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상돌기

Search Result 29,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Dendritic cells in the skin) (피부의 수상돌기 세포)

  • 이민걸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v.25 no.2
    • /
    • pp.35-44
    • /
    • 1999
  • Dendritic cells(DC) are a system of highly efficient antigen-presenting cells that initiate the primary immune response. There are two kinds of dendritic cells in the skin, Langerhans cell in the epidermis and dermal dendritic cell in the dermis. The knowledge of DC, which are very important in the immune reponse of cancer, autoimmune disease, transplantation and infection, has been known through the study about Langerhans cells. In this paper, the role of Langerhans cell in the contact hypersensitivity and atopic dermatitis is discussed and culture methods of mouse Langerhans cells and human U from pheripheral blood monocytes are described.

  • PDF

Dendrite Growth Analysis of Satellite SSM(Second Surface Mirror) (위성 열제어 부품 이차면경상의 수상돌기 성장 매카니즘 분석)

  • Lee, Choon-Woo;Lee, Kyun-Ho;Kim, Hui-Kyung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1 no.2
    • /
    • pp.26-3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summary of trouble shooting result on the dendrite defect of SSM(Second Surface Mirror) which is one of major thermal control elements for satellite. Through this failure analysis on SSM dendrite, it is found that the dendrite defect may happen to silver coated layer of SSM if SSM is directly exposed to the environment containing sulfur or chlorine compound. As a preventive action, it is required that SSM shall not contact directly with rubber pad containing sulfur compound.

A Study on the Effects of Sirtuin 1 on Dendritic Outgrowth and Spine Formation and Mechanism in Neuronal Cells (신경세포에서 sirtuin 1이 수상돌기 성장과 가시형성에 미치는 영향 및 기전에 관한 연구)

  • Seo, Mi Kyoung;Kim, Hye Kyeong;Baek, Song Young;Lee, Jung Goo;Urm, Sang-Hwa;Park, Sung Woo;Seog, Dae-Hyu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31 no.9
    • /
    • pp.806-817
    • /
    • 2021
  • Increasing evidence suggests that depression is associated with impairments in neural plasticity. Sirtuin 1 plays an important role in neural plasticity, and the activation of mechanistic target of rapamycin complex 1 (mTORC1) signaling is known to improve neural plasticity. In this study, we aimed to determine whether sirtuin 1 affects dendrite outgrowth and spine formation through mTORC1 signaling. Resveratrol (sirtuin 1 activator; 1 and 10 μM) and sirtinol (sirtuin 1 inhibitor; 1 and 10 μM) were treated in primary cortical culture with and without dexamethasone (500 μM). Levels of sirtuin 1, phospho-extracellular signal regulated protein kinase 1/2 (ERK1/2), phospho-mTORC1, and phospho-p70 ribosomal protein S6 kinase (p70S6K) were evaluated using Western blot analysis. Dendritic outgrowth and spine density were assessed using immunostaining. Resveratrol significantly increased levels of sirtuin 1 expression and phosphorylation of ERK1/2 (a downstream target of sirtuin 1), mTORC1, and p70S6K (a downstream target of mTORC1)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under dexamethasone conditions. Resveratrol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dendritic outgrowth and spine density. Conversely, sirtinol significantly decreased levels of sirtuin 1 expression and phosphorylation of ERK1/2, mTORC1, and p70S6K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under normal conditions. Moreover, sirtinol significantly decreased dendritic outgrowth and spine density.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sirtinol, sirtuin 1 knockdown using sirtuin 1 siRNA transfection significantly decreased dendritic outgrowth and spine density as well as phosphorylation levels of ERK1/2 and mTORC1. These data suggest that sirtuin 1 enhances dendritic outgrowth and spine density by activating mTORC1 signaling.

Confocal Microscopy Image Segmentation and Extracting Structural Information for Morphological Change Analysis of Dendritic Spine (수상돌기 소극체의 형태변화 분석을 위한 공초점현미경 영상 분할 및 구조추출)

  • Son, Jeany;Kim, Min-Jeong;Kim, Myoung-Hee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17 no.4
    • /
    • pp.167-174
    • /
    • 2008
  • The introduction of confocal microscopy makes it possible to observe the structural change of live neuronal cell. Neuro-degenerative disease, such as Alzheimer;s and Parkinson’s diseases are especially related to the morphological change of dendrite spine. That’s the reason for the study of segmentation and extraction from confocal microscope image. The difficulty comes from uneven intensity distribution and blurred boundary. Therefore, the image processing technique which can overcome these problems and extract the structural information should be suggested. In this paper, we propose robust structural information extracting technique with confocal microscopy images of dendrite in brain neurons. First, we apply the nonlinear diffusion filtering that enhance the boundary recognition. Second, we segment region of interest using iterative threshold selection. Third, we perform skeletonization based on Fast Marching Method that extracts centerline and boundary for analysing segmented structure. The result of the proposed method has been less sensitive to noise and has not been affected by rough boundary condition. Using this method shows more accurate and objective results.

  • PDF

Fine Structural Study on Compensation Effect of Red Ginseng against Methylmercury Injury to Brain and Gill of Fightingfish (메틸수은으로 손상된 버들붕어 뇌와 아가미에 대한 홍삼의 보상효능에 관한 미세구조적 연구)

  • Chung, Hee-Won;Lee, Choon-Koo
    • Applied Microscopy
    • /
    • v.23 no.1
    • /
    • pp.15-24
    • /
    • 1993
  • The toxic effects of methylmercury on the ultrastructures of the brain and gill tissues of fightingfish and compensative effects of red ginseng were investigated by means of electron microscopy. The brain neuron of methylmercury exposure group showed dilatation of dendrite and axon, numerical decrease of ribosomes, partial loss of nucleoplasm and cytoplasm and considerable swelling of mitochondria as compared with the normal neuron. And necrotic cell with ruptured nucleus and vacuolated mitochondria was noticeable. While, slight swelling of mitochondria, some dilation of dendrite and axon and numerical increase of ribosome occurred in the neuron of methylmercury-red ginseng treatment group as compared with the methylmercury exposure group. In the gill lamella of methylmercury exposure group, collapse of pillar cells and arms, dilated epithelial cell and thickened membrane were observed. While, in the gill lamella of methylmercury-red ginseng treatment group, arms were slightly disintegrated and basement membrane was some thickend as compared with the methylmercury exposure group.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red ginseng has detoxication effect on methylmercury toxicity and so takes compensative effect on injured tissues caused by methylmercury intoxication.

  • PDF

Tyrosine Hydroxylase - Immunoreactive Dopaminergic Neurons in the OX Retina (Ox retina내 tyrosine - hydroxylase 면역 반응되는 dopaminergic neuron에 대하여)

  • Kim, In Suk;Kim, Jin Suk;Jeon, Young Kee;Jeon, Chang Jin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5 no.2
    • /
    • pp.15-20
    • /
    • 2000
  • The morphology of dopaminergic neurons in the adult ox retina was studied. The dopaminergic neurons were identified using antibody immunocytochemistry. The great majority of tyrosine hydroxylase - immunoreactive neurons were located at the innermost border of the inner nuclear layer. The processes were monostratified and ran laterally within layer 1 of the inner plexiform layer. The second major population of tyrosine hydroxylase - immunoreactive neurons was displaced amacrine cells. The processes of displaced tyrosine hydroxylase - immunoreactive amacrine cells were also located within layer 1 of the inner plexiform layer. Some processes of a few neurons were located in the outer plexiform layer. A very low density of neurons had additional bands of tyrosine hydroxylase - immunoreactive processes in the middle and deep layers of the inner plexiform layer. The processes of dopaminergic neurons widely extended radially and formed large, moderately branched dendritic fields. These processes occasionally had varicosities but did not have "dendritic ring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opaminergic cells make up specific neuronal cell types in the ox retina.

  • PDF

A study on the PID adaptive position controller using GMDP Neural Network (GMDP 신경망을 이용한 PID 적응 위치 제어기에 관한연구)

  • 추연규;임영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1995.10b
    • /
    • pp.258-263
    • /
    • 1995
  • 본 논문은 일반화된 다중 수상돌기 적 (GMDP : Generalized Multi Dendrite Product) 유닛트 신경망을 이용한 PID 적응 위치제어기를 구성하여 직류 서어보 전동기의 위치제어를 실시간 처리 하였다. 제안한 제어기를 위치제어에 적용시켜 실험한 결과 기존의 MLP 신경망 제어기를 이용한 것 보다도 샘플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으로 정밀한 제어 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규칙은 기존의 역전파 학습방법이 GMDP 신경 회로망에 적용되었다.

  • PDF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Nerve Growth Factor receptors in the Basal forebrain Nuclei of the Postnatal and the adult Rats (출생후 발생단계와 성체의 흰쥐 전뇌 기저부 여러 핵들에서 신경성장인자수용체에 대한 면엮조직화학적 연구)

  • 정영화;홍영고고연영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7 no.3
    • /
    • pp.385-408
    • /
    • 1994
  • 출생후 0일. 7일. 14일 및 21일 그리고 성체의 흰쥐 전뇌 기저부의 내측중격핵, 수직 및 수평 대각 Broca대 거대세포 시삭전핵 그리고 복부담창구에서 신경성장인자수용체 (nerv-growth 배ctor receptor, NGFr)에 면역반응을 보이는 신경조직과 세포의 분화를 면역조직화학적 및 전자현미경적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출생후 초기와 성체에서 신경세포 원형질막 뿐만 아니라 세포질에서 NGFr 면역반응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성체에서 신경세포 원형질 막에서의 면역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특히 NGFr 면역반응은 골지 부위에서 보였고, 점상의 면역반응물들이 세포체의 세포질과 수상돌기에 소수 분산 분포하였다. 뇌 기저부의 NGFr 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은 뇌 크기의 증대와 뇌 조직의 분화에 따라 점차 수적 증가를 보였다. 이 NGFr 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은 세포의 모양과 세포체의 장 .단축의 비에 따라 6가지 형. 즉 1) 원형. 2) 타원형. 3) 세장형, 4) 방추형, 5) 삼각형, 6) 다각형으로 분류되었다. 전뇌 기저 핵에서 원형과 난형신경세포들의 출현율은 출생후 0일에서 높았으나 성체로 되면서 감소된 반면, 세장형. 방추형, 삼각형 그리고 다각형신경세포들의 출현율은 출생후 0일에서는 낮았으나 성체로 되면서 증가하였다. 모든 핵들에서 NGFr 면역반응 신경세포체의 부피는 출생후 0일에 759-1,640 Um3로 제일 작았으며, 수직 대각 Broca대와 복부담창구에서는 출생후 14일에 각각 5 107 7.385 Um3 그리고 내측중격핵, 수평 대각 Broca대, 거대세포 시삭전핵에서는 출생후 21일에 각각 4,705, 6,061, 6,412 Um3로 최대치를 보였다. 그후 성체로 되면서 모든 핵에서 1,893-3,464 $\mu$m3로 다시 감소하였다. 전자현미경적 관찰에서 출생후 21일된 흰쥐 수평 대각 Broca대에서 NGFr 면역반응은 세포체와 수상돌기의 원형질막 그리고 세포체내에서는 골지체, 다소포성소체 및 조면소포체에서 관찰되었다. 이 결과들로 미루어 NGFr은 출생후 발생단계와 성체의 횐쥐 전뇌 기저부에서 신경세포의 분화와 분포에 관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the Cholinergic Nerve Cells in the Medial Septal Nucelus and Diagonal Band of Broca of the Postnatal and Adult Rats (흰쥐 출생후 발생단계에 따른 전뇌 기저부의 내측중격핵과 대각 Broca대에서 콜린성 신경세포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 고찬영;정영화홍영호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8 no.2
    • /
    • pp.248-268
    • /
    • 1995
  • 출생 후 0일, 7일, 14일, 21일 그리고 성체의 흰쥐 전뇌 기저부의 내측중격핵과 수직 및 수평대각 Broca대에서 choline acetyltransferase(ChAT)에 면역반응을 보이는 신경조직과 세포의 분화를 면역조직화학적 및 전자현미경적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출생 후 초기와 성체에서 신경세포의 세포질과 수상돌기에서 고루 ChAT 면역반응이 확인되었다. 뇌 기저부의 ChAT 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은 발생에 따른 뇌 크기의 증대와 뇌 조직의 분화에 따라 점차 수적 증가를 보였다. 이 ChAT 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은 세포의 모양과 세포제의 장 · 단축의 비에 따라 6가지 형 즉 1) 월형 2) 난형, 3) 세장형, 4) 방추형. 5) 삼각형, 6) 다각형으로 분류되었다 전뇌 기저 핵에서 원형과 난형 신경세포들의 출현율은 출생 후 0일에서 높았으나 성체로 되면서 감소된 반면, 세장형. 방추형. 삼각형 그리고 다각형 신경세포들의 출현율은 출생 후 0일에서는 낮았으나 성체로 되면서 증가하였다. 모든 핵들에서 ChAT 면역반응 신경세포체의 부피는 출생 후 0일에 996-1,252 Um3로 제일 작았으며, 내측중격핵과 수직대각 Broca대 그리고 수평대각 Broca대에서는 출생 후 21일에 각각 5,061, 5.701, 5,820 um3로 최대치를 보였다. 그후 성체로 되면서 모든 핵에서1,897-2,704 roms로 다시 감소하였다. 전자현미경적 관찰에서 출생 후 21일된 흰쥐 수평대각 Broca대에서 ChAT 면역반응은 핵의 핵질 일부와 핵막 그리고 미토콘드리아와 조면소포체에서 관찰되었다. 이 결과들로 미루어 출생 후 초기 발생단계에서 흰쥐 전뇌 기저부의 내측중격핵과 수직 및 수평대각 Broca대에서 ChAT 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은 축삭과 수상돌기의 형성에 따라 세포의 형과 그 출현율 및 세포제의 크기에서 현저한 변화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신경의 전기적 모델화

  • 박상희;이명호
    • 전기의세계
    • /
    • v.24 no.5
    • /
    • pp.6-15
    • /
    • 1975
  • 본 고찰은 신경의 생리적 현상을 기능적 측면에서 아나로그 모델로 시뮬레이션 시켜가는 데 있어 모델화의 역사적 발달과정과 기존모델의 특성을 간략하게 요약하고 이들을 비교 검토한 것으로 초기의 모델화에 대한 철학적인 개념으로부터 TR, IC등의 전자부품을 사용한 최근의 모델에 이르기까지 많은 기존모델을 다루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역사적 발달과정에도 잘 나타난 것처럼 전기, 화학, 역학, 수학등 여러분야의 전문적 지식의 교환없이는 모델화의 정확성, 분석상의 신뢰도, 결과에 대한 보편성이 결여되기 쉽다. 2. 특히 생리적 특성 및 수학적인 면밀한 고찰과 분석이 요구되고 있다. 이는 모델의 특성 결과에 대한 디지탈 전자계산기를 이용한 통계적 처리와 시뮬레이션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임상에의 이용 가능성을 높여나가기 위해서이다. 3. 신경 전체에 대한 모델화에 앞서 신경의 구조별 모델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는 신경의 구조중 수상돌기 및 soma에서의 synaptic inputs에 대한 위치변화에 따른 synaptic potential의 분포상태가 신경의 특성을 규명하는데 매우 유익하다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4. 신경에서의 synaptic potential의 분포상태는 종전에는 temporal distribution 개념이 지배적이었으나 최근에 와서는 spatial distribution 개념이 우세하게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