부터 카본블랙에 의한 수소생산)

  • Yoon, Suk-Hoon;Han, Gi-Bo;Lee, Jong-Dae;Park, No-Kuk;Ryu, Si-Ok;Lee, Tae-Jin;Yoon, Ki-June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638-641
    • /
    • 2005
  • 수소는 자원이 무한하고 청결한 에너지이다. 수소는 무공해 청정 대체연료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풍부한 자원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수소에너지는 물을 분해하여 얻거나 화석연료를 수증기개질 또는 부분산화 시킴으로써 얻을 수가 있다. 수소에너지는 1차 에너지를 변환시켜 얻을 수 있는 2차 에너지로서 환경에 대한 부하가 거의 없어 향후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가장 가능성이 높은 에너지이며, 연료전지의 상용화를 앞두고 있어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 중 가장 이상적인 방법으로는 물분해함으로써 수소를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물분해에 의한 수소생산은 제조비용이 비싸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점과 수소의 대량생산에 필요한 기술확보가 여의치 않아 어렵다. 그러므로 수소를 저 비용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수소 제조 기술의 확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수소제조방법은 거의 석유나 천연가스의 수증기 개질에 의한 수소 제조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유해 환경 물질인 CO나 $CO_2$를 배출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키 위한 수소 제조공정의 대안 중 하나는 탄화수소연료의 수소와 탄소로의 직접분해에 의한 수소생산이다. 이 중 원하는 생성물인 수소 외에 부산물이 카본이 동시에 얻을 수 있는 메탄분해에 의한 수소생산방법은 생산된 수소의 약 15%만 연소시킴으로서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으며, 동시에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CO 또는 $CO_2$가 생성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메탄을 분해하기 위해서는 매우 높은 에너지가 필요로 하게 된다. 이에 반해 프로판은 메탄보다 낮은 열원에서 분해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메탄보다 분해하기 쉬운 프로판을 직접 분해하여 수소를 생산하고자 하였다. 프로판 직접분해반응는 $500\sim750^{\circ}C$의 온도 범위에서 이루어 졌으며, 촉매로서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상용촉매인 카본블랙을 이용하였다.

  • PDF

Optimization of Hydrogen Production Process using 50 Nm3/h Biogas (50 Nm3/h급 바이오가스 직접 이용 수소 생산 공정 최적화)

  • Gi Hoon Hong;DongKyu Lee;Hyeong Rae Kim;SangYeon Hwang;HyoungWoon Song;SungJun Ahn;SungWon Hwa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8 no.1
    • /
    • pp.44-52
    • /
    • 2024
  • This study presents a novel approach to hydrogen production by biogas from organic waste without CO2 removal. A process model was developed to reduce the costs associated with biogas pretreatment and purification processes. Through optimization of heat exchange networks, the simulation aimed to minimize process costs, maximizing hydrogen production and flue gas temperature. The results reveal that the most efficient process model maximizes the flue gas temperature while following the constraint of the number of heat exchangers. These findings hold promise for contributing to the expansion of "Biogas-to-clean hydrogen" energy conversion technology.

Economic Efficiency of Using Existing Pipe Line in Hydrogen Network (수소 네트워크 구성 시 기존 파이프 라인 활용의 경제적 효과)

  • Kim, Daehyeon;Jeong, Changhyun;Han, Chonghun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6 no.3
    • /
    • pp.598-603
    • /
    • 2008
  • In petrochemical complex, Hydrogen Network optimization is surveying the extra Hydrogen and needed Hydrogen of each company and calculating the optimized distribution. This paper compares the case of using the existing pipeline and the case of not using the existing pipeline to show the effect quantitatively and clearly by modeling the both cases and using mathematical programming. As a result, using the existing pipeline can save the pipe cost over 20% and increase the whole network benefit by thirteen billion won.

Estimating the Investment Value of Fuel Cell Power Plant Under Dual Price Uncertainties Based on Real Options Methodology (이중 가격 불확실성하에서 실물옵션 모형기반 연료전지 발전소 경제적 가치 분석)

  • Sunho Kim;Wooyoung Jeo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31 no.4
    • /
    • pp.645-668
    • /
    • 2022
  • Hydrogen energy is emerging as an important means of carbon neutrality in the various sectors including power, transportation, storage, and industrial processes. Fuel cell power plants are the fastest spreading in the hydrogen ecosystem and are one of the key power sources among means of implementing carbon neutrality in 2050. However, high volatility in system marginal price (SMP) and renewable energy certificate (REC) prices, which affect the profits of fuel cell power plants, delay the investment timing and deployment. This study applied the real option methodology to analyze how the dual uncertainties in both SMP and REC prices affect the investment trigger price level in the irreversible investment decision of fuel cell power plants. The analysis is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three. First, under the current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RPS), dual price uncertainties passed on to plant owners h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investment trigger price relative to one under the deterministic price case. Second, reducing the volatility of REC price by half of the current level caused a significant drop in investment trigger prices and its investment trigger price is similar to one caused by offering one additional REC multiplier. Third, investment trigger price based on gray hydrogen and green hydrogen were analyzed along with the existing byproduct hydrogen-based fuel cells, and in the case of gray hydrogen, economic feasibility were narrowed significantly with green hydrogen when carbon costs were appl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urrent RPS system works as an obstacle to the deployment of fuel cell power plants, and policy that provides more stable revenue to plants is needed to build a more cost-effective and stable hydrogen ecosystem.

The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of 100-MW Power-to-Gas System (100 MW급 Power-to-Gas 시스템의 사전 경제성 분석)

  • Ko, Areum;Park, Sung-Ho;Kim, Suhyun
    • Clean Technology
    • /
    • v.26 no.1
    • /
    • pp.55-64
    • /
    • 2020
  • According to the Korean Renewable Energy 3020 Implementation Plan, the installation capacity of renewable energy is expected to increase whereas technology for storing excess electricity and stabilizing the power supply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s extremely required. Power-to-Gas is one of energy storage technologies where electricity is converted into gas fuel such as hydrogen and methane. Basically, Power-to-Gas system could be effectively utilized to store excess electricity generated by an imbalance between supply and demand. In this study, the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of Power-to-Gas reflecting the domestic situation was carried out. Total revenue requirement method was utilized to estimate the levelized cost of hydrogen. Validation on the economic analysis method in this study was conducted by comparison of the result, which is published by the International Energy Agency. The levelized cost of hydrogen of a 100-MW Power-to-Gas system reflecting the current economic status in Korea is 8,344 won kg-1. The sensitivity analysis was carried out, applying the main analysis economic factors such as electricity cost, electrolyser cost, and operating year. Based on the sensitivity analysis, the conditions for economic feasibility were suggested by comparing the cost of producing hydrogen using renewable energy with the cost of producing natural gas reformed hydrogen with carbon capture and stor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