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산자원

검색결과 1,206건 처리시간 0.023초

소너를 이용한 자원량 조사에 대하여

  • 이유원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2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7-20
    • /
    • 2002
  • 수산자원의 현존량을 추정함에 있어, 계량어군탐지기(이하, 계량어탐 이라 한다)를 이용한 음향자원량 조사는 넓은 수역을 단시간에 조사 가능한 효율적인 방법으로서 확립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 멸치, 꽁치 등의 표층어종의 자원량조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계량어탐은 수직 빔을 이용하므로, 표층의 탐지범위가 좁고, 어군의 선체도피행동이나 표층 데드죤이 존재한다. 그 때문에, 표층을 광범위하게 탐지 가능한 소너를 이용한 자원량 추정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중략)

  • PDF

GIS 기반 수산자원정보시스템의 개발 방법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Methodology for Developing GIS-based Fisheries Resources Information Systems)

  • 박희서;김희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155-1158
    • /
    • 2012
  • 환경친화적 수산자원을 조성하고, 어족 자원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관련업계에서는 GIS 기반의 수산자원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GIS 기반 정보시스템 개발방법론을 분석하고 수산자원정보시스템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존 방법론에서 개선해야 할 사항들을 파악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GIS 데이터의 마이그레이션 작업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그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선택어획을 위한 저인망어구의 종류 (The Kind of Trawl Gear for Selection Catch)

  • 김삼곤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0권1호
    • /
    • pp.64-70
    • /
    • 1994
  • 선택어획의 궁극적인 목적은 미성숙어의 남획과 혼획을 방지하여 일정크기의 체장이 되었을 때 계속적으로 생산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일찍부터 Huxley의 Doctrin 같은 논리에서부터 시작하여 수산자원의 특성과 관련한 제문제와 어로기술의 급진적 발전으로 인한 어획량의 증가에 따라 어족자원의 감소는 심각한 수산현안의 문제로 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자원관리를 위한 어업기술의 방향이 모색되고 있지 못하는 것 같다. 이러한 점에서 균형적인 어업분야의 발전을 위해서는 하드에 적합한 소프트의 개발과 선택은 물론이고 소프트를 현실에 맞게 적용할 수 있는 하드의 개발이 필요한 것 같다. 어업기술면만 보더라도 생역화를 위한 어로기기의 개발, 자원관리형 어구, 어법의 개발 등의 소프트와 어업학이라는 하드의 조화가 최근 수산분야의 중요한 일면임에 틀림이 없을 것이다.(이 논문의 결론부분임)

  • PDF

안정동위원소와 위내용물 분석 기법을 이용한 여름과 가을 남해 연안 정어리(Sardinops melanostictus)의 먹이원 평가 (Food Resource of Sardine Sardinops melanostictus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n Summer and Autumn Revealed by Stable Isotope and Stomach Content Analyses)

  • 박종혁;김현지;정재묵;이정훈;신동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419-427
    • /
    • 2023
  • This study, analyzed the stomach contents, stable isotope signatures (δ13C and δ15N) in muscle tissue, and potential food sources (particulate organic matter, Zostera marina, epiphytes, and zooplankton) of Sardinops melanostictus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to evaluate its dietary changes across seasons (summer and autumn 2022). The diet of S. melanostictus predominantly comprised organic detritus (99%) regardless of the season. The isotope results showed that S. melanostictus had mean δ13C and δ15N values of -17.7±0.4‰ and 10.6±0.5‰, respectively and seasonal variations were observed (t-test, P=0.010, P=0.002). However, the isotopic mixing model showed that particulate organic matter was a major nutritional source for S. melanostictus in summer and autumn (88.7% and 90.2%, respectively). Based on the stomach contents and stable isotope signatures, these results may help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S. melanostictus and establish the management measures for their conservation.

한국 동해에 서식하는 대게류(Chionoecetes spp.) 유생의 수직 분포 특성 (Vertic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now Crab Chionoecetes spp. Larvae in the East Sea)

  • 이현규;이보람;이정훈;이승종;지환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221-227
    • /
    • 2023
  •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snow crab Chionoecetes spp. larvae in the East Sea were investigated in April 2021 using the Multiple Opening/Closing Net and Environmental Sensing System (MOCNESS). The water temperature ranged from 0.86 to 17.2℃, and salinity from 34.0 to 34.7 psu. Zoea I and II occurred range from 29 to 1,982 inds.103 m-3 at 10 stations, and range from 4 to 11 inds.103 m-3 at 3 stations, separately. Therefore, Zoea I occurred in wider area and higher density than Zoea II at all stations. In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larvae, all zoeal stages were mainly distributed in the 30-40 m strata, and the larvae showed nocturnal vertical migration similar to that of most zooplankton. Zoea I appeared in the range from 13.7 to 15.8℃ and occurred at the highest density of 1982 inds.103 m-3 at 14℃. And Zoea II appeared range from 13.4 to 14.5℃ and occurred in the highest density of 11 inds.103 m-3 at 13.4℃. In conclusion, the early larval stage (zoea I) occurred at a higher range of sea surface temperature than later larval stage (zoea II).

바다목장 개발현황 지역발전

  • 안희도
    • 어항어장
    • /
    • 통권76호
    • /
    • pp.30-35
    • /
    • 2006
  • 우리나라도 1970년대부터 연안의 수산자원을 조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인공어초 시설 사업과 수산종묘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그 효과가 미미한 실정이므로 우리나라 연안자원을 적극적으로 조성하기 위해서는 바다목장 사업이 필요하다.

  • PDF

한국 남해안 보구치(Pennahia argentata)의 자원생태학적 특성치 및 자원량 추정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Biomass of White Croaker Pennahia argentata Population in the South Sea of Korean Peninsula)

  • 전복순;이해원;강수경;이승종;오철웅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721-729
    • /
    • 2022
  • We investigate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biomass of white croaker Pennahia argentata population in the South Sea of Korea using catch data from Danish seins fishery and biological data from 2018 to 2020. Survival rate (S), which was estimated using Pauly method (1984) was 0.361 per year, and the instantaneous coefficient of total mortality (Z) was 1.019 per year. The instantaneous coefficient of natural mortality (M) and that of fishing mortality (F) were estimated as 0.351 and 0.668 per year, respectively. At first capture, age was estimated to be 1.19 years and length at this age was 18.7cm. The annual biomass was estimated with a biomass-based cohort analysis using annual catch data between 1997-2020 in Korean water. The biomass of the white croaker declined sharply from 4,000 tons in 1999 to the lowest level of approximately 1,000 tons in 2004. Post 2004, the biomass started to increase gradually and reached approximately 7,000 tons. The amount of resources was 35.7%, 34.8%, and 16.5% at age one, two, and three years, respectively, and 86.9% of all captured white croaker individuals belonged to the age group of 1-3 years.

2016년 한국 근해 난바다곤쟁이류의 시·공간적 분포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Euphausiids in Korean Waters in 2016)

  • 이보람;박원규;이해원;최정화;오택윤;김두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56-466
    • /
    • 2021
  • The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euphausiids were investigated in Korean waters in 2016. Euphausiids were sampled with a Bongo net. A CTD (Sea Bird Electronics 9 plus) measured the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while sampling. Mean water temperature ranged from 4.2-31.0℃. The highest temperatures occur in September and lowest temperatures in February. The mean water salinity ranged from 27.9-34.8 psu, with the highest salinities in March and lowest in September. Euphausiid species in group W consisted of four species. Among the euphausiid species, Euphausia pacifica was the dominant species with peak densities in September. The E. pacifica from group W was distributed in the bottom cold water during summer when a thermocline was formed. Five euphausiid species occurred in group S. E. pacifica and E. nana were the dominant species. In group S, E. nana was located in the warm and saline Tsushima Warm Current, a branch of the influential Kuroshio Current. Five euphausiid species occurred in group E. E. pacifica and T. longipes were the dominant species. In group E, E. pacifica and T. longipes were distributed in the deep and cold waters, these species prefer low water temperatures and perform vertical migration. The distribution of euphausiids in Korean waters were highly influenced by mass water characteristics, such as temperature and salinity.

인천 연안에 서식하는 쥐노래미(Hexagrammos otakii)의 성숙과 산란 (Maturity and Spawning of the Greenling, Hexagrammos otakii in Coastal Waters near Incheon, Korea)

  • 이승환;노태형;권대현;최동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33-339
    • /
    • 2023
  • 이번 연구는 인천 연안에 서식하는 쥐노래미(Hexagrammos otakii)의 성비, 성숙체장, 산란기를 구하였다. 암수성비는 1 : 1.2 (n=739 : 906, 전체 개체군의 81.6% 차지)로 암수 출현비율은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쥐노래미 암컷의 생식소숙도지수(GSI) 값은 11월에 가장 높았고, 수컷은 10월에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산란기는 10월에서 1월로 추정되었다. 쥐노래미 암컷의 50% 성숙체장은 23.1 cm로 분석되었다.

한국의 TAC 실시배경과 현황

  • 이동우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9-39
    • /
    • 2003
  • 우리나라는 얼마 전까지만 해도 어업허가제도에 의하여 어업자원을 관리하여 왔다. 그러나 어업기술의 발달로 상대적으로 과거에 비해 어획노력의 증대와 더불어 대부분의 수산자원이 남획상태에 이르게 되었다. 허가제도하에서는 과잉노력량에 대한 조정이 곤란하고 현실적으로 불법ㆍ남획어업이 자행되어 어업자원 고갈현상이 가속화되고 해양오염 증가와 매립ㆍ간척으로 인한 어장축소 등으로 어업생산성 저하됨으로서 새로운 어업관리제도의 필요성 대두되어 간접적 자원관리방식의 전통적 방법에서 어획량을 직접 관리하는 TAC제도로의 전환 필요성 증대되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