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생태계 연속성

Search Result 1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the method of longitudinal connectivity for stream networks (하천의 종적 연속성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 Hong, Il;Kim,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59-459
    • /
    • 2021
  • 오래 전부터 농업용수 취수 등의 목적을 위해 설치된 하천 내 횡단구조물이 약 34,000개에 달하고, 홍수피해 방지를 위해 하천변을 따라 많은 제방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보, 낙차공, 교각 보호공 등의 횡단구조물은 흐름의 단차를 발생시킴으로써 어류의 이동 등 하천의 종적 연속성을 훼손 또는 단절하고 있어 하천 수생태계 연속성 확보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볼 수 있다. 하천 종적 연속성과 관련된 연구는 북미, 호주, 유럽, 일본 등에서 수생 종 특히, 어류를 중심으로 장벽의 영향을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고 진행되어 왔다. 하천 네트워크 규모에서 다수의 장벽 설치에 대한 누적 효과를 분석한 사례는 거의 없으며, 서식지 및 수생태계 연결과 관련하여, 하천 시스템의 네트워크 규모에서 속성을 설명하고 정량화하는 도구 역시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네트워크 내의 종적 방향의 연결성을 정량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Cote 등(2009)이 제시한 DCI(Dendritic Connectivity Index) 지표를 이용하였다. 수계 연속성 지표(DCI)는 하천 수계 내의 종적 연속성 평가를 목적으로 횡단구조물의 개소수와 위치, 어류의 이동률을 누적하여 정량화한 방법으로써, 구조물 단위 평가가 아닌 하천 단위 평가 방법이다. 곡성천과 삼척오십천을 대상으로 국가어도정보시스템 및 항공사진을 통해 구축한 구조물의 개소수와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시계열 DCI를 산정하였다. 그리고 2차 조사에 걸쳐 횡단구조물 현황 및 수리 특성, 어류현황 및 이동특성 조사 및 분석결과를 DCI에 반영하여 DCIm을 산정하였다. 곡성천의 경우 현재(2018년) DCI 결과는 5.63%이며, 어류 이동률 적용 결과 DCIm은 6.29%로 산정되었고, 약 11.7%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척오십천의 현재(2018년) DCI 결과는 9.78%이며, 어류 이동률 적용결과 DCIm은 10.34%로 산정되었고, 약 5.7%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하천 내 수생태계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하천 수생태계 훼손, 단절, 연속을 효과적으로 비교·평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개선사업의 우순순위 등 의사결정을 위한 방법론의 개발이 필요하다.

  • PDF

Survey on the status of discarded structures for securing continuity of the river aquatic ecosystem - Focus on Wangsukcheon in the Han river area (하천 수생태계 연속성 확보를 위한 용도폐기 구조물 현황 조사-한강권역 왕숙천 수계 중심으로)

  • Lee, Sang-Hoon;Ahn, H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47-447
    • /
    • 2021
  • 인간이 농업 등으로 물을 사용하기 위하여 하천에 인위적으로 구조물을 설치하여야 한다. 이들 구조물은 대부분이 농업용 보로 과거 농업중심의 사회에서 논과 밭 등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하였다. 하지만 농촌의 도시화 및 농지의 변경 등으로 인하여 농업용 보는 사용량이 감소하였으며, 최근 급격한 도시화로 인하여 많은 보들이 용도폐기 되었다. 한국농어촌공사에서는 매년 용도폐기된 구조물을 확인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리스트를 보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농어촌공사의 용도폐기 된 보 중 한강권역 왕숙천 수계 중심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폐기보에 대한 위치 확인을 위하여 한국농어촌공사로부터 제공받은 폐기보 현황자료(보명 및 하천명, 주소)를 바탕으로 우리가람길라잡이, 국가어도정보시스템, 웹지도 등을 활용하여 위치 및 존재 여부 파악하였으며, 현장조사를 위하여 위치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현장조사가 용이하도록 별도의 웹자료를 구축하였다. 현장조사는 구조물의 주변의 토지이용현황, 구조물의 존재여부, 구조물의 규모 실측(길이/높이/폭 등), 어도의 유무, 바닥보호공의 유무, 구조물 훼손 정도 등을 파악하였다. 왕숙천 수계의 보는 왕숙천 본류구간에는 4개의 폐기보가 있으며, 용암천은 9개, 사능천은 2개 학림천은 1개로 총 16개의 폐기보가 있는 것을 확인되었다.

  • PDF

International and domestic research trends in longitudinal connectivity evaluations of aquatic ecosystems, and the applicability analysis of fish-based models (수생태계 종적 연결성 평가를 위한 국내외 연구 현황 및 어류기반 종적 연속성 평가모델 적용성 분석)

  • Kim, Ji Yoon;Kim, Jai-Gu;Bae, Dae-Yeul;Kim, Hye-Jin;Kim, Jeong-Eun;Lee, Ho-Seong;Lim, Jun-Young;An, Kwang-Gu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8 no.4
    • /
    • pp.634-649
    • /
    • 2020
  • Recently, stream longitudinal connectivity has been a topic of investigation due to the frequent disconnections and the impact of aquatic ecosystems caused by the construc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weirs and various artificial structures (fishways) directly influencing the stream ecosystem health. In this study, the international and domestic research trends of the longitudinal connectivity in aquatic ecosystems were evaluated and the applicability of fish-based longitudinal connectivity models used in developed countries was analyzed. For these purposes, 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longitudinal connectivity and structural problems, fish monitoring methodology, monitoring approaches, longitudinal disconnectivity of fish movement, and biodiversity. In addition, 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some technical limitations of physical habitat suitability evaluation, ecology-based water flow, eco-hydrological modeling for fish habitat connectivity, and the s/w program development for agent-based model. Numerous references, data, and various reports were examined to identify worldwide longitudinal stream connectivity evaluation models in European and non-European countries. The international approaches to longitudinal connectivity evaluations were categorized into five phases including 1) an approach integrating fish community and artificial structure surveys (two types input variables), 2) field monitoring approaches, 3) a stream geomorphological approach, 4) an artificial structure-based DB analytical approach, and 5) other approaches. the overall evaluation of survey methodologies and applicability for longitudinal stream connectivity suggested that the ICE model (Information sur la Continuite Ecologique) and the ICF model (Index de Connectivitat Fluvial), widely used in European countries, were appropriate for the application of longitudinal connectivity evaluations in Korean streams.

A Study on River Management for the Restoration of Aquatic Ecosystem Connectivity (수생태계 연결성 회복을 위한 하천관리방안)

  • Jong-Yoon Park;Ji-Wa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92-492
    • /
    • 2023
  • 담수 생물종 시식역의 보전을 위해 하천 연결성 유지와 회복이 중요하지만, 하천관리에 있어 이를 고려하기 위한 기초자료나 관련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인공장벽(artificial barrier) 영향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어류이동에 초점을 두고 있거나, 그 공간적 범위를 제한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강과 하천을 연속체 개념으로 접근하여 생태학적 과정을 방해할 수 있는 모든 인위적 구조물을 인공장벽으로 간주하고, 댐과 저수지, 보와 같이 하천의 종적 연결성을 저해하는 3개 유형의 인공 구조물에 대해 공간자료를 구축하였다. 수치지형도로부터 하천중심선과 수리시설물(보), 호소 및 저수지 경계를 교차(intersection) 분석하여 유형별 구조물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기존 자료와의 비교·검증을 통해 자료의 신뢰성을 도모하였다. 인공장벽에 대한 공간자료는 구조물의 유형에 따라 국가하천과 지방하천, 소하천으로 구분하고 낙동강 대권역 내 총 195개 표준유역에 대해 밀도(barrier density)를 계산하였는데, 여기서의 밀도는 하천 연장에 대한 총 인공장벽의 수로 정의(barriers/km)된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낙동강 유역 내 인공 장벽의 밀도와 유형, 하천별 공간분포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수생태계 연결성 회복을 위한 하천관리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분석 방법과 결과 등 자세한 내용은 발표를 통해 제시될 예정이다.

  • PDF

Appearance of Fish Species Based on the Weir's Density in the Four River Systems in Korea (국내 4대강 수계 하천의 보 밀도에 따른 어류 출현종 분석)

  • Moon, Woon Ki;Noh, Da Hye;Yoo, Jae Sang;Lim, O Young;Kim, Myoung Chul;Kim, Ji Hye;Lee, Jeong Min;Kim, Jai Ku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9 no.2
    • /
    • pp.93-99
    • /
    • 2022
  • It was confirmed that the fish diversity decreased with increasing index of weir's density (IWD) in the four river systems. The IWD showed difference with watershed, it was high in the Nakdong River (NDR). Both two river systems of Gum River (GUR) and Yeongsan River (YSR) were similar, whereas relatively lower density observed in the Han River (HNR) system. A result of 2-Dimensional Kolmogorov-Smirnov (2-DKS) as a nonparametic test showed different threshold values affecting fish diversity with the river systems. The p-values based on Dmax,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0.05 level (except for YSR). The threshold values affecting fish diversity were also different with watershed. The values were 1.6/km of the HNR, 1.3/km of the NDR, and 2.3/km of the GUR, respectively. The fish diversity was decreased when IWD is over threshold values. The IWD of total 404 rivers (about 33%) among 1,217 surveyed in this study showed above threshold value. These rivers should be considered first for evaluating river continuity. The IWD and threshold value suggested in this study would be useful for selecting a stream priority for river connectivity study.

Desirable Strategy of Dam Operation consider to Downstream Ecosystem (하류 하천환경을 고려한 바람직한 댐 운영방향)

  • Lee, Yo-Sang;Lee, Gwang-Man;Lee, Eul-Lae;Park, Jin-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989-1993
    • /
    • 2009
  • 댐의 조절방류가 하류 하천생태에 미는 영향은 매우 복잡하다. 하류생물상에 미치는 영향은 댐에서의 거리, 유황의 변화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흐르는 물에 서식하는 물고기는 좋아하는 수심, 유속 및 하상재질 등을 이용하여 살아간다. 다만 생물상은 주변환경에 적응하거나 변화하는 능력이 있어 댐의 조절방류에 의한 수생태계 변화구조를 명확히 해석하기는 불가능하다(Power et al., 1988). 댐에 의한 일정방류는 생물다양성을 감소시키며, 보다 변동성이 큰 방류하천은 하천, 연안 및 생물상 변화 유도에 긍정적인 것은 사실이다. 또한 큰 규모의 홍수파는 하천지형의 동적활동을 촉진시키며, 이는 하천을 터전으로 서식하는 동물상을 위한 생태학적 여건을 개선시켜 주게 된다. 이는 주변 식생의 생태적 조건 변화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적어도 1년에 2번 정도의 홍수파방류는 하천주변 서식처의 다양성 변화에 필요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ondolf and Wilcock, 1996). 최근들어 댐 하류하천의 생태복원을 위해 연속적인 홍수파 방류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데(Stanford et al, 1996) 자연하도에서 댐과 같은 구조물에 의한 유량조절은 하중도나 사주 등을 발달시키고 사주에서는 두꺼운 식생층이 형성될 뿐만아니라 수목군의 현저한 출현을 보여준다. 이렇게 사주나 식생이 고착됨에 따라 이의 저항을 피해가는 수로가 형성되고 저수로 구간외에서는 식생의 발달이 더욱 왕성해져 그 면적이 확대되고 있다. 결국 사주와 사주가 식생으로 연결되고 여기에 수목이 자라면서 웬만한 홍수에도 파괴되지 않는 거대한 식생대가 출현하게 되는데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하천에서 볼 수 있는 현상이다. 또한 댐에 의한 퇴사의 차단은 하천지형의 불균형을 초래하고 식생의 발달과 함께 저수도부는 좁아지고 세굴에 의해 깊어지는 현상을 보인다. 이와같은 현상들은 수문특성의 변화에 의하여 결국 댐의 조절방류에 의한 수문 변화는 하천지형의 변화를 유발하고 하천지형의 변화는 하천환경에 변화를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적으로 댐이 건설된 지역에서 조사된 몇몇의 자료를 분석하여 댐건설후에 나타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바람직한 댐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Review the results of river environment evaluation of Cheongmi-Stream through image comparative study (영상이미지 비교를 통한 청미천의 하천환경평가 결과 검토)

  • Kim, Ji Hyun;Kang, Joon Gu;Yeo, Hongk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28-228
    • /
    • 2020
  • 과거 무분별하게 획일화되어 개발되었던 하천 개발 사업으로 인해 수질오염과 생태계 훼손으로 하천의 건천화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최근 하천복원 사업이 적극적으로 계획·추진되고 있다. 수생태계의 건강성과 종적 연속성을 회복하기 위한 하천복원사업에 앞서 하천환경의 현상태에 대한 평가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드론을 활용하여 하천관리 및 재해 피해조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국내의 센서기술과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실시간 수집 가능한 정보의 범위가 늘어남에 따라 국내 하천환경 분야에서는 드론을 활용하여 획득된 원격탐사(RS) 자료와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접목한 하천 공간조사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9년 국토부에서 제시한 하천환경 평가체계에 따라 국내 도시하천중 하천복원사업을 시행하였던 청미천 지역에 대해 현장 조사와 UAV 영상, 항공영상을 활용하여 하천환경평가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하천환경평가체계 지침서는 캐나다(2013) 온타리오 하천평가기법을 참조하였으며, 급경사/중경사/완경사로 구분되며 사전조사와 현장조사 야장으로 구성되나 본 연구에서는 물리 평가지표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UAV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을 PIX4D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정합한 후 획득된 색체정보를 활용하여 하천환경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항공영상은 국토지리정보원의 국토정보플랫폼 국토정보맵에서 다운받은 자료를 활용하였다.

  • PDF

An Ecological Aesthetics and Symbolism of the Seonghyelsa Nahanjeon Floral Lattice with Patterns of Lotus Pond Scenery (연지(蓮池)로 본 성혈사 나한전 꽃살문양의 생태미학과 상징성)

  • Rho, Jae-Hyun;Lee, Da-Young;Choi, Se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6 no.3
    • /
    • pp.160-171
    • /
    • 2018
  • This study aims to find an original form of temple flower decoration patterns, considering floral lattice pattern as a view element composing temple landscape. To that end, we analyzed and interpreted the form and symbol expressed in the floral lattice pattern at Nahanjeon of Seonghyel Temple at Yeongju, Gyeongsangbukdo. The front side of Nahanjeon windows shows a sculpture with 176 pure patterns in a form where two squares are in sequence. The basic concept of main front door (the inner gate of Nahanjeon) frames is considered the design language of lotus pond that symbolizes "square land" in traditional gardens. The four leaf clover and arrowhead are water plants discovered in areas nearby ponds, which are a realistic expression conforming to the water ecology of lotus pond. The lotus, which is the most important plant at the main front door, indicates purity, a non-stained state, and the world of the lotus sanctuary, which is the land of blissful happiness in Buddhism. The lotus expressed in the floral lattice pattern is spread in a diverse form, containing the features of creation and destruction, showing the landscape character of the "One Body of Buddha and Lotus". The expression of flying birds such as kingfishers and egrets is an ecologically aesthetic idea to infuse dynamism and vitality into a seemingly static aquatic ecosystem. The floral lattice pattern contains lotus pond scenery showing symbiosis of animals(i.e., dragons, frogs, crabs, fishes, egrets, wild geese, and kingfishers) and plants(i.e., four leaf clovers and arrowheads), which are symbols of relief faith for longevity, wealth, preciousness, and many sons. The pattern is not just an ecological aesthetic expression but a holistic harmony of ecological components such as growth and disappearance of lotus and its leaves, fitting habitats, symbiosis, and food chain.

Analysis of the effect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on Seomgang and South Han river by securing the flow during the dry season (갈수기 유량 확보에 따른 섬강 및 남한강 본류 갈수기 수질 개선 효과 분석)

  • Lee, Seoro;Lee, Gwanjae;Park, Geonwoo;Kim, Jonggun;Lim, Kyoung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23-323
    • /
    • 2019
  • 최근 충주댐 하류에 위치한 남한강 본류에서는 봄철 지속되는 가뭄으로 인한 유량부족과 인근 주요 유입하천으로부터의 과다한 영양염류 유입으로 갈수기 수질오염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충주댐 하류 남한강 본류 하천을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장래 갈수기 수질변화 예측과 상류 유역에서의 유량 확보가 본류 하천 갈수기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충주댐 하류 남한강 본류 구간과 주요 유입하천을 대상으로 유역 및 수질 모델 연계를 통해 극한 가뭄 사상에 따른 남한강 본류의 장래 갈수기수질 변화를 예측하고, 섬강 유역 내 갈수기 유량 확보 시나리오 적용을 통해 극한 가뭄 사상에서의 섬강 말단 및 남한강 본류 갈수기 수질 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갈수기 유량 확보 시나리오는 산림 간벌에 따른 증발산량 저감 및 침투량 증진 시나리오로 구성하였다. 시나리오 적용 결과, 섬강 유역에서의 갈수기 평균 유량은 최대 2.19배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갈수기 수질평균 농도는 최대 BOD5 20.5%, T-N 40.8%, T-P 53.4%까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섬강 유역에서의 갈수기 유량 확보에 따라 남한강 본류 갈수기 수질 평균 농도는 최대 BOD5 5.22%, T-N 5.42%, T-P 7.69%까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산림 간벌에 따른 기저유량의 확보가 갈수기 하천 수량 및 수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수량 수질뿐만 아니라 수생태계 건강성 연속성 유지 측면에서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섬강 유역 내 갈수기 유량 확보 방안으로 적절 수준의 산림 간벌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며, 산림 간벌 이외에 갈수기 유량 확보를 위한 빗물 이용, 공공하수처리시설 방류수 재이용, 우수의 저류 및 침투시설 확충 등 다양한 대책이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storage performance of gabion weir for the supply of raw water for artificial recharge (대수층함양 원수공급을 위한 돌망태 취수보의 저류성능)

  • Han, Il yeong;Lee, Jae joung;Kim, Gyoo b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6-26
    • /
    • 2020
  • 하천수의 수심을 유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콘크리트 취수보 대신 강자갈이나 쇄석을 채움재로 하는 돌망태를 사용하게 되면 토사퇴적으로 인한 건천화나 상, 하류 수생태계 단절과 같은 문제를 어느 정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갈접촉산화작용에 의한 수질개선과 공사비 절감 효과 등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돌망태는 투수성이므로 불투수성인 콘크리트 보다 저류측면에서 불리하다. 콘크리트 취수보에서의 흐름은 보 정점의 형상, 보의 폭, 높이, 그리고 월류수심에 좌우되며, 베르누이 방정식과 연속방정식에 의해 방류량 산정식을 유도하고, 유량계수와 같은 실험상수를 결정하여 방류량을 계산한다. 돌망태 취수보의 흐름은 보의 높이, 보의 길이, 보의 상류수심 외에 채움재의 형상, 입경, 배치상태가 흐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콘크리트 취수보에 적용되었던 기존의 방류량 산정식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돌망태 보의 통과류는 실험상수가 포함된 비선형 수두손실방정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실험상수는 비표면적의 크기를 의미하는 채움재의 평균동수반경와 관계되며, 평균동수반경은 채움재 입자의 형상으로 부터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실험을 통하여 채움재 입자의 형상과 크기에 따른 실험상수와 평균동수반경의 관계를 구하면 비선형 수두손실방정식으로부터 통과류의 방류량을 계산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는 돌망태 취수보가 대수층함양 원수 공급시설물로서 타당한가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콘크리트 취수보의 월류량 계산은 기존의 방류량 산정식을 이용하였으며, 돌망태 취수보는 실험상수와 평균동수반경의 기존관계식을 이용하여 통과류의 방류량을 계산하였다. 이와 같이 계산된 각각의 수심-방류량 관계로 부터 수심을 비교하였다. 동일한 유량조건에서 돌망태 취수보의 상류수심은 콘크리트 취수보보다 작게 계산되었다. 상류수심은 돌망태 채움재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증가하여, 돌망태 취수보는 채움재의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저류성능이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돌망태 취수보는 채움재의 입경이 작을수록 콘크리트 취수보의 저류수준에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