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분영향

Search Result 3,650,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Effects of artificial water treatment on the growth and leaf characteristics of Fraxinus rhynchophylla and Fraxinus mandshurica (인위적인 수분처리가 물푸레나무와 들메나무의 생장과 엽형특성에 미치는 영향)

  • Chung, Jin-Chul;Choi, Jeong-Ho;Park, Kyong-Woo;Yoo, Se-Kuel;Lee, Soo-Won;Bae, Jong-Hyang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16 no.2
    • /
    • pp.135-141
    • /
    • 2007
  • Although the result of the tree height growth after water treatment, Fraxinus rhynchophylla has little affection by the artificial water treatment, the growth showed decreased tendency as the soil moisture decreased, and F. mandshurica showed high growth in relatively high soil moist $78{\sim}90%$ treated area. The growth of root collar diameter of F. rhynchophylla and F. mandshurica also showed decreased tendency as soil moisture decreased. The changes of biomass according to dry weight of root, stem, leaves of F. rhynchophylla demonstrating statistical significance as moisture contents of soil is lower showing decreased biomass tendency and in the treatment of $78{\sim}90%$(A) moisture content showed more than double the higher biomass compare to the treated area of $18{\sim}30%$(D) moisture contents. Also F. mandshurica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 and D treatment demonstrating differences among each treatment. This can be purported to have physiological effects like weakening of seedling and softening of tissues including leaves as soil moisture decreased. Ultimately it is regarded to the main reason of unsatisfactory growth for F. rhynchophylla and F. mandshurica that are weak to drought resistance. SLA, which is one of the special traits of leaf area of F. rhynchophylla, didn'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moisture process, it demonstrated decreased tendency as the moisture content interval is minimal. LAR and LWR showed increased tendency while moisture content didn'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reatments as they are minimal.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land surface resolution on soil moisture and fire simulation (지면 모델 격자 크기에 따른 토양수분과 화재 모의 영향 분석)

  • Hocheol Seo;Eunjee Lee;Randal D. Koster;Yeonjo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69-69
    • /
    • 2023
  • 격자 기반의 지면모형을 구동하기에 앞서 사용자의 목적에 따른 모델의 정확도와 모델의 구동 시간의 적절한 균형을 이루는 지면 모델의 격자 크기의 설정은 중요하다. 특히, 격자 크기에 따라 화재 모의 결과 영향이 매우 클 수 있지만, 이에 관한 연구들을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화재 모의는 탄소 순환뿐만 아니라 물 순환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위한 적절한 격자 크기 설정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면모형인 NCAR Community Land Model version 5(CLM 5)-biogeochemistry (BGC) 모형과 2000년부터 2019년의 The Modern-Era Retrospective analysis for Research and Applications, Version 2 (MERRA-2) 기상자료 이용하여서 지면 모델 격자 크기(1.9°×2.5°, 0.47°×0.63°, 0.25°×0.25°)에 따른 전 지구 규모의 화재 시뮬레이션 결과들을 분석하였다. 연평균 화재면적은 격자 크기가 제일 큰 1.9°×2.5° 격자의 시뮬레이션에서 연평균 450M ha로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격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화재의 크기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면 모델의 격자가 작아짐에 따라 토양 입자의 분포가 세분화되고 이에 따라 투수 계수값이 증가하며 높은 토양수분의 분포들을 줄어들고 낮은 토양수분의 분포는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토양수분이 줄어듦에 따라 화재 연소성 정도를 나타내는 변수의 값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화재 발생빈도 및 화재 확산이 증가하여 지면 모델의 화재면적을 더 증가시키는 요인이 됨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화재 모의의 불확실성 요소를 이해하고, 격자 크기에 따라 화재 모의 관련 매개변수의 수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Stochastic Behavior of Soil Water and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Soil Water (토양수분의 추계학적 거동과 기후변화가 미치는 영향)

  • Han, Su-Hee;Ahn, Jae-Hyun;Kim, Sang-D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2 no.6
    • /
    • pp.433-443
    • /
    • 2009
  •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temporal characteristics of soil water, this study is to suggest a stochastic soil water model and to apply it for impact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The loss function is divided into 3 stages for more specified comprehension of the probabilistic behavior of soil water, and especially, the soil water model considering the stochastic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is developed in order to consider the variation of climatic factors. The simulation result of soil water model confirms that the proposed soil water model can re-generate the observation properly, and it also proves that the soil water behaves with consistent cycle based on the precipitation pattern. Moreover, with the simulation results with a climate change scenario,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future soil water will have higher variations than present soil water.

Effect on fruit growth and quality as artificial pollination time of Dragon fruit(Hylocereus undatus) in heating plastic house cultivation (열대과수 용과 가온하우스 재배의 인공수분 시간이 과실비대에 미치는 영향)

  • Park, Jae-ok;Lee, Somi;Cho, Kyung-chul;Kwon, Hye-young;Kim, Byung-sam;Hwang, In-taek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10a
    • /
    • pp.79-79
    • /
    • 2018
  • 용과(Hylocereus undatus)는 멕시코 및 과태말라가 원산지이며 아열대 및 열대지역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아시아는 베트남 타이완 중국 일본 등 국가에서 재배하고 있다. 가지에 열매가 있는 모습이 용이 여의주를 물고 있는 형과 닮았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상승으로 전남지역 재배에 적합한 대체 열대 및 아열대과수 개발이 필요하다. 용과는 열대과수 중 비교적 낮은 온도($10^{\circ}C$이상) 조건에서 재배 가능하여 남부지역에서 시설내 가온재배하고 있다. 국내 시설재배 중 문제점은 용과는 밤에 꽃을 피기 때문에 밤에 활동하는 매개곤충이 없어서 인공수분으로 수분문제를 해결해야한다. 인공수분의 한계시간과 수분할 경우 과실비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인공수분 시간을 개화 1시간 이내, 4~5시, 11~12시 및 무 처리(방임)로 처리하였다. 개화시기는 1차 7월 13일, 2차 8월 8일, 3차 8월 26일로 3회에 걸쳐 개화가 이루어졌으며 이시기의 화분량는 4~5시가 0.68g, 11~12시 0.47g로 1시간 이내 0.16g보다 많았고 과실비대에서 1과중은 개화11~12시가 421g, 4~5시 400g, 1시간 이내가 377g으로 처리 간에 차이는 없었지만 무처리는 185g으로 처리구와 192~236g의 유의차가 있었다. 용과의 인공수분한계시간은 다음날 아침 7시(개화 11~12시)까지 인공수분 할 경우 정상적인 착과가 이루어졌으며 과실비대를 위해서 인공수분은 필수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 PDF

Modeling of Water Transportation in Dynamic Load Proton Exchange Membrane (PEM) Fuel Cell Power Generator (동적부하 PEM 연료전지 발전기에 있어서의 수분전달 모델링)

  • Agung, Bakhtiar;Choi, Kwang-Hwan;Kim, Young-Bok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 /
    • v.31 no.2
    • /
    • pp.1-7
    • /
    • 2011
  • PEM 연료전지에 있어서 수분의 균형이 연료전지의 시스템 성능에 현저한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수분 균형은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일부가 되었으며, 이에 관한 연구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적절한 수분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멤브레인 수화작용(membrane hydration)이 필요하며, 반대로 촉매층(catalyst layer)에서의 익수(water flooding)현상이 없어져야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동적 상태에서 PEM 연료전지 내의 수분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동적 수분 조정 기술이 확보되어야 한다. 현재의 연구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PEM 연료전지에서 동적부하 상태에서의 수분 이동에 관한 일차원 해석 모델에 관한 것이다. 금번 모델링의 결과, 양극촉매층(CCL, cathode catalystlayer)에서의 수분 상태는 거의 포화 단계에 이르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 모델링은 연료전지가 작동되는 동안의 CCL에 나타나는 수분의 양상을 예측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분 이동 모델이 국제규격에 따라 다양한 수송기관이 가동될 때, 동적부하 상태에서 서로 다른 차이점을 발견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결과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 모델링을 적용한 결과, 수분 포화도가 상태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 또한 정적 수분 조절 요소에 따라 최적 상태가 모든 동적 분포에 따라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Spatial and Seasonal Variability of Soil Moisture Properties along Transect Line on a Forest Hillslope in the Cheong-Mi Catchment (청미천 유역 내 산림사면에서 단면선에 따른 토양수분특성의 공간적 계절적 변동)

  • Gwak, Yong-Seok;Kim, Sang-Hyun;Jung, Sung-Won;Lee, Yeon-Gil;Lee, Jung-Hoon;Kim, Su-Ji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7 no.1
    • /
    • pp.45-57
    • /
    • 2015
  • Soil moisture is critical for understanding the spatial-temporal variability of hydrologic processes. The distributions of soil moisture have been explored along transect line in hillslope hydrology. In this study, we measured several soil moistures along transect lines during ten-month period at a hillslope located the Cheong-mi catchment. The soil moisture properties were expressed by simple statistical methods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recession slope) and analyzed in terms of soil depths and transects from the seasonal context. Supplementary studies were also performed about the effect of location, topography and soil texture to the soil moisture responses.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average soil moisture at deep soil layer were distinguished from those at near surface due to the possibility of expected factors such as subsurface lateral flow from upslope, preferential flow and existence of bedrock. The soil moistures in combined line affected from significant contribution of upper transect line were relatively higher(wetter), low variability compared to those in other transect lines and seemed to be under stabilization process. There are confirmed heterogeneity of soil moisture variation related with preferential flow and significant influence of soil texture for soil moisture properties in upslope.

Influence of LNAPL and Soil Water on Migration of Gaseous Ozone in Unsaturated Soils (불포화 토양내에서 가스상 오존 이동특성에 대한 LNAPL과 토양수분의 영향)

  • Jung, Hae-Ryong;Choi, Hee-Chul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0 no.6
    • /
    • pp.63-67
    • /
    • 2005
  • Laboratory scal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delineate the effects of liquid phases, such as soil water and light nonaqeous phase liquid (LNAPL) on the transport of gaseous ozone in unsaturated soil. Soil water enhanced the transport of ozone due to water film effect, which prevents direct reaction between soil particles and gaseous ozone, and increased water content reduced the breakthrough time of ozone because of increased average linear velocity and decreased air-water interface area. Diesel fuel as LNAPL also played a similar role with water film, so the breakthrough time of ozone in diesel-contaminated soil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with uncontaminated soil. Ozone breakthrough time was retarded with increased diesel concentration, however, because of high reactivity of diesel fuel with ozone. In unsaturated soil containing two liquids of soil water and LNAPL, the transport of ozone was mainly influenced by nonwetting fluid, diesel fuel in this study.

Effect of Heating Temperature on Viscosity of Starch Dough (전분반죽의 점도에 미치는 가열온도의 영향)

  • Lee, Boo-Yong;Lee, Chang-Ho;Lee, Cherl-Ho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7 no.4
    • /
    • pp.593-597
    • /
    • 1995
  • To measure theological properties of the starch dough, an Extrusion Capillary Viscometer(ECV) cell was self-made and attached to Instron machine(Model 1140). Apparent viscosities of corn and waxy corn starch doughs were measured and their gelatinization degrees were determined by enzymatic analysis. The effects of heating temperature on the viscosity of starch dough with $36{\sim}52%$ moisture contents were examined in terms of Arrhenius equation. The activation emergy(Ea) of the dough viscosity from the effect of heating temperatures changed from negative(-) to positive(+), as the moisture content increased from 44% to 48% in the corn starch dough and from 44% to 44% in the waxy corn starch dough.

  • PDF

Effects of Triton X-100 and Calcium Chloride on the Porcine Pancreas Lipase Treatment of PET Fabrics (폴리에스터 직물의 리파제 처리시 Triton X-100 및 염화칼슘의 영향)

  • Kim, Hye-Rim;Song, Wha-S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2 no.6
    • /
    • pp.911-917
    • /
    • 2008
  • In this study, we reported the effect of porcine pancreas lipase treatment in the presence of a calcium chloride and Triton X-100 on moisture regain and wettability of PET fabrics. The moisture regain of PET fabrics in the presence of 0.5% surfactant showed a 1.5-fold decrease, compared to the absence of it. Triton X-100 acted as an inhibitor to porcine pancreas lipase hydrolytic activity. The moisture regain and wettability of porcine pancreas lipase treated PET fabrics improved when more than 10mM of calcium chloride was added to the treatment solution. Porcine pancreas lipase treatment caused voids and cracks on PET fabrics.

A Study on Water Balance in Stationary Load Proton Exchange Membrane(PEM) Fuel Cell Power Generator (고정 부하를 갖는 PEM 연료전지 발전기에 있어서의 수분 평형에 관한 연구)

  • Bakhtiar, Agung;Oh, Hoo-Kyu;Yoon, Jung-In;Kim, Young-Bok;Choi, Kwa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 /
    • v.31 no.4
    • /
    • pp.128-135
    • /
    • 2011
  • 일반적으로 PEM 연료전지에서는 수분 균형이 시스템의 효율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균형(balance)을 잡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촉매 층에서 물이 넘치는 익수현상(flooding)이나 건조현상(drying)이 발생하게 되면 연료전지의 효율이 급격하게 저하하므로, 항상 수분의 균형이 잡히도록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수분의 익수현상이나 건조현상은 PEM 연료전지의 용량과 주위의 환경, 즉 온도와 습도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금번 논문에서는 가정용 규모인 3kW급에서 10kW급까지의 PEM 연료전지를 설치하였을 때, 주위의 환경(온도와 습도)이 수분 이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시간에 따라서 시뮬레이션(simulation)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결과에서 유입공기의 온도가 $50^{\circ}C$ 이하일 경우, 고정부하가 5kW급 이하이면 대부분이 건조현상이 발생하였으나, 고정부하가 6kW급 이상이 되면 익수현상이 운전시간이 20분 이내에서 발생하였다. 또한 고정부하를 최고 10kW급까지 올린 경우, 유입공기의 온도가 $50^{\circ}C$까지는 익수현상이 발생하였으나 $60^{\circ}C$ 이상인 경우에는 거의 건조현상이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