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산자원 정보시스템

Search Result 43,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A Study on a Methodology for Developing GIS-based Fisheries Resources Information Systems (GIS 기반 수산자원정보시스템의 개발 방법론에 관한 연구)

  • Park, Hee-Seo;Kim, Hee-Cher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1155-1158
    • /
    • 2012
  • 환경친화적 수산자원을 조성하고, 어족 자원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관련업계에서는 GIS 기반의 수산자원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GIS 기반 정보시스템 개발방법론을 분석하고 수산자원정보시스템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존 방법론에서 개선해야 할 사항들을 파악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GIS 데이터의 마이그레이션 작업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그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A Study on the Strategy for Oceanographic Meta Database Implementation (해양수산분야 전자정보자원 메타데이터 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 한종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1.08a
    • /
    • pp.117-124
    • /
    • 2001
  • 해양수산분야의 웹 자원을 포함한 전자정보자원의 효율적인 메타데이터시스템 구축방안을 수립하기 위하여 국내외의 전문분야 메타DB를 조사하였다. 해양연구문헌은 IAMSLIC의 해양웹자원리스트 정보를 주요 컨텐츠로하여 메타데이터 시스템을 구상하며, 해양조사자료는 자료종류 및 특성에 부합하는 메타데이터항목 및 양식을 설정하여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 PDF

A Data Migration Method for Developing GIS-based Fisheries Resources Information Systems (GIS기반 수산자원 정보시스템 개발을 위한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방법)

  • Park, Hee-Seo;Kim, Hee-Cher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6
    • /
    • pp.143-149
    • /
    • 2013
  • In this paper we present a data migration method for developing GIS-based Fisheries Resources Information Systems after considering standardization of existing methods and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such systems. First, a strategy for data migration is defined. Second, a iterative process to build a spatial database is planned. Third, the process is executed to make database transformations and basic data are converted into real GIS data. Finally, developers and users cross-check data correctness. As a result of our research, we suggest a data migration method for GIS data and confirm its usefulness by applying it to real projects.

A Study on the AI-based Fish Classification and Weight Estimation System (인공지능 기반 어류 분류 및 무게 추정 시스템에 관한 연구)

  • Go, Jun-Hyeok;Oh, dong-Hyub;Lee, Ji-won;Im, Tae-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2.10a
    • /
    • pp.229-232
    • /
    • 2022
  • Recently, production of offshore fisheries in Korea has been decreasing. Since production of offshore fisheries in 2016 fell below 1 million tons for the first time in 44 years, it has not recovered and has been decreasing. In order to cope with such a decrease in fishery resources, the TAC (total allowable catch) system is implemented internationally for fisheries resource management. Since 1999, South Korea has introduced the TAC system to perform resource manage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fish classification and weight estimation system that can be used to investigate fishery resources of land observers essential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TAC system. The system consists of an app and a cloud server that automatically measures the body size and height of fish and takes photos using a terminal equipped with a lidar sensor. In the cloud server, fish classification is performed using a CNN-based efficientnet model and the weight of fish is predicted using automatically measured body length and body height information. Using this system,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xisting method in which the land observer manually writes after measuring the tape measure and weight in the stomach market.

  • PDF

An Implementation of the Open and Flexible Web-Based Distance Teaching & Learning System (유연하고 열린 웹기반 원격 강의 및 학습 시스템의 구현)

  • 한민아;김만중;정은이;박만곤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1.05a
    • /
    • pp.93-102
    • /
    • 2001
  • 최근 지식, 정보, 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대표되는 지식정보화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준비가 전 세계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UN해양법 발효, WTD체제 출범에 따른 어장축소와 수산물수입 전면자유화 등 많은 어려움에 처한 수산업을 고부가치적인 수산업으로 육성하고, 경쟁력 있는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어업인 상호간 지식정보교환, 수산기술의 보급 및 교육을 위한 평생교육 체계, 어촌관광자원의 홍보 및 활용을 통한 국민에게 사랑 받는 어촌건설이 필요하며 특히 현재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사회 전반적인 정보화의 물결이 어촌에는 확산되고 있지 않으며, 정부의 정보인프라정책에도 소외되고 있어 어업생산기반인 어업인에 대한 정보화마인드 함양 및 어업에 대한 정보인프라 조기구축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급속히 보급되고 있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정보화에 소외된 어업인이 정보화 격차의 해소와 보다 신속하고 살아있는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고자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 PDF

해양.수산연구정보센터의 시스템구축과 운영

  • 황두진;이규형;신현출;김민용;윤홍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33-34
    • /
    • 2001
  • 21세기 신 해양 시대적 요구와 풍부한 해양자원 여건에 비하며 미흡한 우리의 해양개발, 관리,발전을 위하여 필수적인 연구정보지원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 해양관련 산업기술 및 해양산업창출을 위한 기초과학중심의 종합해양연구정보 구축이 절실한 요즈음에 각계에 있어 다양하게 분산되어 있는 연구정보를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중략)

  • PDF

항로표지 정보서비스 센터의 기능과 구성

  • 김영진;오세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198-200
    • /
    • 2022
  • 국제항로표지협회는 항로표지 정보교환과 해양자원의 디지털화를 위해 국제표준을 개발한 바 있으며, 해양정보의 공유와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해양서비스 표준개발에 협력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미래 해상교통 환경변화에 선제적 대응을 위해 스마트 항로표지 고도화 및 정보협력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개발 사업을 수행 중이며, 항로표지 정보협력시스템 실증에 관한 연구성과를 기반으로 항로표지 정보서비스 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항로표지 정보서비스 센터는 항로표지 기본 정적정보 관리, 항로표지 상태와 영상, 해양기상에 동적(실시간)정보관리, 항로표지 신서비스 운영 및 제공이라는 핵심 기능을 가지며, 향후 항로표지 및 연계정보의 체계적인 관리를 통한 항로표지 관리지원, 정보공유 및 신서비스 제공이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로표지 정보서비스 센터의 핵심 기능과 추진 계획을 기술하였으며, 관련 연구개발 사업의 진행과 함께 항로표지 관리 운영 및 서비스 이용자 그룹과의 긴밀한 협의를 거쳐 항로표지 정보서비스 센터의 기능과 구성을 구체화해 나갈 계획이다.

  • PDF

Fishes distribution and their connection to artificial reefs off Bukchon, Jeju Islan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제주도 북촌의 인공어초해역에서 어류 분포와 어초와의 관계)

  • KANG, Myounghee;FAJARYANTI, Rina;JUNG, Bongkyu;YOON, Eun-A;MIN, Eunbi;LEE, Kyounghoon;OH, Woo-Seok;PARK, Geunchang;SHIN, Young-Jae;CHOI, Yong-Suk;YI, Byung-Ho;HWANG, Doo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55 no.2
    • /
    • pp.121-128
    • /
    • 2019
  • Various artificial reefs provide the fish habitat and nursery, and contribute the improvement of fisheries productivity. The evaluation methods of fishery resources in the artificial reefs have been done by fishing, scuba diving, underwater camera, and scientific echo sounder/sonar. There are a number of studies using echosounders o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s of artificial reefs in various seas around the world. This study focused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fishes around artificial reefs and the influential area of reefs off Bukchon, Jeju Island. Not only acoustic data but also various properties of artificial reefs were used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o extract relevant results. As a result, the major material of reefs on this study site was concrete and the number of reefs with that material was the most. The volume of reefs consisted of steel only and steel with riprap was considerably large compared to other reefs. The average NASC in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fishes in artificial reefs was $31.6m^2/nm^2$ in April, and that was $61.3m^2/nm^2$ in June. The distance between the fish school and their nearest reef in June morning had a wide range from 750 to 3250 m. On the basis of the influence ray of artificial reefs, it had a tendancy of NASC to decrease with distance from the reef in the June morning. It is a preliminary study to present the geospatial analysis example to understand a better way of comprehensive artificial reef environment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T Convergence Artificial Fish-reef System (IT 정보기기 융합 인공어초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Song, Bong-Su;Kim, Won-Young;Lee, You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0.05a
    • /
    • pp.119-122
    • /
    • 2010
  • In this paper, devastated fishing grounds and resources to enhance productivity growth as a goal, recently being promoted at home and abroad should be noted that the issue of artificial fish-reefs. in part of management and evalua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collecting information continuously available systems were designed and implemented.

  • PDF

A Study on the Marine Disasters Prediction System using Cloud (클라우드를 이용한 해양재해 예측시스템 연구)

  • Park, Sun;Baek, Jong Sang;Lee, Jae-Yeong;Oh, Seung Chan;Jeong, Hwan-Jong;Kin, Cho Hyun;Kim, Chul Ho;Lee, Sung R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10a
    • /
    • pp.415-417
    • /
    • 2013
  • 바다는 자원의 보고로서 많은 수산업 활동을 통환 경재활동이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으나 기상 등의 해양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이 때문에 자동화된 해양 환경 분석 및 예측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수산업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해양 재해로는 기름 유출에 의한 해양오염의 피해, 적조에 의한 수산업의 피해, 해양환경 이변에 의한 수산업 및 재해 피해 등 이외에 다양한 피해가 있다. 해양 환경 자료의 수집과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서 해양재해를 예측하면 이들의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해양 환경에 대한 조사 및 분석 연구는 미흡한 편에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국내의 원해 및 근 해역에서 수집된 해양 환경 자료를 분석하여 해양 재해를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 클라우드 기반의 해양재해 예측 시스템을 연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