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상돌기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3초

피부의 수상돌기 세포 ((Dendritic cells in the skin))

  • 이민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5-44
    • /
    • 1999
  • 수상돌기 세포는 인체의 1차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가장 강력한 항원 전달세포이다. 피부의 수상돌기 세포에는 표피의 랑게르한스 세포와 진피의 수상돌기 세포가 있으며, 이중 표피의 랑게르한스 세포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다. 암, 자가면역 질환, 장기이식, 감염 등의 면역 반응에 가장 중요한 항원 전달 세포인 수상돌기 세포의 이해에 표피의 랑게르한스 세포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피부질환 중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과 아토피성 피부염에서 랑게르한스 세포의 역할에 관하여 최근 알려진 사실들을 기초로 기술하였다. 그리고 랑게르한스 세포연구에 필요한 실험 방법을 간단히 기술하였다

  • PDF

위성 열제어 부품 이차면경상의 수상돌기 성장 매카니즘 분석 (Dendrite Growth Analysis of Satellite SSM(Second Surface Mirror))

  • 이춘우;이균호;김희경
    • 항공우주기술
    • /
    • 제11권2호
    • /
    • pp.26-32
    • /
    • 2012
  • 본 연구는 위성 열제어 주요 구성품중 하나인 SSM(이차면경) 표면에서 나타난 수상돌기(Dendrite) 현상에 대한 고장탐구 수행 내역과 그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본 고장탐구 시편 시험을 통하여 SSM 표면의 은도금 층은 황 또는 염소 화합물이 함유된 환경에 장기간 직접 노출시키는 경우, 은도금 층이 황화 변색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SSM 수상돌기(Dendrite)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황 처리된 고무 패드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격리 보관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신경세포에서 sirtuin 1이 수상돌기 성장과 가시형성에 미치는 영향 및 기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Sirtuin 1 on Dendritic Outgrowth and Spine Formation and Mechanism in Neuronal Cells)

  • 서미경;김혜경;백송영;이정구;엄상화;박성우;석대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9호
    • /
    • pp.806-817
    • /
    • 2021
  • 우울증 발생 기전에 신경가소성의 손상이 관여한다. Sirtuin 1은 신경가소성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mTORC1 신호전달의 활성화가 신경가소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sirtuin 1이 mTORC1 신호전달을 통해 수상돌기 성장과 가시형성에 미치는지 영향을 조사하였다. 덱사메타손이 처치된 신경세포와 정상 배양 신경세포에 resveratrol (sirtuin 1 활성제)과 sirtinol (sirtuin 1 억제제)을 각각 처치하였다. Western blot 분석법을 사용하여, sirtuin 1 발현 및 ERK1/2, mTORC1, p70S6K의 인산화 양을 분석하였고, 면역형광측정법으로 수상돌기의 길이와 가시밀도를 분석하였다. Resveratrol은 덱사메타손 환경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sirtuin 1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ERK1/2 (sirtuin 1의 하위 타겟), mTORC1, 그리고 p70S6K (mTORC1의 하위 타겟)의 인산화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또한 resveratrol은 수상돌기 성장과 가시밀도를 증가시켰다. 반면, sirtinol은 정상 배양액에서 sirtuin 1의 발현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ERK1/2, mTORC1, p70S6K의 인산화 양을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또한 sitinol은 수상돌기 성장과 가시밀도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신경세포에 sirtuin 1의 siRNA를 transfection시켜 sirtuin 1을 knockdown 시켰을 때, ERK1/2 및 mTORC1의 인산화 양이 감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수상돌기 성장과 가시밀도도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sirtuin 1이 ERK1/2-mTORC1 신호전달을 통해서 수상돌기 성장과 가시밀도를 변화시켜 신경가소성을 조절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수상돌기 소극체의 형태변화 분석을 위한 공초점현미경 영상 분할 및 구조추출 (Confocal Microscopy Image Segmentation and Extracting Structural Information for Morphological Change Analysis of Dendritic Spine)

  • 손진희;김민정;김명희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67-174
    • /
    • 2008
  • 공초점 현미경(confocal microscopy) 기술의 적용은 살아있는 세포를 고배율로 관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알츠하이머나 파킨슨 질환 같은 퇴행성 뇌질환의 경우 뇌세포의 수상돌기의 형태학적 변화가 연관되어 있음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공초점 현미경 영상으로부터 이러한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공초점 현미경 영상은 명암도 분포가 고르지 않고, 구조의 경계 부분의 번짐 현상 등으로 인해 구조 추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관심 구조에 대한 특성을 추출할 수 있는 영상처리 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뇌세포의 수상돌기 공초점 현미경 사진으로부터 구조정보를 추출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첫째, 미세 분기 구조의 경계를 향상시키는 비선형 확산 필터링을 적용한다. 둘째, 관심구조를 반복적 역치 선택 방법을 이용해 분할한다. 셋째, 분할된 구조의 분석을 위해 구조의 중심축과 경계선을 추출하기 위한 패스트 마칭 방법(Fast Marching Method)에 기반을 둔 골격화를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방법들과는 달리 주변 잡음에 덜 민감하였으며 거친 경계선에 영향을 훨씬 적게 받음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사실적인 중심축 추출 결과를 보였다.

  • PDF

메틸수은으로 손상된 버들붕어 뇌와 아가미에 대한 홍삼의 보상효능에 관한 미세구조적 연구 (Fine Structural Study on Compensation Effect of Red Ginseng against Methylmercury Injury to Brain and Gill of Fightingfish)

  • 정희원;이춘구
    • Applied Microscopy
    • /
    • 제23권1호
    • /
    • pp.15-24
    • /
    • 1993
  • 버들붕어 뇌와 아가미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메틸수은의 독성적 영향과 이에 대한 홍삼의 보상효능을 전자현미경적 방법에 의하여 연구하였다. 뇌 신경세포의 미세구조 변화에 있어서 대조군에 비하여 메틸수은만을 투여한 군에서는 수상돌기와 축색돌기가 상당히 확장되고 핵질과 세포질이 부분적으로 손실되었으며 ribosome의 수적감소와 mitochondria의 팽대가 관찰되었다. 그리고 파괴된 핵과 공포화된 mitochondria를 함유한 괴사세포의 출현은 특이한 관찰이었다. 반면 메틸수은과 홍삼을 병행 투여한 군에서는 메틸수은만을 투여한 군에서 보다 수상돌기와 축색돌기의 확장이 감소되고 ribosome의 수가 증가되었으며 mitochondria의 팽대정도가 상당히 감소되었다. 아가미 새판의 미세구조에 있어서는 Pillar cell과 arm의 붕괴, 표피세포의 확장 및 기저막의 비후가 메틸수은만을 투여한 군에서 관찰되었고 메틸수은과 홍삼을 병행 투여한 군에서는 메틸수은만을 투여한 군에서 보다 arm의 붕괴정도와 기저막의 비후정도가 감소되어 정상세포와 거의 같은 정도로 호전되었다.

  • PDF

Ox retina내 tyrosine - hydroxylase 면역 반응되는 dopaminergic neuron에 대하여 (Tyrosine Hydroxylase - Immunoreactive Dopaminergic Neurons in the OX Retina)

  • 김인숙;김진숙;전영기;전창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5-20
    • /
    • 2000
  • 성체 소의 망막에 존재하는 doparminergic 신경세포의 형태를 연구하였다. Dopaminerglc 세포는 항체면역세포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Tyrosine hydroxylase 면역 반응 신경 세포의 대부분은 내핵층의 가장 깊은 부분에 위치했다. 이들 세포들의 돌기들은 단층이었으며 그리고 내망상층의 1층내에 위치했다. Tyrosine-hydroxylase 면역 반응되는 두 번째 주요 세포 집단은 치환된 amacrine 세포들이다. 치환된 tyrosine-hydroxylase 면역 반응 amacrine 세포의 돌기들도 역시 내망상층의 1층내에 나타났다. 소수의 신경 세포의 돌기들은 외망상층에서 나타났다. 매우 낮은 밀도의 신경세포들은 내망상층의 중간과 깊은 층에서 tyrosine-hydroxylase 면역 반응 돌기들의 추가적인 층을 가졌다. Doparminergic 신경세포의 돌기들은 방사선형으로 넓게 신장되어 큰 모양을 형성하였고 수상돌기의 가지들은 적당하게 뻗어 있었다. 이러한 돌기들은 때때로 varicosity를 가지지만 "dendritic rings"을 형성하지는 않았다. 본연구의 결과는 doparminergic 세포는 소의 망막내 특이 신경세포 형태를 구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GMDP 신경망을 이용한 PID 적응 위치 제어기에 관한연구 (A study on the PID adaptive position controller using GMDP Neural Network)

  • 추연규;임영도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1995년도 추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 /
    • pp.258-263
    • /
    • 1995
  • 본 논문은 일반화된 다중 수상돌기 적 (GMDP : Generalized Multi Dendrite Product) 유닛트 신경망을 이용한 PID 적응 위치제어기를 구성하여 직류 서어보 전동기의 위치제어를 실시간 처리 하였다. 제안한 제어기를 위치제어에 적용시켜 실험한 결과 기존의 MLP 신경망 제어기를 이용한 것 보다도 샘플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으로 정밀한 제어 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규칙은 기존의 역전파 학습방법이 GMDP 신경 회로망에 적용되었다.

  • PDF

출생후 발생단계와 성체의 흰쥐 전뇌 기저부 여러 핵들에서 신경성장인자수용체에 대한 면엮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Nerve Growth Factor receptors in the Basal forebrain Nuclei of the Postnatal and the adult Rats)

  • 정영화;홍영고고연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85-408
    • /
    • 1994
  • 출생후 0일. 7일. 14일 및 21일 그리고 성체의 흰쥐 전뇌 기저부의 내측중격핵, 수직 및 수평 대각 Broca대 거대세포 시삭전핵 그리고 복부담창구에서 신경성장인자수용체 (nerv-growth 배ctor receptor, NGFr)에 면역반응을 보이는 신경조직과 세포의 분화를 면역조직화학적 및 전자현미경적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출생후 초기와 성체에서 신경세포 원형질막 뿐만 아니라 세포질에서 NGFr 면역반응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성체에서 신경세포 원형질 막에서의 면역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특히 NGFr 면역반응은 골지 부위에서 보였고, 점상의 면역반응물들이 세포체의 세포질과 수상돌기에 소수 분산 분포하였다. 뇌 기저부의 NGFr 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은 뇌 크기의 증대와 뇌 조직의 분화에 따라 점차 수적 증가를 보였다. 이 NGFr 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은 세포의 모양과 세포체의 장 .단축의 비에 따라 6가지 형. 즉 1) 원형. 2) 타원형. 3) 세장형, 4) 방추형, 5) 삼각형, 6) 다각형으로 분류되었다. 전뇌 기저 핵에서 원형과 난형신경세포들의 출현율은 출생후 0일에서 높았으나 성체로 되면서 감소된 반면, 세장형. 방추형, 삼각형 그리고 다각형신경세포들의 출현율은 출생후 0일에서는 낮았으나 성체로 되면서 증가하였다. 모든 핵들에서 NGFr 면역반응 신경세포체의 부피는 출생후 0일에 759-1,640 Um3로 제일 작았으며, 수직 대각 Broca대와 복부담창구에서는 출생후 14일에 각각 5 107 7.385 Um3 그리고 내측중격핵, 수평 대각 Broca대, 거대세포 시삭전핵에서는 출생후 21일에 각각 4,705, 6,061, 6,412 Um3로 최대치를 보였다. 그후 성체로 되면서 모든 핵에서 1,893-3,464 $\mu$m3로 다시 감소하였다. 전자현미경적 관찰에서 출생후 21일된 흰쥐 수평 대각 Broca대에서 NGFr 면역반응은 세포체와 수상돌기의 원형질막 그리고 세포체내에서는 골지체, 다소포성소체 및 조면소포체에서 관찰되었다. 이 결과들로 미루어 NGFr은 출생후 발생단계와 성체의 횐쥐 전뇌 기저부에서 신경세포의 분화와 분포에 관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흰쥐 출생후 발생단계에 따른 전뇌 기저부의 내측중격핵과 대각 Broca대에서 콜린성 신경세포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the Cholinergic Nerve Cells in the Medial Septal Nucelus and Diagonal Band of Broca of the Postnatal and Adult Rats)

  • 고찬영;정영화홍영호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48-268
    • /
    • 1995
  • 출생 후 0일, 7일, 14일, 21일 그리고 성체의 흰쥐 전뇌 기저부의 내측중격핵과 수직 및 수평대각 Broca대에서 choline acetyltransferase(ChAT)에 면역반응을 보이는 신경조직과 세포의 분화를 면역조직화학적 및 전자현미경적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출생 후 초기와 성체에서 신경세포의 세포질과 수상돌기에서 고루 ChAT 면역반응이 확인되었다. 뇌 기저부의 ChAT 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은 발생에 따른 뇌 크기의 증대와 뇌 조직의 분화에 따라 점차 수적 증가를 보였다. 이 ChAT 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은 세포의 모양과 세포제의 장 · 단축의 비에 따라 6가지 형 즉 1) 월형 2) 난형, 3) 세장형, 4) 방추형. 5) 삼각형, 6) 다각형으로 분류되었다 전뇌 기저 핵에서 원형과 난형 신경세포들의 출현율은 출생 후 0일에서 높았으나 성체로 되면서 감소된 반면, 세장형. 방추형. 삼각형 그리고 다각형 신경세포들의 출현율은 출생 후 0일에서는 낮았으나 성체로 되면서 증가하였다. 모든 핵들에서 ChAT 면역반응 신경세포체의 부피는 출생 후 0일에 996-1,252 Um3로 제일 작았으며, 내측중격핵과 수직대각 Broca대 그리고 수평대각 Broca대에서는 출생 후 21일에 각각 5,061, 5.701, 5,820 um3로 최대치를 보였다. 그후 성체로 되면서 모든 핵에서1,897-2,704 roms로 다시 감소하였다. 전자현미경적 관찰에서 출생 후 21일된 흰쥐 수평대각 Broca대에서 ChAT 면역반응은 핵의 핵질 일부와 핵막 그리고 미토콘드리아와 조면소포체에서 관찰되었다. 이 결과들로 미루어 출생 후 초기 발생단계에서 흰쥐 전뇌 기저부의 내측중격핵과 수직 및 수평대각 Broca대에서 ChAT 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은 축삭과 수상돌기의 형성에 따라 세포의 형과 그 출현율 및 세포제의 크기에서 현저한 변화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신경의 전기적 모델화

  • 박상희;이명호
    • 전기의세계
    • /
    • 제24권5호
    • /
    • pp.6-15
    • /
    • 1975
  • 본 고찰은 신경의 생리적 현상을 기능적 측면에서 아나로그 모델로 시뮬레이션 시켜가는 데 있어 모델화의 역사적 발달과정과 기존모델의 특성을 간략하게 요약하고 이들을 비교 검토한 것으로 초기의 모델화에 대한 철학적인 개념으로부터 TR, IC등의 전자부품을 사용한 최근의 모델에 이르기까지 많은 기존모델을 다루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역사적 발달과정에도 잘 나타난 것처럼 전기, 화학, 역학, 수학등 여러분야의 전문적 지식의 교환없이는 모델화의 정확성, 분석상의 신뢰도, 결과에 대한 보편성이 결여되기 쉽다. 2. 특히 생리적 특성 및 수학적인 면밀한 고찰과 분석이 요구되고 있다. 이는 모델의 특성 결과에 대한 디지탈 전자계산기를 이용한 통계적 처리와 시뮬레이션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임상에의 이용 가능성을 높여나가기 위해서이다. 3. 신경 전체에 대한 모델화에 앞서 신경의 구조별 모델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는 신경의 구조중 수상돌기 및 soma에서의 synaptic inputs에 대한 위치변화에 따른 synaptic potential의 분포상태가 신경의 특성을 규명하는데 매우 유익하다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4. 신경에서의 synaptic potential의 분포상태는 종전에는 temporal distribution 개념이 지배적이었으나 최근에 와서는 spatial distribution 개념이 우세하게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