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소저장용기

Search Result 90,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수소저장용기의 재료와 안전성 확보

  • Kim, Nam-Hun;Lee, Jung-Hui
    • Journal of the KSME
    • /
    • v.51 no.11
    • /
    • pp.32-36
    • /
    • 2011
  • 수소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이용하기 위해서는 수소저장용기에 사용되는 재료의 안전성 확보 방안이 매우 중요하며, 또한 이러한 재료가 수소저장용기에 적용될 경우에 적용 재료 및 용기의 안전성 확보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 PDF

The Direction and Development of KGS Safety Code of High Pressure Hydrogen Cylinder for the Hydrogen Fuel Cell Vehicle (수소연료전지 자동차용 고압수소용기의 KGS안전기준 개발 및 방향)

  • Kim, Chang Jong;Lee, Seung Hoon;Kim, Young Gyu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12.2-112.2
    • /
    • 2010
  • 지구의 온난화로 인한 기상변화 등이 계속적으로 발생하는 가운데 전 세계는 지구 온난화의 가장 근본적인 원인인 이산화탄소의 방출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전 세계적으로 각종의 기후협약 체결, 리우선언, 도쿄의정서 등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원인인 석유 등 화석에너지 배출을 억제하기 위한 활동이 행해지고 있으며, 기존의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에너지를 발견하기 위한 연구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러한 계속적인 연구개발에서, 세계의 국가들은 친환경 에너지인 태양열, 풍력, 지열 및 수소에너지와 같이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에너지를 조사하고 개발해왔고 현재도 가장 적합한 에너지 자원을 찾기 위하여 노력 중에 있다. 최근에, 수많은 대체에너지 중 수소 에너지는 유해배출가스가 없기 때문에 가장 유망한 대안이라고 판단되어 전 세계가 수소에너지 연구개발에 주목하고 있다. 이러한 수소에너지를 교통수단에 적용하기 위하여 전 세계적으로 안전성 및 기술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과 안전기준의 확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 기술적으로 수소를 자동차용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수소를 액체 상태 및 압축 상태로 저장하는 것이다. 두 가지 저장방법 중 세계 대부분의 자동차 메이커들은 수소를 압축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자동차의 주행거리를 최대한 확보하기 위하여 수소가스를 고압으로 압축한 상태로 저장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고압의 수소를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는 고압수소용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수소연료전지 자동차에 장착이 가능한 고압으로 압축된 수소를 저장할 수 있고, 자동차에 탑재할 수 있도록 적합한 크기의 가벼운 용기의 개발이 진행되어지고 있다. 자동차용 용기는 크게 4가지 타입으로 구분지어 진다. 현재는 4가지 타입의 압축용기 중 안전성과 중량을 만족시키기 위해 Type3와 Type4 형태의 용기가 수소자동차에 시범적으로 적용되어 운용되고 있다. 또한 고압수소용기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준 및 코드가 국 내외에서 연구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소연료전지자동차에 장착되는 고압수소용기의 국제기준 동향에 따른 국내의 차량용 고압수소용기를 위한 KGS 안전기준의 개발현황과 개발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he International Code Trend of High Pressure Hydrogen Cylinder and Establishing Domestic Code for the Hydrogen Fuel Cell Vehicle (수소연료전지차량 고압수소용기의 국제기준 동향 및 국내기준 개발방향)

  • Kim, Chang Jong;Lee, Seung Hoon;Kim, Young Gyu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225.2-225.2
    • /
    • 2010
  • 전 세계는 온실 가스의 방출을 줄이기 위하여 기존의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를 찾기 위해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러한 계속적인 연구에서, 전 세계의 국가들은 태양열, 풍력, 지열 및 수소에너지와 같이 화석연료를 대체할 다양한 가스를 조사해왔다. 대체에너지 중 수소 연료는 실제로 배출가스가 없기 때문에 가장 유망한 대안이라고 할 수 있다. 연료전지자동차용 연료로 수소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저장합금, 액체 및 압축 상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이 중 세계 대부분의 자동차 메이커 들은 수소를 압축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주행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고압상태로 수소가스를 저장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수소연료전지 자동차용으로 고압의 수소를 저장할 수 있고, 자동차에 탑재할 수 있도록 가벼운 용기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 중 Type3와 Type4 형태의 용기가 시범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용기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준들이 국 내외에서 개발되고 있다. 현재 국제기준 중 UN ECE의 WG.29에서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수소연료전지 자동차용 용기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기준을 개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ISO. 15869의 기술기준에 대한 안전성 분석과 미국의 SAE J2579의 기술 보고서에서 제시한 새로운 개념의 안전성 평가 기법을 기준으로 제정되고 있는 UN ECE WG.29의 draft초안을 비교하고, 향후 수소연료전지 자동차용 용기를 위한 국내기준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Evaluation on Behavior of Hydraulic Cycling Test for Type3 Hydrogen Composite Cylinder (수소복합재용기 TYPE3에 대한 수압반복 거동 평가)

  • Cho, Sung Min;Lee, Seung Hoon;Lyu, Geun Jun;Kim, Young Gyu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98.2-98.2
    • /
    • 2011
  • 지구 온난화의 원인이 되는 이산화탄소를 저감하며 유해한 배기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수소연료전지자동차(FCV)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가스안전공사에서 현재 구축하고 있는 평가장비는 이러한 수소연료전지자동차용으로 사용되는 고압용기의 수압반복시험 및 밸브류로 구성된 고압수소저장시스템의 단품 및 시스템 평가를 통한 안전신뢰성 검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현재 수소연료전지자동차는 차량이나 부품의 시험 방법에 대한 통일된 기준/표준/시험법이 아직 완전하게 정비되어 있지 않고, 시장에서의 도입 제도, 기준 등이 만들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또한 연료로 수소를 사용하는 도입단계에 있기 때문에, 수소용기가 반복압력변동에 따라 어떤 거동을 나타내는지에 대한 실험관련 연구가 미진한 상태이다. 따라서 수소연료전지자동차용 고압수소저장시스템에 대한 내구성,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수소연료전지자동차에서 중요한 부품인 용기에 대한 반복피로시험이 필요하다. 특히 복합재 용기 분야에서 Type3용기에 대한 높은 안전성과 내구성이 보고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얼마나 다른 용기에 비해 높은 성능을 가지고 있는지 국내에서는 체계적으로 검증된바 없다. 따라서 구축된 수압반복 장비를 이용하여 Type3 용기에 대한 수압반복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소용기의 거동을 확인하고자 한다.

  • PDF

The Analysis and Comparison of Fire Test for the High Pressure Composite Cylinder by Type (고압복합재용기 Type에 따른 화염시험 비교 분석)

  • Kim, Chang Jong;Lee, Seung Hoon;Lyu, Geun Jun;Kim, Young Gyu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98.1-98.1
    • /
    • 2011
  • 전 세계적으로 대표적인 대중교통으로 천연가스버스가 운행 중에 있으며, 천연가스의 저장을 위하여 대부분의 차량이 복합용기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친환경자동차로 개발되고 있는 수소연료전지자동차도 수소 저장용으로 복합용기를 적용하여 상용화를 추진 중에 있다. 복합용기의 상용화가 증가하면서 복합용기의 안전성 확보가 가장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기체상태의 고압가스를 교통수단에 적용하기 위하여, 저장매체인 고압복합용기의 안전성 및 기술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과 안전기준의 확립을 위한 기준개발이 미국, 유럽, 일본 등 다수의 국가에서 진행되고 있다. 현재 복합용기의 안전성을 확인하는 기준은 각 나라의 기준에 따라 진행되고 있으며 천연가스자동차용 저장용기 국제표준으로는 ISO 11439가 적용되고 있다. 수소연료전지자동차용 수소용기의 안전기준은 아직 확립되지 않은 상태이며, 개발된 초안으로는 국제규정으로 UN ECE R No.79 및 국제기술표준으로 ISO/TS 15869가 있다. 개발 중인 국제기준 및 국내기준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이 화염시험이다. 화염시험은 자동차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용기의 폭발을 막기 위하여 안전밸브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지를 확인하는 시험이다. 하지만 현재의 시험방법으로는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국부적인 화염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화염시험기준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된 화염시험에 대한 결과와 화염시험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Behavior characteristics of hydrogen storage vessel(TYPE 1) under gas pressure and temperature conditions using FEM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수소저장용기 TYPE 1의 압력과 온도조건에 의한 거동특성 연구)

  • Cho, Seunghyun;Kim, Young Gyu;Ko, Young Bae;Lee, Il Kw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4 no.6
    • /
    • pp.61-69
    • /
    • 2020
  •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that occur in the hydrogen storage vessel TYPE 1 according to pressure and temperature conditions by FEM(Finite element method). Von Mises stress (VMS) generated at the highest pressure was compared with Yield strength (YS) of the material for structural safety assessment of the container, and the results of plastic strain energy density (PSED) were analyzed as basic data for life expectancy.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safety of the hydrogen gas storage vessel is not ensured due to the occurrence of VMS higher than the yield strength on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at a gas pressure of 40 Mpa or higher. In addition, the results of VMS caused by temperature conditions are very low and the behavior by temperature can be ignored. The maximum pressure of VMS/YS below 1 is calculated to be about 30 Mpa, indicating that the hydrogen storage container subject to this paper should be managed with a gas charging pressure of less than 30 Mpa.

연료전지 자동차의 고압수소저장에 관한 국제 동향

  • Kiyoshi, Yokogawa;Sin, Hyeong-Seop
    • Journal of the KSME
    • /
    • v.51 no.11
    • /
    • pp.45-50
    • /
    • 2011
  • 연료전지 자동차의 700MPa 고압수소저장을 위한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고압수소저장에서 재료 문제는 고압수소가스에 재료가 노출되는 데 다른 수소취화가 중요하여 그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차량탑재 용기와 수소 스테이션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규제를 비롯한 수소취화에 대응하여 그 재료 규제에 관한 국제 동향을 소개한다.

  • PDF

Self-Decomposition Characteristic of Concentrated Hydrogen Peroxide with Temperature and Stabilizer (저장 온도와 안정제 양에 따른 고농도 과산화수소의 자연 분해 특성)

  • Chung, Seung-Mi;An, Sung-Yong;Kwon, Se-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3 no.4
    • /
    • pp.16-21
    • /
    • 2009
  • This paper introduces the methods of hydrogen peroxide storage test and storability of concentrated hydrogen peroxide is estimated. Using the method of simple concentration measuring, storability was evaluated. Experiment variables were the amount of stabilizer in hydrogen peroxide, storage temperature, and caps of vessels.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during 8 months to 24 months. High purity hydrogen peroxide had much better storability than hydrogen peroxide with much stabilizer. In addition, the case using paraffin film which did not react with hydrogen peroxide for covering showed better storability. The temperature is very important variable in hydrogen peroxide storage. So, when hydrogen peroxide was under $10^{\circ}C$ storability of hydrogen peroxide is much improved.

A Numerical Analysis on the Stress Behavior Characteristics of a Pressure Vessel for Hydrogen Filling by FEM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수소충전용 압력용기의 응력 거동특성에 관한 수치적 연구)

  • Chol, Seunghyun;Byonl, Sung Kwang;Kim, Yun Tae;Choi, Ha Yo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6 no.3
    • /
    • pp.38-44
    • /
    • 2022
  • As the supply of hydrogen charging stations for hydrogen supply accelerates due to the hydrogen economy revitalization policy, the risk of accidents is also increasing. Since most hydrogen explosion accidents lead to major accidents, it is very important to secure safety when using hydrogen energy. In order to utilize hydrogen energy, it is essential to secure the safety of hydrogen storage containers used for production,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liquid hydrogen. In this paper, in order to evaluate the structural safety of a hydrogen-filled pressure vessel,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gas pressure were analyzed by finite element analysis. SA-372 Grade J / Class 70 was used for the material of the pressure vessel, and a hexahedral mesh was applied in the analysis model considering only the 1/4 shape because the pressure vessel is axisymmetric. A finite element analysis was performed at the maximum pressure using a hydrogen gas pressure vessel, and the von Mises stress, deformation, and strain energy density of the vessel were observed.

A Study on the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the hydrogen storage vessel(TYPE 1) with Notches using FEM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노치가 형성된 수소저장용기 TYPE 1의 거동 특성 연구)

  • Seunghyun Cho;Sang Hyun Kim;Yun Tae Kim;Ha Young Choi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7 no.2
    • /
    • pp.95-103
    • /
    • 2023
  • In this paper, in order to evaluate the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the hydrogen gas storage vessel(Type 1) when considering gas pressure, the VMS generated in the hydrogen gas storage vessel according to the notch shape of ISO 18119 was interpreted as a FEM(Finite El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maximum VMS generated in the longitudinal notch was higher than the transverse notch. In addition, the stress of the storage vessel was analyzed by the stress ratio, which is the yield strength ratio of the material to the VMS genera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in the case of a storage vessel with a notch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torage vessel increased to 0.85 and 0.50 at a gas pressure of 50 MPa, respectively, but were analyzed to be lower than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