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소저감

Search Result 238, Processing Time 0.198 seconds

Biological Hydrogen Production Processes (생물학적 수소생산 공정)

  • Shin, Jong-Hwan;Park, Tai Hyun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4 no.1
    • /
    • pp.16-22
    • /
    • 2006
  • Biological hydrogen production processes are more environment-friendly and less energy intensive than thermochemical and electrochemical processes. The biological process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photosynthetic hydrogen production and hydrogen production by dark fermentation. Photosynthetic process produces hydrogen mainly from water and reduces $CO_2$ simultaneously. Dark fermentation is a dark and anaerobic process that produces hydrogen by fermentative bacteria from organic carbon. The article presents a survey of biological hydrogen production processes.

Parametric Analysis of Design Capacity for Tritium Removal Facility

  • 손순환;정양근;이철언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05b
    • /
    • pp.250-255
    • /
    • 1997
  • 중수로형(PHWR) 원자력발전소는 감속재와 냉각재로 중수를 사용하고 있어 방사성 수소동위원소인 삼중수소 생성량이 경수로에 비해 크며 계통내 삼중수소 축적량은 운전년수에 따라 증가하게 된다. 중수로형 원전에서 삼중수소 저감화를 위한 장기 대책으로 Tritium Removal Facility를 적용하는 경우, 우선적으로 괴려하여야 할 사항은 적절한 TRF의 용량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는 초기 시설 투자비뿐만 아니라 설비 및 운전의 신뢰도와 이용율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연속운전이 가능하도록 용량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감속재를 대상으로 삼중수소 농도 목표치, 삼중수소 농도 목표치 도달기간, 탈 삼중수소율, TRF 적용시점이 TRF 처리량과 촉매탑 높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삼중수소 농도 목표치는 5~15Ci/kg, 도달기간은 3~8년, 탈 삼중수소율은 0.05~0.4, TRF 적용시점은 가동 후 10~20년이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Environmental and economic life cycle analysis of hydrogen as Transportation fuels (자동차 연료로서 수소의 전과정 환경성/경제성 분석)

  • Lee, Ji-Yong;Cha, Kyung-Hoon;Yu, Moo-Sang;Lee, Soo-Yeon;Hur, Tak;Lim, Tae-W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543-547
    • /
    • 2007
  • 화석연료의 점진적 고갈과 그 사용에 따른 지구온난화 그리고 에너지 안보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계 각국에서는 대체에너지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 중 수소는 가장 주목받고 있는 대체에너지 원으로 현재 기술개발을 통하여 상업화 시기를 앞당기려고 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현재는 수소에너지 시대의 진입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수소는 다양한 소스에서 생산될 수 있으며, 수송연료로 연소 시, 유해 배출물이 거의 나오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수소는 그 생산 경로에 따라서, 다양한 환경성 및 경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수소 생산 방식으로 개발/상업화 되어 있는 NGSR, Naphtha SR, WE에 대하여, LCA와 LCCA 방법을 통하여, 수소 경로 전반 즉, 원료채취에서부터 자동차로 주행하였을 때까지를 포함하여 각 대상 수소 경로의 환경성과 경제성을 평가하였다. LCA와 LCCA 결과를 살펴보면, Naphtha SR 및 NGSR 수소 경로에서는 지구온난화와 화석자원 소모 부문 모두 기존연료와 비교해보았을 때 개선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나, WE 수소 경로에서는 오히려 환경부하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용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수소에 가솔린과 동일한 연료 세율을 부과하더라도 수소가 가솔린에 비하여 주행 시 연료 비용이 저감되어 연료로서 가격경쟁력을 확보하였으며, 연료세를 부과하지 않는 다면, Naphtha SR로 생산하여 유통한 수소가 수송연료로써 가장 비용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alysis of Density Distribution for Hydrogen Flow Using Three-dimensional Digital Speckle Tomography (3차원 디지털 스페클 토모그래피를 이용한 수소 유동의 밀도 분포 분석)

  • Ahn, S.S.;Ko, H.S.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 /
    • v.16 no.3
    • /
    • pp.253-261
    • /
    • 2005
  • 석유 연료 고갈 해결 및 온실 효과 가스 배풀 저감을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는 수소는 다양한 에너지 저장체로 사용되어 질 수 있으나 안전성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어진다. 따라서, 일반적인 저장 형태인 고압 저장 탱크에서 누출이 되었을 경우 분사되는 수소의 거동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 보완책이 제시되어야 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누설 시 확산되는 수소의 밀도를 실제 거동과 유사한 3차원 컴퓨터 영상장으로 합성한 후 ART(algebraic reconstruction technique) 및 MART(multiplicative ART)를 기반으로 한 3차원 디지털 스페클 토모그래피 기법을 개발하여 재건하고 분석하였다.

Measuremets of Hydroperoxides with Automated Collection and HPLC Analysis (자동화된 포집과 HPLC 분석 자동시스템을 이용한 과산화수소의 측정)

  • 김영미;배성연;이미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237-238
    • /
    • 2002
  • 과산화수소는 광화학적 이차 생성물질이며 대기의 산화상태를 알려주는 지시자의 역할을 한다. H2O2 는 O3의 광분해로 시작되는 광화학 반응 중 HO2 radical 의 self reaction(HO2+ HO2+M$\longrightarrow$H2O2+M)으로 주로 생성된다(Lee,2000). 대기 내 수명이 1-2일인 과산화수소를 측정하므로써 오존의 대표적인 전구물질인 NOx와 VOC를 산화시키는 OH, HO2 라디칼의 농도를 예측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오존을 저감하는 대책을 세우는데 필요한 요인으로 사용된다. (중략)

  • PDF

Evaluation on Behavior of Hydraulic Cycling Test for Type3 Hydrogen Composite Cylinder (수소복합재용기 TYPE3에 대한 수압반복 거동 평가)

  • Cho, Sung Min;Lee, Seung Hoon;Lyu, Geun Jun;Kim, Young Gyu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98.2-98.2
    • /
    • 2011
  • 지구 온난화의 원인이 되는 이산화탄소를 저감하며 유해한 배기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수소연료전지자동차(FCV)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가스안전공사에서 현재 구축하고 있는 평가장비는 이러한 수소연료전지자동차용으로 사용되는 고압용기의 수압반복시험 및 밸브류로 구성된 고압수소저장시스템의 단품 및 시스템 평가를 통한 안전신뢰성 검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현재 수소연료전지자동차는 차량이나 부품의 시험 방법에 대한 통일된 기준/표준/시험법이 아직 완전하게 정비되어 있지 않고, 시장에서의 도입 제도, 기준 등이 만들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또한 연료로 수소를 사용하는 도입단계에 있기 때문에, 수소용기가 반복압력변동에 따라 어떤 거동을 나타내는지에 대한 실험관련 연구가 미진한 상태이다. 따라서 수소연료전지자동차용 고압수소저장시스템에 대한 내구성,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수소연료전지자동차에서 중요한 부품인 용기에 대한 반복피로시험이 필요하다. 특히 복합재 용기 분야에서 Type3용기에 대한 높은 안전성과 내구성이 보고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얼마나 다른 용기에 비해 높은 성능을 가지고 있는지 국내에서는 체계적으로 검증된바 없다. 따라서 구축된 수압반복 장비를 이용하여 Type3 용기에 대한 수압반복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소용기의 거동을 확인하고자 한다.

  • PDF

Improvement in Reduction Performance of LNT-Catalyst System with Micro-Reformer in Diesel Engine (연료 개질장치의 적용에 따른 디젤 LNT 환원성능 개선 특성)

  • Park, Cheol-Woong;Kim, Chang-Gi;Kim, Kwan-Tae;Lee, Dae-Hoon;Song, Young-Hoo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4 no.7
    • /
    • pp.689-696
    • /
    • 2010
  • The Because of its high thermal efficiency, the direct injection (DI) diesel engine has emerged as a promising potential candidate in the field of transportation. However, the amount of nitrogen oxides ($NO_x$) increases in the local high-temperature regions and that of particulate matter (PM) increases in the diffusion flame region during diesel combustion. In the de-$NO_x$ system the Lean $NO_x$ Trap (LNT) catalyst is used, which absorbs $NO_x$ under lean exhaust gas conditions and releases it in rich conditions. This technology can provide a high $NO_x$-conversion efficiency, but the right amount of reducing agent should be supplied to the catalytic converter at the right time. In this research,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a diesel engine equipped with a micro-reformer that acts as a reductants-supplying equipment were investigated using an LNT system, and the effects of the exhaust-gas temperature were also studied.

Air Pollutant Reduction Effect on Road Mobility in Hydrogen Economy Era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달성에 따른 교통 부문의 대기오염원 저감 효과 분석)

  • KIM, JUNGHWA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 /
    • v.31 no.6
    • /
    • pp.522-529
    • /
    • 2020
  •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atmospheric environment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supply of hydrogen fuel cell vehicles (HFCV) will be achieved as many as the number of vehicles presented in the hydrogen economy activation roadmap announced by the Korean government in January 2019. The HFCV supply target (2.7 million passenger cars) suggested in the hydrogen economy revitalization roadmap was logically allocated to the five major metropolitan areas in Korea. Air pollution damage costs by region were calculated by reflecting the basic unit of damage cost to the estimated air pollutant emission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benefits per unit of some cities in Gyeonggi-do were derived more than major c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 numerical analysis study on the flammable volume by leakage of hydrogen fuel vehicles in parking lot (지하주차장 내 수소연료차의 수소 방출시 가연체적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 Lee, Ho-Hyung;Kim, Hyo-Gyu;Yoo, Ji-Oh;Kim, Doo-Young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23 no.6
    • /
    • pp.439-449
    • /
    • 2021
  • The recent reduction in greenhouse gases, interest in environmental pollution such as low-carbon emission policies is increasing. Accordingly, the penetration rate of eco-friendly vehicles, including hydrogen battery vehicles capable of reducing carbon emission, is increasing, and thus it is required for disaster prevention and safety-related measures. In this study, the degree of risk for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hydrogen when leaking hydrogen fuel vehicles according to ventilation conditions was analyzed through numerical analysis, limited to places in parking lots. As a result, when only one hydrogen tank was released, the combustible volume ratio of hydrogen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was up to 8.6%, and as ventilation continued, the volume ratio of combustible hydrogen decreased to less than 1% after 150 seconds, indicating that mechanical ventilation is essential. In the case of simultaneous release or stage release of three hydrogen tanks, the final combustible volume ratio of hydrogen is similar, but the increase in the combustible volume ratio of hydrogen in the early stage of release is low, and further research is expected.

Hydrogen Sulfide Removal in Full-scale Landfill Gas Using Leachate and Chelated Iron (침출수 및 철킬레이트를 이용한 실규모 매립가스 내 황화수소 제거)

  • Park, Jong-Hun;Kim, Sang-Hyoun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27 no.2
    • /
    • pp.51-56
    • /
    • 2019
  • $H_2S$ is a detrimental impurity that must be removed for upgrading biogas to biomethane. This study investigates an economic method to mitigate $H_2S$ content, combining scrubbing and aeration. The desulfuriza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a laboratory apparatus using EDTA-Fe or landfill leachate as the catalyst and metered mixture of 50-52% (v/v) $CH_4$, 32-33% (v/v) $CO_2$ and 500-1,000 ppmv $H_2S$ balanced by $N_2$ using the C city landfill gas. Dissolved iron concentration in the liquid medium significantly affected the oxidation efficiency of sulfide. Iron components in landfill leachate, which would be available in a biogas/landfill gas utilization facility, was compatible with an external iron chelate. More than 70% of $H_2S$ was removed in a contact time of 9 seconds at iron levels at or over 28 mM. The scrubbing-aeration process would be a feasible and easy-to-operate technology for biogas pur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