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산화기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3초

허리통증유발 탈출 수핵의 대용량제거를 위한 플라즈마발생 전극개발에 관한 연구

  • 윤성영;장윤창;김곤호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1년도 제40회 동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241-241
    • /
    • 2011
  • 최근들어 저온플라즈마를 이용한 생물학적 응용분야가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전기전도도를 가진 전해질 내에서 형성된 액상 플라즈마는 열손상없이 암, 세균 및 비정상 장기조직의 제거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 시술들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허리통증을 유발하는 탈출 수핵을 대용량으로 제거하기위한 플라즈마발생 전극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수핵 분해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플라즈마를 통하여 다량의 수산화기 라디컬을 형성, 수핵표면에 조사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6개의 텅스텐 전극표면에서 기포를 발생시켜 플라즈마 발생면적을 넓힐 수 있었다. 텅스텐 전극들은 캡톤코딩과 세라믹 스페이서를 통하여 분리되었고, 전극의 후방에는 SUS 재질의 환형 접지전극을 배치하여 6개의 텅스텐 전극표면에서 모두 기포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시술적용시 플라즈마 및 전극이 가지는 제한 조건은 단백질 변성을 막기위한 섭씨 45도 이하의 온도 상승과 조직에 대한 기계적인 손상 방지를 위한 2.5 mm 이하의 전체 전극 굵기이다. 이를 만족하는 가운데 수산화기 라디컬 형성을 증대할 수 있는 전극의 구조를 결정하기 위하여 1-D 전기 열유체 모델 도입하였다. 모델에서 도출된 기포의 두께를 바탕으로 다중전극간의 거리 조절을 통하여 플라즈마 방전구조를 전극 - 전극 (기포두께${\times}2$ > 전극간 거리)과 전극 - 기포표면 (기포두께${\times}2$ < 전극간 거리)으로 통제하였다. 형성된 플라즈마의 소모전력, 전자 밀도및 수산화기 라디컬의 회전온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0.9% 염화나트륨 수용액, 1.6 S/m, 전해질에서 플라즈마 형성를 형성하고 전기신호 및 광학신호를 관측하였다. 전극에 인가된 전압은 340 VRMS이며 운전주파수는 380 kHz이다. 실험 결과, 전극 - 기포표면 방전구조는 전극 -전극 방전구조에 비하여 전해질의 저항역할로 인하여 방전전류가 3.4 Ipp에서 1.6 Ipp로 감소하였으나, 기포표면에서의 물분자의 분해로 인하여 수산화기 라디컬에서의 발광세기는 약 4배 증가하였다. 또한 수산화기의 회전온도 분포상에서도 전극 - 기포표면 방전은 주변 물분자의 열교환으로 인하여 전극 -전극간 방전의 1500K 에 비하여 낮은 400K를 보였다. 이는 전극-기포표면 방전구조의 전극이 낮은 온도의 수산화기를 다량으로 형성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카데바를 이용한 실험에서 220초에 걸쳐 약 87%의 수핵을 기계적 손상 및 단백질 변형없이 효과적으로 제거함을 확인하였다.

  • PDF

규소 기판 접합에 있어서 FT-IR을 이용한 수산화기의 영향에 관한 해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HYDROXYL GROUPS IN SILICON DIRECT BONDING USING FT-IR)

  • 박세광;권기진
    • 센서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74-80
    • /
    • 1994
  • Silicon direct bonding 기술은 잔류 응력이 없고, 안정한 특성을 가진 센서의 제작과 silicon-on-insulator 소자의 제조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SDB의 공정 절차는 크게 실리콘 웨이퍼의 수산화 공정 과정과 wet oxidation fumace에서 고온의 열처리 공정 과정을 거치게 된다. 수산화 공정을 행한 후, Fourier transformation-infrared spectroscopy를 사용하여 실리콘 웨이퍼 표면을 분석하여 보면, 실리콘 웨이퍼의 표면에서는 수산화기가 생성됨을 알 수 있다. 실험 결과, $H_{2}O_{2}\;:\; H_{2}SO_{4}$ 용액을 사용한 친수성 용액 처리의 경우에 있어서는 수산화기가 3474 $cm^{-1}$ 주위의 넓은 영역에서 관찰되었다. 그러나, diluted HF 용액의 경우에 있어서는 수산화기가 관찰되지 않았다. 접합된 실리콘웨이퍼를 tetramethylammonium hydroxide 식각 용액을 사용하여 식각 공정을 수행하였다. 식각 공정은 자동 식각 중지가 수행되었으며, 식각된 표면은 평탄하고 균일하였다. 그러므로, 이러한 SDB 기술은 우수한 특성을 가진 압력, 유속,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센서의 제작 및 센서 응용 분야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연료 전지용 소수성/친수성 랜덤 멀티블럭 공중합체의 합성과 특성 (Synthesis and Property of Hydrophilic-Hydrophobic Random Multiblock Poly(ether sulfone)s as Polyelectrolytes for Fuel Cell Application)

  • 최규범;김상언;김영준;홍영택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7-198
    • /
    • 2009
  • 고분자 전해질막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소수성/친수성 랜덤 멀티블럭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공중합체는 수산화기를 각 말단에 가지고 있는 소수성 올리고머, 친수성 올리고머 및 반응성이 좋은 커플링 단량체로 친핵성 치환 반응을 활용하여 합성 하였다. 높은 반응성의 커플링 단량체의 존재로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합성이 됨으로서 고온에서의 에테르-에테르 교환반응에 의한 랜덤화를 억제할 수 있었으며, 높은 중합도의 공중합체를 합성 할 수 있었다. 각 수산화기로 같은 말단으로 조정된 올리고머는 투입 비율의 조정으로 쉽게 이온교환용량을 조정할 수 있었다. 솔루션 캐스팅 방법으로 강도를 가지고 잘 휘어지며 투명한 전해질막을 제조할 수 있었다. 전해질막은 이온전도도, 물흡수율, 부피 변화율, 연료 투과성 등의 측정이 되었다.

  • PDF

온도증가에 따른 삼팔면체운모 내 OH기의 구조변화 연구; 중성자 분말회절법을 이용한 In-situ 연구

  • 이철규;송윤구;김신애;문희수;전철민;성기훈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5-177
    • /
    • 2003
  • 삼팔면체 운모의 결정구조에 대한 연구는 많은 학자들에 의해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주로 X선 단결정법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수소에 대한 정보는 부족하다. 온도의 증가나 풍화에 의해 결정구조의 변화는 수산화기의 길이나 방향성에 영향을 주는데 위와 같은 X선에 의한 연구로는 한계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중성자 단결정법이나 중성자분말회절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중성자 단결정법은 일정크기 이상($5{\times}5{\times}0.4$mm, Rayner 1974)의 완전한 단결정을 대상시료로 이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중략)

  • PDF

자기조합형 세리신-PEG 나노입자의 합성과 특성

  • 조광용;문재유;김진국;정의수;엄상영;이용우;이광길;여주홍;조종수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6-134
    • /
    • 2002
  • 세리신은 누에고치의 고치실에서 추출되는 천연 단백질로서 많은 수산화기를 가지고 있어 뛰어난 보습성을 가진다. 이에 화장품에의 응용이 기대되나, 물에 잘 녹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화장품 원료로 사용하기에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친양쪽성 화합물인 poly(ethylene glycol)(PEG)을 세리신에 도입하여 수용성이며 자기조합형(self-assembled) 세리신-PEG 결합체를 합성하였다. 세리신내의 tyrosine 잔기의 방향 족 수산화기가 반응사이트임을 $^1$H-NMR 분석으로 알 수 있었으며, IR과 CD 측정으로 PEG 사슬의 도입으로 세리신의 구조가 불규칙한 coil구조에서 $\beta$-sheet구조로 구조적 변화가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DSC 분석에서 세리신-PEG결합이후 각각의 녹는점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여 상호 결정성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리신-PEG 결합체는 자기조합하여 소수성 상호작용을 통해 200-400nm의 구형 나노입자를 이루며 투석방법을 통하여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세리신-PEG 나노입자는 세리신자체보다 더 높은 보습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리신-PEG 결합체의 cytotoxicity는 MTT assay에 의해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으며, 동물실험에 의한 독성도 전혀 나타내지 않음을 알 수있었다. 나노입자의 특성과 세리신의 보습성, 세리신-PEG의 친양쪽성 특성으로 세리신-PEG결합체 나노입자는 그 자체로도 원료로 사용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생리 활성성분의 운반체로의 개발이 기대되어 진다.

실란 화합물 기반 플라스틱 기판의 표면 개질화 및 저온 저압 접합 공정 (Surface modification of plastic substrates mediated by silane coupling agents and its application for plastic assembly (use poster))

  • 이내윤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7-108
    • /
    • 2013
  • 플라스틱 기판 표면을 플라즈마 처리시 형성되는 수산화기에 실란화합물을 반응시키면 상온에서도 플라스틱 표면에 다양한 유기기를 도입할 수 있다. 아민기와 에폭시기가 상온에서도 강력한 화학결합을 이루는 원리를 이용하여, 유기기로써 아미노기와 에폭시기를 갖는 두 실란화합물을 선정, 두 고분자 기판에 각각 도입 후 접합시킨 결과, 저온 및 대기압 조건에서도 강력한 본딩을 이루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자동차 선도장 강판용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기반 폴리우레탄의 합성과 물성에 대한 연구 (Study for Synthesis and Properties of Polyurethane Based on Polyester Polyol with Varying Hydroxyl Values for Automotive Pre-painted Metal Sheet Applications)

  • 강충열;이재영;노승만;남준현;박종명;정현욱;유상수
    • 접착 및 계면
    • /
    • 제12권1호
    • /
    • pp.34-42
    • /
    • 2011
  • 자동차용 도장시스템으로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roll coating process는 비친환경적이면서도 생산성이 떨어지는 기존의 습식도장공정을 완전 대체할 수 있는 기술로 알려져 있다. Pre-painted 강판 시스템에서 도막 유연성 및 강도 등의 구현을 위하여 경화거동뿐만 아니라 내식성 및 성형가공성, 유변학적 거동 등의 평가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pre-painted system에 적용하기 위하여 polyester 수지를 수산화기 및 분자량 변성을 통하여 합성한 후, 경화거동 및 딥드로잉, 인장력, 유변특성 등을 평가하였다. 40 (mg KOH-/mol)정도의 수산화기를 갖는 N-0375-40 system이 유연성 및 도막강도, 경화거동 등의 가장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었다.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L-tyrosine과 L-DOPA 혼합물의 분석방법 (Assay Method of L-tyrosine and L-DOPA Mixture Using Spectrophotometer)

  • 김지현;유영제
    • KSBB Journal
    • /
    • 제5권2호
    • /
    • pp.191-194
    • /
    • 1990
  • Tytosine은 방향족 아미노산이고, L-DOPA는 orth위치에 수산화기를 하나 더 가지는 tyrosine유도체이다. L-DOPA는 효소에 의하여 tyrosine으로부터 전환되어 생성할 수 있는데 반응액에서 두 물질을 분리, 분석하는 것은 상당히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두 아미노산 혼합물을 UV/VIS spetrophotermeter를 이용하여 동정함으로써 두 물질이 구분되는 두 파장을 결정하였고 두 파장에서 혼합물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농도를 정량하는 분석 system을 확립하였다. 이 방법은 사료에 아무런 전처리가 필요없으므로 손쉽고 간단하게 분석에 사용할 수 있다.

  • PDF

친수성과 소수성을 동시에 가지는 아세틸화 셀룰로스 에테르의 합성 및 특성 평가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hydrophobic and hydrophilic cellulose derivative by esterification)

  • 김태홍;이상구;손병희;백현종;윤상현;이희수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1-36
    • /
    • 2013
  • 친수성과 소수성을 동시에 갖는 아세틸화 셀룰로스 에테르(ACE)를 합성하여 유기용매 용해도 및 거동 평가와 물에 대한 젖음성을 평가하였다. 친수성 고분자인 셀룰로스 에테르에 에스테르화 반응을 통해 아세틸기를 치환시켰으며, FT-IR 분석결과 수산화기의 감소와 카르복실산의 증가를 통해 아세틸화 반응을 확인하였다. 열분해 거동 분석결과 $800^{\circ}C$까지 셀룰로스와 셀룰로스 에테르와 유사한 분해거동을 보여 셀룰로스 주사슬의 구조변화 없이 치환 반응이 일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18.5~26.4의 solubility parameter의 값을 예상할 수 있는 ACE는 유기용매의 solubility parameter 값에 의해 탁도와 점도가 결정되었다. 합성한 ACE의 접촉각은 셀룰로스 에테르 보다 높은 값을 보였으나 시간에 따른 접촉각 변화는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이는 치환된 아세틸기에 의한 소수성, 무수 글루코스 단위체 내의 반응하지 않고 잔존하는 수산화기에 의해 친수성을 동시에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배기음(排氣飮)이 Mepirizole에 의해 유발된 토끼의 위장관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aegi-eum (BGU) on mepirizole-induced gastrointestinal tissue injury in rabbit)

  • 김우환;김원일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1-27
    • /
    • 2001
  • 목적 : 본 연구는 배기음(排氣飮)이 토끼의 위장관내에서 화학물질에 의해 유발된 장관의 궤양에 유효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이다. 방법 : 토끼 5마리를 한 군으로 하여 정상군과 체중 1kg당 200mg 분량의 mepirizole을 경구 투여한 군과 100mg/kg의 배기음(排氣飮)(경구투여)과 800Units/kg 분량의 catalase(정맥주사)를 mepirizole을 경구투여하기 2시간 전에 각각 전처치한 군으로 나누었다. Mepirizole을 경구 투여한 후 각각 24hr와 48hr에 토끼를 희생시켜 위장, 십이지장부의 궤양성 병변을 관찰하였다. 결과 : Mepirizole을 경구투여하여 위장 및 십이지장 기부의 궤양성 병변이 유발되었다. 배기음(排氣飮)(경구투여)과 catalase(정맥주사)를 전처치하였을 경우 궤양의 크기가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Mepirizole은 십이지장 점막에서 지질의 과산화를 증가시키는데 이는 수산화기와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배기음(排氣飮)과 catalase를 전처치함으로써 mepirizole에 의해 유발된 지질의 과산화가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형태학상의 연구에서도 mepirizole의 처치에 의한 십이지장의 손상과 배기음(排氣飮)에 의한 방지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 이러한 결과들로 볼 때 반응성산소기는 mepirizole에 의해 유발된 위장관 궤양의 병리변화 형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며 배기음(排氣飮)이 항산화작용을 통해 궤양의 형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배기음(排氣飮)이 반응성산소기에 의해 매개된 인체 위장관질환에 치료적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