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분 이용효율

Search Result 56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Effects of Light, Temperature, Water Changes on Physiological Responses of Kalopanax pictus Leaves (VII) - Daily Changes of Stomatal Transpiration, Water Use Efficiency, and Intercellular (Ci) CO2 Concentration versus Atmosphere CO2 Concentration (Ca) Ratio (Ci /Ca) - (광, 온도, 수분 변화에 따른 음나무 엽의 생리반응(VII) - 기공증산, 수분이용효율, 그리고 엽육세포간극 CO2 농도의 일변화 -)

  • Han, Sang-Sup;Jeon, Doo-Sik;Sim, Joo-Suk;Jeon, Seong-Ryeol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v.23 no.1
    • /
    • pp.29-33
    • /
    • 2007
  • This study was purposed to elucidate the best optimum sites by ecophysiological response measurements of Kalopanax pictus samplings of plantation. The diurnal changes of the stomatal transpiration, water use efficiency, water potential, and intercellullar $CO_2$ concentration of leaves were measured by the portable IR $CO_2$ analyzer.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aily stomatal transpiration rate was highest at 10:00 a.m. After 16:00, the stomatal transpiration rate rapidly decreased. 2) The daily water use efficiency was maximum at 8:00 a.m., and then rapidly decreased until midday with decreasing water potential. 3) The daily $C_i/C_a$ ratio rapidly decreased until 9:00 a.m., and then showed a stable value until 16:00, and then rapidly increased. The daily intercellullar $CO_2$ concentration ($C_i/C_a$ ratio) showed the same tendency as water potential changes. Consequently, stomatal transpiration and water use efficiency was increased with high water potential of leaves at am, and then remarkably decreased with low water potential at pm.

  • PDF

자연모사 표면을 이용한 공기 중 수분수집 기술동향

  • Park, Jun-Sik;Lim, Hyeon-Ui
    • 기계와재료
    • /
    • v.22 no.3
    • /
    • pp.50-65
    • /
    • 2010
  • 2001년과 10년 후인 2010년 Nature지에 나미브사막 딱정벌레와 거미줄이 특수한 표면 성질을 이용하여, 에너지의 사용 없이 공기 중의 수분을 수집하고, 이를 식수로 활용하고 있다는 연구논문이 발표되었다. 자연을 고려하고 이들과 함께 하는 삶이 우리가 가야할 방향임을 틀림없는 현시점에서 이러한 연구들이 시사하는 바는 매우 크며, 자연의 지혜를 배운 고효율화되고 친환경적인 과학기술 발전이 절실하다. 이 글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에너지를 최소화하면서 물을 수집할 수 있는 기능성 표면을 이용한 공기 중 수분수집 기술에 대하여 연구동향과 특허동향, 응용분야 및 응용제품들의 시장성에 대해 간략히 기술한다.

  • PDF

Development of Drought Assessment Scheme using Root Zone Soil Moisture (토양수분을 이용한 가뭄평가기법 개발)

  • Shin, Yongchul;Park, KyungWon;Yoon, Sunkwon;Jung, Yo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4-24
    • /
    • 2015
  • 최근 원격탐사기법을 이용한 많은 가뭄평가기법들이 개발되었으나 산림과 함께 산악지형이 우세한 우리나라의 경우 지형특성으로 인하여 가뭄평가시 불확실성이 증가하게 된다. 특히, 농업가뭄은 기후와 지표특성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기후특성만을 고려한 가뭄지수는 실제 필요한 농업가뭄의 특성을 반영하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와 지표특성을 함께 고려할 수 있는 토양수분을 이용한 가뭄평가기법(Drought Assessment Scheme)을 개발하였다. 가뭄평가기법을 위하여 역추적기법(Inverse Modeling-IM) 기반의 자료동화기법(Data Assimilation, DA)을 이용하였다. 자료동화기법은 1-Dimensional (1-D) 기반의 토양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는 SWMI_ST 모형과 최적화 알고리즘(유전자 알고리즘, Genetic Algorithm-GA)을 연계하여 실측 및 위성기반의 토양수분자료로부터 토양의 수리학적 매개변수(${\alpha}$, n, ${\Theta}_{res}$, ${\Theta}_{sat}$, $K_{sat}$)를 추출한다. 본 연구에서는 LANDSAT(30 m X 30 m) 및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MODIS, 500 m X 500 m) 이미지자료를 이용하여 시 공간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토양수분을 산정하였으며, 이후 자료동화기법을 이용하여 LANDSAT/MODIS 토양수분자료로 부터 공간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토양의 매개변수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매개변수, GIS 기반의 지표피복 및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장기간의 토양수분을 산정 및 예측 할 수 있다. 고해상도의 이미지 자료를 사용하는 가뭄평가기법은 필지~시 군 단위까지 실제 우리나라 지형특성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가뭄을 모니터링 및 예측 할 수 있다.

  • PDF

Estimation Soil Moisture Using Remote Sensing: Nakdong River Hydrologic Survey (원격탐사를 이용한 토양수분 예측: 낙동강 유역조사 분석)

  • Hur, Yoo-Mi;Han, Seung-Jae;Lee, Jong-Jin;Choi, Mi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19-121
    • /
    • 2012
  • 수문순환과정의 시공간적 거동의 해석 및 정량화는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 및 계획을 위해서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연구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의 수문순환과정을 분석하는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특히 수문기상인자 중 토양수분은 지표와 대기에서 물과 에너지를 연결해주는 중요한 인자중 하나로 그 중요성 대두되고 있지만 관측시설의 제한과 큰 시공간 변동성을 가지고 있을 값을 추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최근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선진국을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는 원격탐사 기술을 도입하였다. 특히 원격탐사를 통해 산정된 Normi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와 토양수분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NDVI는 토양수분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식생의 활동을 나타내는 인자이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연구에서 NDVI와 토양수분과의 관계에 대해 규명해 왔으며, NDVI를 통한 토양수분의 추정 및 검증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에서 산정된 식생지수와 토양수분의 실측데이터를 이용하여 관측지에서의 식생지수와 토양수분의 관계를 규명한 후, 이 관계를 이용하여 관측 지역 이외의 장소의 토양수분 값을 추정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effective humidity application to Canadian fuel moisture code (캐나다 연료 수분지수에 대한 실효습도 적용성 검토에 관한 연구)

  • Park, Houng-Sek;Lee, Si-Young;Yun, Hwa-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448-45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캐나다 연료 수분지수의 정확도를 보정하여, 산불발생의 예측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기존 입력 값인 상대습도와 실효습도(Effective humidity)를 이용한 결과를 상호 비교 분석하였다. 캐나다 연료수분지수인 미세연료수분지수, 가뭄지수, 부식층수분지수의 결과를 비교한 결과 이에 따라 실효습도를 사용한 캐나다 기상지수의 민감도가 상대습도를 사용하여 산출된 지수보다 민감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산불 발생 예측의 지표인 미세연료 수분 지수의 분석결과, 실효습도를 이용하여 산출된 미세연료 수분지수의 적중률이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미세연료 수분지수의 적용보다 상대습도의 적용이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Estimation of Optimal Hydrological Parameter in Mountainous Terrain (산지지형에서의 최적 수문인자 산정)

  • Choi, Minha;Sur, Chanyang;Jung, Yo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69-169
    • /
    • 2011
  •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분포는 수문 및 침식 모형 등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하는 동시에 사면에서의 증발과 강우형성, 강우로 내려온 물이 침투나 하천 유입 등으로 인해 다시 해수로 들어가는물 순환 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수문과정의 중요한 요소이다. 최근 들어 토양수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이 되고 있지만, 토양수분을 직접 측정하는 과정이 매우 어렵기에 통계적인 방법을 통해 예측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에 이번 연구에서는 설마천과 청미천 유역의 토양수분 자료를 이용하여 통계적 방법 중에 하나인 시간안정도 분석을 실시하여 시공간적 변동성에 대해 해석하였다. 토양수분 자료의 유의성을 검토해 본 결과, 연구지역에서의 토양수분의 공간적 분포는 Gumbel 분포가 적합하다는 결과가 나왔고, 이로 인해 연구지역의 토양이 비 균질함을 알 수 있었으며, 시간 안정도 분석을 통해 유역을 대표하는 지점을 찾을 수 있었다. 각 유역의 대표성을 띄는 지점을 찾음으로써, 모든 측정 지점에서 측정해보지 않더라도, 유역의 전체적인 토양수분 값의 분포를 예측해 볼 수 있다. 이는 토양수분 자료를 이용하는 향후 연구에 많은 경제성과 효율성을 제시할 수 있다. 외부적인 환경요인이 토양수분의 변동성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을 분산 분석과 Tukey's 분석으로 실시하였고, 점토질의 토양과 경사도가 토양수분 변동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경사도가 토양수분의 변동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통해, 산지 지형이 많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지표 특성상 향후 연구에 기반이 될 것이다.

  • PD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WAT predicted forest soil moisture and MODIS NDVI image (SWAT 모형을 이용한 산림지역의 토양수분과 식생 정보 간 상관성 분석)

  • Hong, Woo-Yong;Park, Min-Ji;Park, Jong-Yoon;Shin, Hyung-Jin;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84-88
    • /
    • 2009
  • 토양수분은 물순환계통을 이해하기 위한 필수적인 수문학적 변수이나 설치비용과 인력부족으로 실측자료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많은 수문모형의 개발로 토양수분 또한 결과물로써 많이 이용되지만, 그 결과의 신뢰성을 판단하기가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활용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수문모형인 SWAT 모형을 통해 산림지역의 토양수분을 모의하고 MODIS NDVI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모의된 토양수분의 신뢰성 판단을 위한 MODIS NDVI의 활용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유역은 산림이 전체유역의 약 82%를 차지하고 있는 충주댐 유역으로 하였으며 NDVI 자료는 시간해상도 16일, 공간해상도 250m 인 MODIS 영상의 Product를 이용하였다. 보다 신뢰성 있는 자료를 얻기 위해 유역의 특성이 다른 두 지점을 선정하여 다지점 검보정을 수행하였으며, 2003년부터 2006년까지의 유출 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을 보정하고, 2000, 2001 그리고 2002년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검보정 결과 모형 효율성 계수는 상류와 하류에 대하여 각각 0.91, 0.87, 결정계수는 각각 0.90, 0.80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NDVI 특성에 따라 봄 기간과 가을기간으로 나누어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NDVI와 토양수분의 상관관계는 NDVI가 증가하는 봄 기간에 토양수분은 감소하며 역 관계로 나타났고 NDVI가 감소하는 가을 기간에 토양수분은 증가하는 순 관계를 보였다.

  • PDF

Extraction of Resveratrol Containing Grade Seed Oil with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초임계 이산와탄소를 이용한 Resveratrol 함유 포도씨유 추출)

  • Woo Moon Jae;Seo Jang-Won;Byun Sang Yo
    • KSBB Journal
    • /
    • v.20 no.5 s.94
    • /
    • pp.383-386
    • /
    • 2005
  • Grape seed oil made by press or organic solvent extraction does not contain resveratrol, a bioactive compound.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could extract oil containing resveratrol from grape seed. The extraction efficiency was mainly dependent on the water content in grape seed. More resveratrol was contained in the oil extracted with un-dried grape seed. No resveratrol was extracted with dried grape seed. Time course changes of grape seed oil extraction also resulted that resveratrol could be extracted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with the positive influence of water.

A Method for Estimating Mean Residence Time of Water using Soil Moisture at a Hillslope on the Forested Catchment (토양수분을 이용한 산림사면에서의 물 평균체류시간 추정방법)

  • Kwak, Yong-Seok;Jin, Sung-Won;Kim, Sa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308-313
    • /
    • 2009
  • 유역에서 물의 평균체류시간은 강우에 의해 토양에 강우 등으로 인해 수분이 침투하여 유출되기까지 소요되는 평균 시간이며, 침식, 식생분포, 유출기작 등을 지배하는 수문학적 과정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물의 평균체류시간을 산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인 방사성 동위원소에 의한 추적자법은 계산과정이 복잡하고 많은 비용이 들면서도 간접적인 방법임으로, 본 연구에서는 토양수분의 거동을 관측해 산지사면에서 물의 평균체류시간을 산정하는 보다 직접적인 방법을 고안하였다. 토양수분의 측정을 위해 광릉 국립수목원에 위치한 산림 소유역에 토양 수분 측정장비인 TDR을 설치하고 1년 동안 2시간 간격으로 깊이별 측정을 수행하였다. 토양수분을 이용해 산정된 물의 체류시간은 대상유역의 불투수 지하면에 가까워질수록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고 강우가 집중된 여름에 가장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에서 얻어진 평균체류시간은 기존의 화학적 방법을 통해 산정된 값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들은 토양수분의 측정과 분석을 통한 방법이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방법보다 더욱 효율성 있는 측정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 PDF

Determination of levee risk using remote sensing by analysis correlation between levee displacement and hydrological parameters (원격탐사를 이용한 하천 제방 위험도 판별: 제방 변위와 수문학적 요인의 관계 분석)

  • Bang, Young Jun;Jung, Hyo Jun;Chegal, Sun-Dong;Lee, Seung 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97-197
    • /
    • 2021
  • 최근 기후변화와 하천 제방의 노후화로 인해 수재해 위험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재래적인 하천 제방의 점검은 많은 인력과 예산 소모로 비효율적이며 제방 전구간 점검의 한계, 객관성의 한계 등 많은 한계점들이 존재하여 효과적인 홍수 대응을 위해 새로운 모니터링과 예/경보 시스템의 구축이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공위성을 이용한 하천 제방 변위 산출과 수문학적 요인과의 관계 분석을 통해 하천 제방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Sentinel-1 SAR 영상과 유럽 우주국(ESA)의 위성 영상 전처리 도구인 SNAP을 이용하여 2020년 여름 붕괴된 남원시의 금곡교 제방의 봄(4~5월), 여름(7~8월)의 변위를 산출하였고, 제방의 위험도 산정을 위해 토양수분관계를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김상우,2019)에서는 농촌진흥청에서 제공하는 TDR(Time Domain Reflectrometry) 관측값과 Sentinel-1 SAR의 후방 산란계수의 토양수분관계가 일치하는 경향을 제시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제방 후 방산란계수를 산출하고 변위와 토양수분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변위 추세와 토양수분도의 추세가 일치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에는 위성을 이용하여 산출한 제방의 변위와 토양수분도의 불확실성을 보완하고 기온, 수위, 토양도, 지하수위와 같은 수문기상학적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초정밀, 자동화 하천 제방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